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우주로 가는 과학!! ‘Science to space’

by 6기백예빈기자 posted Sep 27, 2017 Views 1744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포스터 찍음. 편집본.jpg

▲'우주로 가는 과학' 포스터

[이미지 활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백예빈기자]


201795일 화요일부터 10일 일요일까지 삼척교육문화관에서 우주로 가는 과학(Science to space)’가 개최되었다. 이 행사는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최하고, 한국과학관협회가 주관하는 ‘2017 두드림 프로젝트 사업(찾아가는 과학관)’이다. 두드림 프로젝트 사업은 전 국민의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도 제고를 위해 지난 2015년부터 시작됐다. 다양한 과학 문화 체험 서비스를 제공해 지역·계층 간 과학 문화 격차 해소를 목적으로 시행된 사업이다. 이번 삼척교육문화관에는 울진 과학 체험관에서 찾아왔다. 강원도 지역 중 유일하게 시행된 곳이었다. 이번 행사에는 중력에 대한 설명, 드론, 3D 프린터 체험, 3D 펜 체험, VR·AR 체험, 회전하는 원반(코이올리 효과)DNA 야광 구슬 팔찌 만들기, 전동 휠 체험해보기가 있었다.


첫 번째 체험은 3D 펜 체험이었다.

3D 펜 체험은 어린아이들도 손쉽게 접할 수 있었다. 기존의 3D 프린터와는 다르게 작은 펜에서 3D 프린터 심을 녹여 비닐 위에 원하는 모양을 그린 후 떼어내어 주기만 하면 된다. 3D 펜은 고열방지 노즐 캡도 있어서 아이들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3D 펜의 심은 필라멘트로 만들어져 있어서 인체에 무해하고 3D 펜을 이용해 여러 가지를 만들고 생각하면서 창의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한다. 3D 펜은 손쉽게 만들 수는 있지만 모양을 만들기가 생각보다 많이 어려웠다. 또한 색깔을 바꾸기 위해서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빼내고 넣어야 한다체험하는 아이들은 아무리 귀찮고 힘들더라도 3D 펜이라는 물건 자체만으로도 신기해하고 즐거워하며 체험에 푹 빠져있었다.


두 번째 체험은 VR 체험이었다.

VR 체험은 가상현실 체험이다. 우선 가상현실은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혹은 그 기술 자체를 의미한다. VR 체험은 화재 장소에서 탈출하는 것이었다. VR 안경과 헤드셋을 쓰고 손에 조종기를 들면 준비 끝이다. 체험을 마친 친구들에게 물어보았더니 그 상황에 정말 몰입할 수 있고 자기 자신이 정말 그 장소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고 했다. 매우 신기하고 재미있었다고 한다. VR을 접해보지 못한 친구들도 많았는데 좋은 경험을 해볼 수 있는 체험이었다.


세 번째 체험은 DNA 야광 구슬 팔찌 만들기 체험이었다.

DNA는 자연에 존재하는 2종류의 핵산 중에서 디옥시리보오스를 가지고 있는 핵산으로, 유전자의 본체를 이룬다. 혈액형마다 DNA 구조가 다르다고 한다. 이런 DNA 구조를 야광 구슬의 색깔로 구분해 우레탄 줄에 끼워 넣으면 된다. 야광 구슬로 팔찌를 만들면서 DNA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사진 7.png

▲헬멧을 착용하고 전동 휠을 체험해 보고 있는 모습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백예빈기자]


네 번째 체험은 전동 휠을 체험해 보았다.

두 발로 되어 있는 전동 휠이었는데 무게 중심에 따라 앞으로 가고 뒤로 갔다. 왼쪽과 오른쪽으로 가기 위해서는 무게 중심을 오른쪽이나 왼쪽에 실어 방향을 전환해 주면 된다. 처음 타보는 학생들에게는 넘어질 위험이 커서 헬멧을 착용하고 매트가 깔려있는 곳에서 체험해 보았다. 학생들이 처음에는 무서워 겁을 냈지만 나중에는 한 번 타보고 싶어 모두 체험해 보았다. 생각보다 재미있다는 친구들도 있었고 무서웠다는 친구들도 있었다. 전동 휠은 중독성이 강해 한 번 타기 시작하면 자꾸만 생각난다고 한다. 킥보드나 자전거가 아닌 전기로 가는 전동 휠이 있다는 것을 알고 전동 휠이 많이 활성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사진 6.jpg

▲보조 선생님들께서 체험을 도와주시고 계시는 모습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백예빈기자]


이번 체험을 통해 많은 학생들이 미래 과학 기술에 더욱 관심과 흥미를 갖고 자세히 알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 미래 과학 기술은 이제 막 개발되기 시작했고 가격대도 높아 학생들이 접해볼 수 있는 기회가 적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접해 볼 수 있어서 좋은 것 같다.?우주로 가는 과학행사에는 많은 보조 선생님들께서 체험을 도와주셔서 질서도 정돈되고 더 쉽게 체험을 해 볼 수 있었다. 6일 동안 학생들의 체험을 도와주시기 위해 최선을 다해 주신 보조 선생님께 박수를 보낸다.

