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소통에 대한 우리들의 이야기 '온드림 스쿨'

by 5기여승헌기자 posted Nov 27, 2017 Views 173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매일 아침 MBC라디오 방송에서 "방송사 사정으로 인해 음악방송으로 대체합니다."라는 멘트는 활기찬 음악의 멜로디와 씁쓸한 현실과 교차됐다. 그러나 최근 MBC 정상화가 완료되면서 사회자는 지난 상황을 고찰하며 한 가지 중대한 문제점을 꼬집었다. 바로 시청자와 언론과의 "소통의 단절"이었다. 그리고 박근혜 정부에서 꼬리표처럼 붙어 다닌 키워드는 바로 "불통"이었다. 국민과는 불통이었고, 비선 측근들과는 "소통"했던 박근혜 정부는 물러났다. 어느덧 "소통"을 키워드로 하는 사회가 우리나라에 자리 잡고 있다. 정부도, 언론도, 사회도 소통과 협치를 중심으로 우리나라를 개선하려 노력하고 있다. 즉 소통은 우리 사회를 아우르는 중요한 수단이 된 것이다.


IMG_1313.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여승헌기자]


 지난 11월 21일, 성주 문화 예술회관에서 정몽구 재단이 후원하고 KBS가 주최한 '온드림 스쿨'강연이 있었다. 행사에 참석한 재단 관계자는 학생들에게 꿈과 바른길을 안내해 주기 위해 '온드림 스쿨'을 기획했다며 행사의 취지를 알렸다. 이날의 강연을 아우르는 주제는 바로 '소통'이었다.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인 김경일 교수와 공신 닷컴의 대표인 강성태가 강의를 진행했다. MC는 개그우먼 김경림이 맡았다.


 우선 김경일 교수는 강연에서 무엇보다 '우리'라는 단어를 과다사용하는 사회를 꼬집었다. '우리 집',  '우리 학교',  '우리나라',  '우리 와이프'까지. '우리'라는 단어 자체가 나쁘다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상대방의 싫어하는 것을 하지 않으려는 속성을 강화시킨다. 즉 상대가 무엇을 좋아하는지는 크게 신경을 쓰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상대방과 소통을 할 때, '좋아하는 것'을 파악하는 것이 가까운 사이일수록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경일 교수는 '이미 아는 사이'에서 소통을 강화하는 방법을 강연했다면, 강성태 공신 닷컴 대표는 '모르는 사람'과의 소통에 대해 중점을 두었다. 강성태 대표는 학창 시절 '용기'가 부족해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고 토로했다. 그래서 다른 사람과의 소통을 위해선 먼저 다가가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강성태 대표는 먼저 다가가기 위해 다른 사람 즉, 멘토가 있다면 도움이 된다며 자기 자신이 학생들의 멘토가 된 계기도 이날 강의와 함께 이야기했다.


IMG_132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여승헌기자]


