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우리나라 먹거리의 잔혹사 첫 번째, 우지파동

by 5기오동민기자 posted Sep 04, 2017 Views 1695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올 8월 들어서, 우리의 먹거리는 3번이나 파동을 겪고 있다. 음식 파동은 1년에 한 번 일어나기 힘든, 그만큼 한 번 터지면 식품업계, 소비자, 정부 모두에게 피해를 입힌다. 그런데 올해 8월에 일어난 것만 살펴보자면 유럽산 수입 계란과 국내 유통 계란에서 간·콩팥등을 손상시키는 발암물질인 피프로닐(진드기 등의 해충을 죽이는 살충제)이 잔류됐다는 논란이 난 살충제 계란 파동, 유럽산 햄과 소시지에서 E형간염을 일으키는 HEV 바이러스가 검출 됐던 소시지 파동, 그리고 하림 계열사의 닭고기가 기준치 6배 이상의 구충제 성분에 노출됐다는 닭고기 파동까지 가공육, 양계업 업계는 물론, 식약처와 소비자의 미래까지 걱정스러울 지경으로 사태가 커졌다. 이런 상황에서 본 기자는 과거에 일어났던 식품 파동을 재조명하며 과거의 일을 통해 어떤 교훈을 얻어야 할지, 또 그걸 통해 지금 현재의 사태를 어떻게 현명히 대처를 하고 인식을 할까 하는 취지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식품 파동인 ‘우지 라면 파동’ 사건을 취재해보았다.

a3ed249731e698bc4c4ecd7f0d905473.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오동민기자]

그 전에 라면의 역사를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다. 1963년, 삼양식품 전 회장인 전종윤이 5만달러의 지원을 받고 일본 기업에게 라면 제조 기계와 기술을 전수받아 ‘삼양라면’이라는 우리나라 최초의 라면을 만들었다. 당시 가격은 100g당 10원이었는데, 처음에는 라면이라는 음식이 한 끼 식사로는 익숙하지 않았고 닭고기 베이스의 비린 맛은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지 못했다. 여기서 정부가 가뭄의 단비와 같은 밀가루 음식 보급 정책(혼분식 보급정책)을 펼치며 라면이 소비자들에게 보급됐고, 맛 역시 지금의 ‘매운 라면’으로 바뀌면서 ‘삼양라면’은 1980년대까지 농심과 오뚜기와 함께 라면업계의 메이저기업으로 우뚝 섰었다. 하지만 절정의 끝은 내리막길이 오듯이, 1989년 ‘삼양라면’은 물론 라면 업계를 뒤흔들 사건이 터진다.

5c20b4b3d18ea774b703b1441d90671a.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오동민기자, 이미지 제공=동아일보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음']

‘우지라면 파동’은 1962년에 식품위생법이 시행된 이래 최초의 식품 파동인데, 1989년 검찰 측이 삼양식품을 포함한 5개 기업에서 공업용으로 분류된 우지를 미국에서 수입해 마가린, 라면 등을 만들었다는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해 삼양식품 대표를 포함한 간부 10명을 소환해 조사를 했다. 이유는 제조과정에서 쓰인 우지가 식용으로 쓸 수 있는 산가 기준치를 초과했고, 이는 윤활유에서나 쓰이는 수준이라 식품위생법을 위반했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여기서 반전이 일어난다. 증거 조사를 위해 삼양식품의 모든 라면의 제조 원료를 조사했는데 모두 이상이 없다는 결론이 나온 것이다. 이런 파동이 벌어진 데에는 사실 ‘공업용’으로 판명이 난 미국산 우지는 소의 지방에서 짠 기름 중에서 2~3등급으로 판명이 난 것인데 우리나라는 2~3등급 우지는 과자와 같은 유탕처리 식품에 쓰이는 식용우지라고 판단하지만, 미국 기준으로는 숟가락으로 바로 떠먹을 수 있는 1등급을 제외한 나머지 기름을 공업용이라고 보기 때문에 이런 논란이 난 것이다. 실제 일본의 라면 업체에서는 2~3등급 우지와 돼지기름(돈지)으로 라면을 튀겨서 제조를 한다. 정상적인 제조 과정으로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공업용’이라는 이유로 억울한 조사를 받은 ‘삼양식품’은 9년 뒤, 1997년 최종 무죄선고를 받는다.

