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대한민국의 미래, 청소년들은 실질적인 정치교육을 받고있는가?

by 2기이원지기자 posted Mar 25, 2015 Views 3085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700-802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288, (남산동, 경북여자고등학교)


    보통선거란 일정한 연령(19세 이상)에 달하면 어떤 조건에 따른 제한 없이 선거권을 주는 제도이다. 따라서 대한민국의 청소년들은 만 19세 이상이 되면 투표권을 행사 할 수 있게 된다.

SAM_8598.jpg


    현재 한국은 국민들의 정치참여가 매우 저조한 상황이다. 여기에는 다양한 원인들이 있겠지만, 본 기자가 주목하는 원인 중 하나는 청소년기에 정치에 참여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현재 청소년들은 정치활동에서 배제되어있다. 투표권에 대해 제한받을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은 법에 의해 정당에 가입할 수 있는 연령 또한 만 19세로 규정했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은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공식적인 기회가 적고, 정치에 무관심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있다. 이러한 상황이 성인이 된 이후에도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몇 년 후 대한민국을 이끌어나갈 성인이 될 청소년들은 성인이 된 이후에도 정치적 무관심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는 한국의 올바른 민주사회를 이끌어나가는데 장애물이 될 것으로 보인다.


SAM_8595.jpg


    현재 국민들의 정치에 대한 무관심은 초, , 고교 때부터 받아온 교육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한국의 정치교육은 입시교육에 밀려 외면당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현실과 달리 이론만 가르치는 학교 교육이 원인으로 보인다. 현재의 교육제도에는 정치참여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고, 교과과정에서 정치과목은 선택과목일 뿐이다. 청소년들에게 실질적으로 정치에 관한 교육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실질적인 정치 교육을 하고 있는 좋은 예로 대구 중구에 위치한 경북여자고등학교를 들 수 있다. 경북여고에서는 학생회장단 선거를 실제 선거와 유사하게 진행하고 있다.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하여 학생회장단 후보들을 감시하고, 공약관리위원회를 구성하여 후보들의 공약에 대한 실천가능성을 판단한다. 후보자들은 다른 학교와 달리 후보자간의 토론도 하게 된다. 이 토론은 전교생이 시청할 수 있도록 학교 TV로 방영되며 토론에서의 주제는 후보자들의 공약에 대한 것이다. 이 뿐만이 아니라 투표 또한 실제 대구광역시 중구 선거관리위원회가 직접 경북여고 강당에 방문하여 투표부터 개표까지 함께한다. 경북여고 학생들은 실제 선거 때 사용하는 투표천막 안에서 실제 도장으로 투표를 하게 된다. 개표는 중구 선거관리위원회와 함께 경북여고 선거관리위원회 및 각반 학급 대표와 함께 진행된다. 이와 같은 선거를 통해 학생들은 실제 선거 절차를 익힐 수 있게 된다.


    대구 경북여자고등학교 뿐만 아니라 전국의 모든 고등학교에서 실제 선거와 같은 방법으로 학생회장단 선거를 하게 된다면 학생들이 실제 선거 절차를 익힐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기 정치부

