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KBS와 MBC가 파업한 이유. 영화 '공범자들'

by 4기임하은기자 posted Sep 11, 2017 Views 1966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170827_173356573.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임하은기자]


지난 8 17일 영화 자백의 연출을 맡았던 최승호 감독의 영화 공범자들이 개봉했다영화는 2008년서부터 지금까지의 잘못된 언론의 잔상을 낱낱이 고발하고 있었다사전 예고편부터 영화가 무엇을 말하고 싶은지를 보여줬다예고편에서 최승호 PD가 전 이명박 대통령에게 인터뷰를 시도하다가 저지당하자 언론이 질문을 하지 않으면 나라가 망한다라고 말한다영화는 이 한 마디처럼 굵고 선명하게 다가온다흐릿하게 알고 있던 사실들은 하나하나 세세하게 가르쳐준다.


  영화는 2008이명박 전 대통령의 취임식 장면으로 시작하는데이는 언론의 형태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옴을 뜻했다언론에서 정부를 갉아먹는 듯한 보도를 내보내니정부는 가만히 채찍질 당하는 게 분했던 것인가공영방송들을 하나씩 집어삼키기 시작하고 윗선의 사람들까지 모두 바꾸어버린다이로 인해 타격을 입은 프로그램도 적지 않고여러 PD, 기자들 또한 해고정직감봉 등의 처벌 아닌 처벌을 받게 된다이렇게 권력을 보이지 않는 손으로 공영방송을 쥐고 흔들기 시작한 것이다.

 

 영화에서 관람객들이 제일 가슴 아팠던 장면이라면 당연히 세월호 참사 때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당시 언론에는 오보의 개념을 뛰어넘은 극명한 오보가 났다전원 구조라는 오보는 유족들뿐만 아니라 모든 국민들에게도 충격 그 자체였다아직도 왜 오보를 냈어야 했는지왜 현장으로부터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는지 답답하기만 하다는 사람들의 모습. 여기서 보이는 언론의 큰 실수라면 현장의 소리를 묵살시키고 단지 위에서 내려오는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그대로 기사로 낸 것이다정보의 전달을 막은 것이다.


  그렇게 공영방송이 어떻게 잡아먹히게 되었는지를 보여준 뒤그 산하에서 일하던 기자들이 어떻게 기레기(쓰레기 기자)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는지도 보여준다사실 영화를 보면 알게 되겠지만 기자들도 자신들이 원해서 KBS의 그런 기자가 되고, MBC의 그런 기자가 된 것이 아니다그들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많이 그들의 언론 자유를 위해 노력했다그들은 단체 파업을 서슴지 않았고 공식적인 자리에서 누구보다 당당하게 자신의 권리를 외친 사람들이다하지만 언론에 그런 이야기를 담기는 거의 불가능했고기자들은 국민들에게 신뢰를 잃게 된 것이다세월호 보도 참사 때는 받아쓰기하는 앵무새 언론이라는 말도 듣게 되었다물론 그때 기자들아나운서들을 믿어준 국민들도 적지 않다같이 촛불을 들어주고 프리허그를 해주는 등 공영방송 살리기를 같이 원했던 국민들이 있었다하지만 10년이란 세월은 그리 짧지 않았다그야말로 영화의 대사처럼 KBS는 속이 터지고 있고, YTN은 울고 있고, MBC는 때려치우고 있게 된 것이다.


 영화 크레디트에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불합당한 이유로 해고정직체포된 언론인들의 이름이 나왔는데그 수가 거의 300명에 달했다.

솔직히 국민들은 이제 나라가정부가 바뀌었다고 안심하고 있을지도 모른다하지만 아직 모든 것이 변한 건 아니다아직 그때의 KBS 사장이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MBC의 사장도 그대로이다아직까지 공영방송의 올가미는 덥수룩하게 덮여있다국민들은 이제 이들의 행보를 지켜봐야 한다정부가 바뀌었다고 나라가 쉽게 바뀌기만 기다려서는 안 된다영화를 개봉하기 전에 몇몇의 출연자들이 상영금지 가처분 신청을 내기도 했다다행히 가처분 신청이 기각되긴 했지만 아직도 이들은 자신들의 잘못을 그저 쉬쉬할 뿐이다.


 진실을 숨기고 자신들의 사리사욕만 채우려는 그들의 현재 모습은 그저 도망자 신세이다카메라를 내밀고 인터뷰를 신청하면 무조건 얼굴을 가릴 것이다이들은 자신들이 어떤 부끄러운 행동을 했는지 알면서도 국민들께 사과할 마음은 없다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기기에 바쁘다이들은 아직까지 어딘가에서 잘 살고 있다영화 속에서 최승호 PD가 말한 것처럼 아주 잘 살고 있다.