 강연을 함께한 EXID 멤버들도 자신들만의 소통법을 공유하며 참가한 학생들과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멤버들은 학생들의 꿈과 목표를 응원한다며 축하 공연을 마지막으로 '온드림 스쿨'이 막을 내렸다. 이날 참석한 청소년들도 "소통이라는 우리에게 중요한 주제와 재밌는 진행으로 시간 가는 줄 몰랐다."라며 이 강연으로 소통의 중요성을 깨닫고 소통을 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배운 시간이 됐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5기 여승헌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8742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7189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418626
다함께 반올림, 아산시 건강가정지원센터 2017 ‘청소년 나침반 봉사단’ file 2017.05.24 이수지 13694
다함께 즐기는, 보라매 청소년 수련관 '동아리 인준식' file 2016.03.21 이은경 20723
단 두 권으로 과학상식의 질을 높일 수 있다. 5 file 2017.02.26 이주형 14941
단계적 일상회복, 마스크 벗는 날 오나? 1 file 2021.11.03 민유정 11164
단국대학교 축제 용인의 밤을 불태우다! 1 file 2017.05.20 박승재 16536
단맛과의 이별 위한 대책 '당류 저감 정책' file 2017.04.28 황서영 14428
단순한 노동을 대신하는 로봇이 아닌, 배울 줄 아는 로봇 file 2017.11.27 장예진 14777
단추로 보는 프랑스, <프랑스 근현대 복식, 단추로 풀다> 특별전 file 2017.09.20 허선주 17041
단풍에는 어떤 과학적 원리가? 2 file 2019.11.27 이채원 18427
단풍이 뭔가요? 2 2017.11.20 이지혜 14516
달! 달! 무슨 달! 쟁반같이 둥근 달! 8 file 2016.02.25 조민성 19265
달리는 것만으로 전세계 아동을 살릴 수 있습니다 - 2017 세이브더칠드런 국제어린이마라톤 1 file 2017.05.25 서수민 19383
달리는 학교, 전남독서토론 열차학교 file 2017.09.29 김가빈 15739
달빛 머금은 창경궁, 야간개장 2 2018.05.17 이유나 15222
달콤한 디저트들이 가득한 [쁘띠북팔코믹스페스티벌:졸업전] 5 file 2016.03.04 오지은 17954
달콤한 초콜릿의 유혹... 이겨낼 수 있을까? 14 file 2016.02.15 신경민 21899
달콤한 축제 '2017 스위트 코리아'!/ 한끼를 먹더라도 제대로! 'HMR 엑스포' 가 열리다! 1 file 2017.02.25 이현주 16840
달콤함에 묻힌 영웅, 안중근 의사 2 file 2017.03.26 노혜원 14699
달콤함의 향연, '슈가플래닛'에 다녀오다! file 2018.12.17 송지윤 17243
닭이 벌레인줄 알고 쪼아 먹었던 그림은? 1 file 2017.04.21 홍선의 19512
담뱃갑 혐오 그림, 과연 효과있나 2 file 2017.05.24 김수연 14440
담양 산타축제가 열리는 메타프로방스를 가다 file 2018.12.26 조햇살 20302
담양군 청소년 문화의집의 학습동아리 S·C·P 운영 file 2019.10.30 조미혜 15498
당신 팀의 전력은 안녕하십니까? 2021 프로야구 전력 분석 file 2021.01.26 문청현 16232
당신은 '난민 수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file 2020.12.10 김하은 13668
당신은 멀티가 가능합니까? 4 file 2017.03.17 김서영 15386
당신은 우성입니까, 열성입니까? file 2016.07.31 백미정 15815
당신은 자연과 함께 살아가나요? '제 13회 서울 환경 영화제' 1 file 2016.05.19 이은경 16124
당신의 6월 14일은 무슨 날이었습니까? file 2018.06.25 서재은 14451
당신의 도시를 밝혀줄 '2019 서울빛초롱축제' file 2019.11.14 정다운 19454
당신의 미래는 안녕하십니까 2017.03.17 최용준 13219
당신의 스마트시티는 무엇입니까? 월드 스마트시티 위크(WSCW)에 방문하다 2 2017.10.02 문정민 16849
당신의 아이돌에게 투표하라, 프로듀스 101 시즌2 file 2017.05.24 최다인 14888
당신의 양심은 아직 세모 모양입니까? file 2017.03.25 박유은 16954
당신의 역사 상식 수준은? 2 file 2016.05.23 이민정 15915
당신의 자취방, 안녕하신가요? 14 file 2017.02.13 원효정 19488
당신의 청춘을 불러드립니다. file 2017.03.26 김다은 13214
당신의 체력을 시험해드립니다, 제 10회 오산 독산성 전국하프마라톤대회 2014.10.24 임수현 27405
당신이 기억하는 '당신의 몸'은? file 2021.04.21 정다빈 11822
당신이 모르고 있었던 우리나라 어버이날의 유래 2 file 2017.05.05 이세영 25843
당장의 미래, 청소년의 대선투표 1 file 2017.05.10 김윤정 14416
대가 없이 일하는 '자원봉사자'를 만나다. file 2017.08.25 5기이유진기자 14911
대구 도심 속, 무더위를 날려버리는 이월드만의 이벤트 file 2018.09.05 노나영 15229
대구 세계화를 위한 청소년 연합, 시내 캠페인을 성황리에 마치다 8 file 2016.03.13 장보경 20157
대구 시민들의 외침, '시민열정, 희망으로 피어나다!' 2017.03.05 오지은 15420
대구 이월드 별빛벚꽃축제 다가오는 3월24일부터 개최 '벚꽃의 향연' 2018.03.12 김성민 18375
대구 중구, 사회적기업과 나눔 실현하는 팝업스토어 마련해 file 2023.12.30 최예원 6104
대구국제마라톤, 비대면으로 달려보자! 1 file 2021.04.15 김민석 140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