이원지 기자

ji8058@naver.com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2기심수연기자 2015.04.04 20:36
    저는 정치에 관심이 꽤 많은 편인데 친구들과 대화를 하다 보면 정치에 너무 무관심하다는걸 느낍니다. 미래를 책임질 학생들에게 정치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느낍니다^^* 기사 잘봤습니다.
  • ?
    3기권기경기자 2015.04.05 13:38
    정치에 원래부터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모를까 일반 시민들도 정치에 적극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사례는 적은데 하물며 일반 청소년들은 더욱 더 정치에 참여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정치에 무관심한 친구들도 꽤 많고요. 우리 청소년들의 미래세대를 위해서라도 정치에 대한 민주시민 교육과 청소년들의 정치흥미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2기이아림기자 2015.04.05 23:09
    현재 우리나라 정치상황을 잘 모르는 청소년들이 너무나도 많은 것 같습니다. 저도 정치에는 관심이 적은 편인데 이러한 상황속에서 선거를 어떠한 기준에서 해야할지 막막한 것 같습니다. 저희 학교도 위의 경북여자고등학교처럼 선거관리위원회 공약관리위원회를 구성하여 학생회를 선출하지만 이것마저도 일부의 학생이기 때문에 안타까운 상황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도 북유럽의 여러국가들처럼 어렸을 때부터 정치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여러 교육제도가 마련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2기이수연기자 2015.05.10 13:35
    미성년자는 대통령 또는 국회의원 선거에 직접 참여할 수 없어도 학교 측에서 그러한 것들을 학생회장 선거등을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가르쳐 주는 것이 늘면 학생들도 정치참여에 관심을 기울일 것 같아요!
  • ?
    배소정 2015.06.04 20:37
    아무래도 교과서와 강의 중심의 수업으로는 실용적인 정치나 사회 면모에 대해서 배우는게 힘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제 또래 많은 친구들이 정치는 참여가 아니라 지켜보는 것이라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미래 사회를 이끌어나가는 주체인 만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치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91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22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523
'부산행', 왜 변칙행? 1 file 2016.07.25 강하윤 17656
'박근혜는 하야하라!'전국에서 타오르는 열기, 광주 촛불 집회 2 file 2016.11.12 박하연 20112
'바나나맛' 열전,바나나에 반한 식품업계 2 file 2016.05.25 이나현 16494
'미성년자 술,담배 극성, 판매금지 물품 구매 원천은 어디에?' 3 file 2017.09.28 이혜성 19756
'만취해 인천 모텔에서 女 폭행한 20대 남성...알고 보니 현직 경찰관' file 2021.07.01 김혜성 8130
'만 나이 통일법' 시행 3달째...연령 혼동 사라질까 file 2023.09.22 빈나현 6288
'런던 테러' 배후에 선 IS file 2017.03.24 류혜돈 11000
'동유럽'의 전쟁과 '동아시아'의 전쟁 file 2022.02.28 김준기 6573
'독서실', '스터디카페' 코로나19 방역 거대 구멍 1 file 2020.03.31 박지훈 16949
'대한청소년이공계학술연합' 이번엔 국내 유명 청소년 행사인 ‘한국청소년학술대회’ 표절·베끼기 의혹 (종합 2보)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21238
'대통령 탄핵 절대 안돼'... 휘몰아치는 탄핵심판 속 보수의 목소리를 들어보다 4 file 2017.02.22 조윤수 15987
'대선주자 국민면접'문재인, "저는 취업재수생입니다" 1 file 2017.02.18 유미래 15671
'대륙의 실수', 중국 직구족의 번성 1 file 2016.04.19 김도현 18852
'다사다난'했던 2017년, 가장 '빛났던' 청와대 청원 게시판 2 2018.01.02 전세연 11993
'낙태죄 폐지', 우리는 여성의 인권을 쟁취한다 2 file 2018.07.25 양성민 9906
'김제동 만민공동회'와 13차 울산시민대회의 횃불행진 2 file 2017.02.12 서상겸 16022
'김정은식 공포정치' 6년차…또 하나의 희생양 '김정남' file 2017.03.25 소희수 10819
'기생충' 축하로 시작해 '코로나바이러스'로 끝난 수석·보좌관 회의 1 file 2020.02.14 김도엽 9044
'금모으기 운동'은 어떤 운동이었을까? 1 file 2019.01.21 강민성 15715
'국가부도의 날'로 보는 언론의 중요성 3 2018.12.27 김민서 12357
'구지가'로 불거진 논란, 교권침해인가 성희롱인가 file 2018.07.24 최가영 11159
'구멍뚫린' 지역주택조합 file 2017.02.24 박다혜 14521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작지만 큰 배려 1 file 2020.07.27 이도현 9098
'강제징용' 일본의 뻔뻔한 태도 2020.06.10 조은우 8622
'강아지 하늘샷', 동물학대 논란에 휩싸이다 3 file 2018.11.19 신미솔 13202
'ㅇㅇㅇ' 열풍 그 끝은 어디? 5 file 2017.02.25 이다민 16165
'SNS'라는 가면 1 file 2019.03.05 김성철 25928
'n번방' 들어가기만 해도 처벌받는 개정안 추진 중 1 file 2020.03.31 전아린 11944
'Be 정상회담' 청소년이 정책의 한가운데 서는 시간 file 2017.11.01 오주연 13415
'AZ 2차를 모더나로...?' 강릉 주민 40명 오접종 논란 file 2021.09.24 신현우 14614
'5·18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역사'··· 거리로 나온 시민들 file 2019.03.04 김사랑 10057
''우리는 요구합니다'', 스쿨미투 집회 1 file 2019.02.21 안예슬 10522
"함께 손잡고 정의를 되찾자" 삼일절 맞아 서울서 한일합의 무효집회 열려 6 file 2016.03.02 박채원 17992
"학생증 들고 왔다면 돌아가세요"...학생증 신분증으로 인정 안 한 가수 1 file 2023.09.30 이종혁 7698
"피청구인 대통령 박근혜를 파면한다" 3 file 2017.03.11 한지선 13388
"풀 오브 카풀(Full of Carpool)"? 카풀과 택시의 대립 1 file 2018.10.29 김지민 11457
"청정지역" 제주도, 그곳도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2020.09.07 서보민 12717
"중국은 조금이라도 작아질 수 없다" 빅토리아,페이까지...대체 왜? file 2016.07.24 박소윤 18353
"정인아 미안해..." 뒤에 숨겨진 죽음으로만 바뀌는 사회 1 file 2021.01.27 노혁진 8802
"자녀 2명 놔두고..." LG디스플레이 직원, 직장괴롭힘 때문에 자살했나 file 2023.05.21 디지털이슈팀 13622
"잊지 않겠습니다" 지난달 16일 안산서 세월호참사 5주기 기억식 열려 file 2019.05.23 황수빈 11224
"우한은 코로나19 기원지 아니다" 다시 시작된 중국의 주장 1 file 2020.11.23 박수영 8124
"우리는 동물 실험을 반대합니다!' 영국 국민들의 바뀌는 태도, 한국이 배워야 할 자세 file 2019.06.14 이채린 16410
"여주인님으로 모신다면.." 미성년자 상대 페이스북 변태행위 심각 15 file 2016.02.22 김현승 157182
"언니야 이제 집에가자" 7만명의 시민들이 만든 일본군 위안부 영화 '귀향' 눈물 시사회 23 file 2016.02.17 고유민 19424
"어르신, 노란조끼 왔어요~" 9 file 2016.02.20 김민지 18759
"앞으로 생리대 뭐 써요?" 아직도 논란이 되는 생리대 해결방안은 file 2017.09.27 한유진 15156
"비타민씨! 남북 공동 번영을 부탁해" 2018.11.16 유하은 142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