 현재 MBCKBS의 파업과도 관련이 있는 작품이다우리 언론의 미래를 위해서라면 꼭 한 번 관심을 가져볼 만한 작품이다많은 사람들이 이 작품에 공감하고같이 울 수 있고 같이 분노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 임하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정상아기자 2017.09.11 20:07
    언론인이 꿈인 제가 꼭 한번 봐야하는 영화인 것 같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5기신영주기자 2017.09.18 02:37
    저도 몇주전에 재미있게 보고 왔어요. 저도 이 영화를 주제로 기사를 썼는데 목록에 보여서 들렸어요~ 앞으로 이런 장르의 영화가 더 흥행하길 바랄 뿐입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4188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0378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38854
노숙자분들을 위한 쉼터, 바하밥집에서의 봉사 file 2016.09.03 오지은 19794
드라마 '보이스'의 골든타임, 우리의 골든타임 5 file 2017.03.15 최서은 19791
세계 섬유패션산업의 최신 트렌드 한 자리에… '대구국제섬유박람회' 4 file 2016.03.11 이세빈 19788
[ 삼일절 ] 그날의 함성을 재현하다 5 file 2016.03.02 황지연 19781
1년 365일 자원봉사하기 좋은 날 2 file 2019.03.29 김수현 19780
작지만 큰 나라, 대만 3 file 2016.03.21 조혜온 19773
기존의 수학은 잊어라! KYMA 대한청소년수학회 학술대회 개최 12 file 2017.02.09 최기영 19754
꿈의 나노소재, 그래핀 1 file 2018.08.20 박효민 19753
새로운 팬들의 문화 '쌀 화환 기부' 2 2017.10.09 구다인 19749
평창올림픽 기념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展, 한·중·일이 한곳에 1 file 2018.02.09 김시은 19738
봄의 향기를 담은 매화마을-‘매곡동’ 6 file 2016.02.23 유성훈 19730
'프로듀스101'이 불편한 두 가지 이유 10 file 2016.03.27 조수민 19725
제주 감귤박물관에서 '귤빛 추억'을 만들다 file 2018.10.25 김다연 19717
올림픽의 진정한 의미 file 2016.08.21 박채운 19705
V 계열 신경작용제란 무엇인가 file 2017.07.19 박서영 19703
처음으로 부산에서 열린 2016-2017 KCC프로농구 올스타전! 3 file 2017.01.22 김다정 19700
STADIA 혁신인가, 꿈일 뿐인가? 2 file 2019.04.10 방재훈 19699
일본을 덮친 맹독성 불개미 1 file 2017.07.15 박형근 19689
상주시 청소년참여위원회 '정책제안&활동보고회' 성공적으로 개최 1 file 2016.11.25 김용훈 19684
롯데월드타워는 어떻게 지어졌을까? file 2019.03.11 봉하연 19673
KBS와 MBC가 파업한 이유. 영화 '공범자들' 2 file 2017.09.11 임하은 19667
뇌사=죽음? 1 file 2017.04.25 하영서 19660
서울 북 페스티벌, 이번엔 로봇이다!! file 2016.09.03 박성우 19656
인천 남동구 도림주공아파트, Earth Hour 운영 file 2016.04.22 박은진 19654
아름다운 예술의 나라, 프랑스 탐방기 file 2019.03.13 10기송은지기자 19648
보다 많은 청소년에게 대한민국 유일무이 모의유럽연합대회 참여의 기회를, MEUK 2017 2 file 2017.05.28 박수아 19645
앞으로의 미래는 청소년이 앞장선다! 1 file 2019.01.28 심화영 19640
세계인의 튤립 축제,keukenhof 1 file 2019.05.13 최예주 19636
2017 제2회 청소년 모의 UN 인권 이사회 UPR 대회가 열리다 file 2017.09.13 박지민 19635
논란의 PRODUCE 101 시즌 2, 이대로 괜찮은가? <pt 1. 비정규직 편> 2 file 2017.05.15 박소이 19632
외계인과의 소통, '컨택트'의 물리학적 해석 6 file 2017.02.26 유승민 19630
민족 대명절 설 제대로 알고 보내자 13 file 2016.02.08 김상원 19630
양평 속 하늘, '천사의 집' file 2016.05.24 조혜온 19626
빠르고 편리한 비대면 키오스크, 과연 소외계층에게도 '편리'할까? 2 file 2021.03.25 남서영 19617
니콜라 테슬라, 거의 모든 것을 발명한 남자 file 2017.07.25 김도연 19612
여의도는 얼마나 큰가요? 2020.10.13 박지훈 19609
'글로리데이'청춘의 아픔을 그려낸 청춘영화 file 2016.03.25 홍경희 19607
한양의 으뜸 궁궐, 경복궁 file 2017.04.22 임상희 19604
일본의 반성 없는 역사 왜곡의 순환으로 몸살 앓고 있는 '평화의 소녀상' 4 file 2020.10.23 김태환 19601
성북구청 주최, 설과 발렌타인데이를 맞이하여 공정무역으로 사랑을 나누다 9 file 2016.02.28 김혜연 19600
풍성한 거리예술축제 '2019 목포 세계마당 페스티벌' 4 file 2019.10.02 조햇살 19582
대마도에서 '대한민국'을 엿보다. 7 file 2017.01.27 서상겸 19581
제83회 국어능력인증시험(TOKL) 2017.03.24 노도진 19578
수원 화성에 숨어 있는 과학 1 file 2016.06.25 강기병 19568
환경을 생각하는 텀블러, 리유저블 텀블러 4 file 2019.10.24 박효빈 19552
'질문은 발견' 유스보이스, 청소년의 목소리 지원하는 컨퍼런스 개최 6 file 2016.02.21 서소연 19551
삼성생명공익재단, 2018 삼성행복대상 시상식 개최...청소년 분야 5명 수상 file 2018.11.08 디지털이슈팀 19550
'탁' '찰칵' '서걱' 여러가지 키보드 소리 2 file 2017.03.25 박수연 195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