e843b986b19b527a634f412bc006fdc3.jpg

[이미지 제공=듀프레인 블로그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음']

하지만, ‘삼양식품’은 9년의 시간 동안 많은 손해를 봤는데 원래 60%의 업계 점유율을 유지하다가 우지파동 이후 15%까지 떨어졌다고 알려졌지만, 사실은 80년대부터는 ‘농심’이 ‘신라면’과 ‘안성탕면’, 그리고 ‘짜파게티’를 앞세워 ‘삼양’을 밀어내고 업계 1위로 급부상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삼양식품’은 이 사건 이후로 다시는 1위로 올라갈 저력을 잃고 재기불능 상태에 몰렸고 이후 ‘오뚜기’가 새롭게 도약을 하면서 2013년 기준으로는 3위로 밀려났고, 2017년 현재는 3위마저 위태로운 상황이 되었다. 결국 이 사건은 검찰의 선동과 언론의 왜곡, 잘못된 식품 정보와 인식이 삼위일체를 이루어 ‘삼양식품’이라는 라면 업체를 몰락의 길로 몰아넣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5기 오동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박선형기자 2017.09.04 22:59
    요즘 식품 문제가 많이 생기면서 대체 언제부터 이런 문제가 생겼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었는데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된 것 같네요
  • ?
    5기손수근기자 2017.09.11 11:54
    사회부기자 손수근입니다.
    '이런 파동이 벌어진 데에는 사실 ‘공업용’으로 판명이 난 미국산 우지는 소의 지방에서 짠 기름 중에서 2~3등급으로 판명이 난 것인데 우리나라는 2~3등급 우지는 과자와 같은 유탕처리 식품에 쓰이는 식용우지라고 판단하지만, 미국 기준으로는 숟가락으로 바로 떠먹을 수 있는 1등급을 제외한 나머지 기름을 공업용이라고 보기 때문에 이런 논란이 난 것이다' 라는 기사 일부분을 보면서 삼양라면은 사회적 낙인으로 인해 업계 1위에서 밀려나야 했고, 무고한 사람들이 피해를 볼 수 밖에 없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정부가 기업의 잘못된 점을 시정하기 위해 단속하고 제재하는 것은 옳지만 정확하지 않은 사실을 기반으로 사회적여론형성을 통해 여러 기업들이 피해보지 않는 일이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 ?
    6기오지석기자 2017.09.22 13:50
    부모님께서 예전 쓰레기만두 사건도 얘기해 주신적이 있습니다. 못생긴 단무지의 끝부분을 썰어 넣었다는 이유로 기사에 그렇게 실렸고 만두업체 사람들이 사업체부도로 자살한 경우도 있었다고. 식품안전감시는 당연 필요하지만 정확한 근거와 기준을 가지고 기사를 써야겠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7227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4018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58614
떠오르는 세월호 떠올라야 할 진실 file 2017.03.25 김지원 10538
땅울림 동아리;대한민국은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다? 2017.11.30 안정민 14888
따뜻한 봄날 피크닉, 그 뒤에 남은 쓰레기들 4 2015.05.24 신정은 26125
딜레마에 빠진 청와대 국민청원,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2.27 남홍석 9594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새로운 무역전쟁의 '예고편' file 2021.04.28 박수현 8291
등교시 단정한 교복.. 저희에겐 너무 답답해요 4 file 2016.03.24 박나영 20392
등교개학 이후, 학교 VS 코로나-19 2020.06.16 홍승우 8610
들썩이는 불의 고리, 지진 대처법은? 1 file 2016.04.26 김정현 15529