이번 2017년에는 다양한 과학 문화 체험 서비스를 제공해 지역·계층 간 과학 문화 격차 해소하는 사업의 목적은 달성한 것 같다. 다음번에도 급속도로 발전되어가는 과학을 여러 학생들에게 체험해 볼 수 있도록 이런 행사가 열렸으면 좋겠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5기 백예빈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5489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2319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64469
이주민들의 희망센터, 로뎀 1 file 2017.03.19 김다은 17169
독일어를 즐기고 싶은 사람들에게, 주한독일문화원 '파쉬 페스트' 1 file 2017.06.25 장지윤 17170
“나도 성악가” 부천 소사에서 펼쳐지는 가곡교실 4 file 2017.02.16 김준희 17171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7171
퀴어, 광주를 무지개로 밝히다; 제1회 광주퀴어문화축제 3 file 2018.10.25 김어진 17172
미디어를 테이크아웃 하라 file 2017.09.27 고은서 17173
Smart Mover, 2017 청소년 발명 페스티벌! file 2017.07.25 이윤정 17178
중국의 추석, 중추절 file 2017.10.23 이진하 17180
카이스트가 해냈다! 이제 집에서 신경치료 하자! file 2018.11.16 백광렬 17180
면역력 관리가 중요한 여름, 면역증진에 도움 되는 식품은 무엇일까? 1 file 2020.06.12 이한나 17180
전주 한지 온누리에 펼치다 2 file 2017.06.04 설서윤 17181
덕후, 새로운 문화를 만들다! file 2017.10.02 이지우 17182
나를 사랑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 ‘자존감 수업’ 2 2017.05.25 오희연 17183
꿈의 컴퓨터, 양자 컴퓨터 file 2019.08.27 김채운 17183
달콤함의 향연, '슈가플래닛'에 다녀오다! file 2018.12.17 송지윤 17188
새 학기 가방고민, 한방에 해결하기! 1 file 2017.02.24 이서영 17189
웃음짓는 청년상인, 살아나는 전통시장 1 file 2016.08.25 류지석 17190
아픔과 다짐이 담긴 DMZ 박물관을 다녀오다. file 2016.10.25 이예린 17191
방문해보세요, 원전하나줄이기정보센터 file 2016.06.25 김영현 17192
세계, ‘혼자’의 편견을 부수다! 22 file 2017.02.03 강건화 17192
차별을 향해 날리는 통쾌한 홈런 한 방, 대구퀴어문화축제! file 2017.08.27 고은서 17196
임산부 뺏지를 아시나요 2 file 2016.04.28 이서연 17199
평화의 소녀상의 거제 나들이 2 file 2018.01.29 최다영 17199
[이달의 세계인] '채식주의자' 맨부커상 수상의 주역, 데보라 스미스 2 file 2016.06.06 정가영 17203
자연이 살아 숨 쉬는 섬, 오륙도 8 file 2017.02.04 정유진 17205
렌즈, 올바른 사용법과 부작용 3 file 2020.09.09 김현수 17209
자라나는 미래 경제의 희망, 2018 고교 경제동아리 연구과제 발표대회 1 file 2018.12.14 윤여진 17211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7214
대전국립중앙과학관, 과학체험의 장을 열다. file 2017.04.24 김세영 17214
국제사회의 리더가 되자, Humanities Research Symposium for Youth! file 2017.04.24 강인주 17217
배고플때 짜증이 난다? file 2017.03.25 진다희 17219
무더위도 잊게 만드는 뜨거운 과학 열기 속으로 1 file 2017.08.25 이지호 17219
미세먼지, 그 해결책은? 4 file 2017.04.02 박민경 17223
야구장, 부족한 관중 의식으로 몸살 앓아 file 2017.04.16 김유경 17223
프로야구 두산, 다시 새로운 시작 1 file 2016.04.02 양지호 17225
전 어디에 가야 하나요? file 2016.08.22 박나영 17225
커피 한잔으로 좋은일 하기, 공정무역카페 file 2018.12.21 정유현 17225
서대문독립민주축제,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곳 1 file 2019.08.19 노주영 17225
신사임당, 그녀는 누구인가 1 file 2017.02.27 박혜민 17227
다른 세상에 사는 두 소녀의 이야기,< 세계를 건너 너에게 갈게> file 2018.03.29 김수민 17227
청소년에게 꿈을! 인동고 MBC, 구미 청소년 문화존에 참가하다. file 2017.05.24 김민정 17228
한국에서 접하는 이슬람, '한국이슬람교 부산성원' file 2017.05.14 허재영 17229
소통에 대한 우리들의 이야기 '온드림 스쿨' file 2017.11.27 여승헌 17233
시인 정지용의 '제32회 옥천 지용제' file 2019.05.27 양유빈 17233
인간이 우울해질수록, 가재는 대담해진다 file 2021.06.29 유예원 17234
청소년의 '피, 땀, 눈물'은 어디로 갔을까 [청소년 아르바이트] 2 file 2017.04.24 이채은 17235
숀 'Way Back Home' 1위, 모든 게 바이럴 마케팅 덕분? 6 file 2018.08.07 정유리 17236
'희움일본군위안부역사관'에 다녀오다. 2 file 2016.03.13 권은다 172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