드론 야간 비행 허용 국회 통과 ··· 긍정적인 부분만 있는 건 아니야 1 file 2017.07.25 이정수 11710
드라마, 과연 현실성은? 3 file 2016.04.20 이민정 16321
드디어 임박한 토론, 후보들의 앞에 놓인 과제는? file 2022.02.03 김희수 10920
뒤늦게 알게된 요양원 건설 소식, 주민들의 반발 file 2018.02.26 하태윤 12248
동탄 메타폴리스 화재, 인명 피해까지 발생해 3 file 2017.02.06 이채린 20839
동성애 차별금지법과 동성혼 허용 개헌을 반대하는 대학 청년 연대, 기자회견을 열다. 2 2017.08.12 박수빈 12678
동물보호법, 유명무실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2 file 2016.07.25 김혜빈 14685
동물 학대와 동물 유기, 해결책이 필요할 때 1 file 2019.03.08 강서희 19210
돌아오지 못한 눈물, 스텔라 데이지호 4 file 2017.09.26 임용택 15176
돌고래들의 권리는 안녕합니까? 13 file 2016.02.22 김승겸 17652
돈에 있는 바이러스를 씻어내기 위해서는 세탁기에 돈을 돌려야 한다? 3 file 2020.08.24 이채원 19436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한 유튜버 file 2020.12.29 윤지영 8942
돈 없이도 가능한 해커 : 피해 급증하는 랜섬웨어 1 file 2017.02.13 김지환 18813
독도를 향한 그들만의 외침 file 2018.04.16 최운비 12344
독도를 위해 할 수 있는 일 3 file 2016.03.20 정아영 45710
독도는 협상 조건이다? file 2019.06.13 맹호 13390
독도는 일본땅? 어이상실한 日 학습지도요령 해설서 논란 6 2017.06.30 김성미 11442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3 2017.04.28 유현지 11992
독도, 기억해야 할 우리의 땅 2017.10.25 김민영 12403
독감백신 종이상자로 유통 file 2020.09.28 윤지영 8508
독감백신 사망자 점차 증가 1 file 2020.10.29 박정은 8458
독감 예방주사, 선택이 아닌 필수다 2 2017.10.20 박채리 13400
독감 백신, 대체 어떤 종류가 있길래? 4 2020.11.02 김태은 14049
도편 추방제와 탄핵 1 file 2017.02.25 김지민 16723
도시가스 요금 인상과 누진세 개편 file 2016.12.25 장서윤 29918
도서정가제 전면시행 그리고 2년, 3 file 2017.01.25 이다은 18896
도를 넘어선 길거리 쓰레기.. 해결책은? 1 2017.08.05 이승우 18872
도를 넘는 북한의 도발, 국민들은 안전한가? 2 file 2017.09.19 윤익현 19494
도로를 내 집 창고처럼 file 2016.06.19 한종현 15783
도로 위의 무법자, 버스 7 file 2017.01.21 신승목 17486
도로 위 무법자, 전동 킥보드...이젠 안녕 1 file 2021.05.20 변주민 9867
도넘은 야당의 발목잡기 file 2017.06.25 손수정 10328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러시아 변호사와 만나다 1 file 2017.07.25 류혜원 11462
도날드 트럼프와 할리우드, 그 불편한 관계 6 file 2017.01.25 장윤서 16572
덴마크 법원, 정유라 구금 4주 연장...송환 장기화 2 file 2017.02.25 박지호 13610
덴마크 - 한국 수교 60주년 file 2019.05.29 남윤서 10397
데이트 폭력은 사랑이라고 할 수 있는가? 1 2018.12.19 이유경 12095
더이상 한반도는 안전하지 않다, 계속되는 여진, 지진대피요령은? 3 file 2016.10.30 김영현 19143
더불어민주당의 위기… 난관 잘 헤쳐나가야 file 2021.05.10 김민석 6999
더불어민주당의 새로운 대표 이낙연, 그는 어디까지 갈 수 있을것인가 file 2020.09.04 문해인 75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