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제주도청, 과연 요일별 배출제 과연 잘 시행되고 있는가?

by 5기이호진기자 posted Sep 01, 2017 Views 1895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제주도는 2017년 7월부터 본격적으로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를 시행하고 있다.

실시한 지 1달이 되어가는 요즘, 요일별 배출제가 잘 시행되고 있는지 확인해보았다.

결과는 상황에 따라 달랐다. 인구 유동량이 많은 클린하우스와 아파트단지에 위치한 클린하우스는 상당히 요일별 배출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부분이었다. 물론 요일별 배출제가 잘 이루어지는 클린하우스도 일부분 있다. 하지만 대부분 자세히 살펴보면 해당 요일에 배출되어야 하는 쓰레기와 다른 요일에 배출되어야 하는 쓰레기가 일부분 보인다.

이러한 상황을 보면 요일별 쓰레기 배출제가 아직 정착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KakaoTalk_20170821_232457073.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이호진기자]

(인구 유동량이 많은 아파트 쪽 클린하우스, 클린하우스가 넘치고 있음.)

실제로, 2017년 7월부터 제주에 본격 시행된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에 대한

제주 도민의 인식을 제민일보에서 조사한 결과

89.4%가 배출제 시행을 인지. 2.7%는 인지 못함.

쓰레기 처리난 해소가 되는지 여부에 대해선

45.1%가 도움이 된다는 의견.

서귀포시 동지역(50%), 남성(50.7%), 50대 이상(64.7%),

교수와 연구원(100%) 등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많음.

요일별 배출제가 도움 되지 않는다는 의견이 26.5%.

배출제 정착에 소요되는 기간은

3년 이상이라는 의견이 32.7%로 가장 많았다.

이처럼 요일별 쓰레기 배출제는 아직 정착이 미숙한 걸로 더욱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단점으로는, 요일별 쓰레기 배출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것은 여름이다. 여름은 쓰레기를 바로바로 버려줘야 벌레가 꼬이지 않는다.

요일별 쓰레기로 인해 쓰레기는 줄어들지만, 집안이 더러워지는 돼 버리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나온다. 이것 또한 요일마다 배출할 수 있는 쓰레기를 늘려 해결하려 했지만, 역부족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그리고 클린하우스에 쓰레기 분리수거를 돕는 도우미들로 예산이 나간다, 물론 쓰레기를 줄이는데 환경적으로 금전적으로 좋지만 도우미를 계속해서 배치하고 임금을 주다 보면 나가는 예산은 무시할 수 없다.

KakaoTalk_20170821_232455359.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이호진기자]

(위 사진처럼 클린하우스의 넘침 현상이 줄어들고 주변이 깨끗한 효과)

하지만 요일별 배출제를 시행함으로써 얻는 효과 또한 많다.

요일별로 쓰레기를 배출하는 품목이 적어짐으로써 클린하우스 넘침 현상이 줄어들고, 재활용품이 더욱더 깨끗이 배출된다는 점에서 환경미화원들의 수고를 덜 수 있다.

요일별 쓰레기는 장 · 단점이 이렇게 있다. 요일별 쓰레기 배출제는 시범실시 내로 주민들의 의견을 더욱더 경청하고 수렴하여 더욱더 좋은 정책으로 이끌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5기 이호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47619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1233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50260
제40회 전국 만해백일장, 3·1운동 100주년 맞아 성황리에 마무리 file 2019.03.05 정다운 17403
제3회 한국학포럼, "한국의 매력에 빠져봐~" 1 2017.07.31 김현재 14232
제3회 학교 흡연예방을 위한 '블루리본 주간' 운영! 2 file 2018.06.08 김리나 18537
제3회 배곧꿈여울축제 file 2019.10.29 심재훈 17701
제3회 Mun 101 개최! 2 file 2017.08.10 최서진 15410
제36회 대통령배 전국수영대회 개최 2017.08.28 박수연 15298
제32회 새얼백일장 1 file 2017.04.26 이다은 14262
제32회 새얼 백일장 성공리에 마무리 file 2017.04.25 이다은 13946
제32회 도쿄올림픽 그 이후 2021.08.12 송유빈 12362
제2회 퀴어문화축제와 레알러브 시민축제를 가다 file 2018.10.22 제라향 15938
제2회 운암골 융합(STEAM) 과학·소프트웨어 축전 file 2018.06.04 오경찬 16951
제2회 소리영어(LEFA) 영어 말하기 대회 개최 1 file 2017.04.08 오소현 18007
제2회 서대문구 청소년연합축제 ‘청청(靑廳)' 개최 1 file 2017.12.26 안지수 15903
제2회 ‘추억이 방울방울 망원동 방울내길 축제’ 개최 file 2022.09.13 이지원 8570
제2회 1318 할로할로 청소년어울마당 성황리에 막 내려 file 2017.11.01 손수근 17935
제2호 인터넷 전문은행, 카카오뱅크 3 file 2017.07.20 이종은 13777
제2의 한한령 규제로 될 것인가? file 2021.09.28 강민지 9993
제2롯데월드 석촌호수 러버덕(rubber duck) '화제'…아시아투어 마지막 서울 선택해 4 file 2014.10.20 이유진 26900
제28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file 2019.01.22 이주희 16865
제26회 포항 어린이날 큰잔치 2019.06.04 11기김정규기자 18664
제24회 유기동물 행복찾는 사람들 바자회 개최 file 2016.07.11 정수민 17013
제23회 한일고교생교류캠프 서막이 열리다~! file 2016.07.18 윤동욱 14726
제22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가 열리다! 1 file 2018.08.20 정유경 15014
제21회 우석대학교 전국 고교생 백일장 개최, 내 삶에 색을 입히다 file 2019.05.27 정다운 17737
제21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을 다녀오다. file 2017.09.26 백준채 13973
제21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열리다 1 2017.08.28 진다희 17725
제20대 대통령 선거 file 2021.10.21 고은성 18291
제1회 인천리빙디자인페어 2020.11.25 김경현 13182
제1회 ICT 장애인 보조공학기기 공모전 개최 file 2020.08.18 김하진 14551
제1회 '청년의 날', BTS가 연설로 서막을 열다 1 file 2020.09.25 조예은 14481
제19회 화려한 부천국제만화축제 화제! 3 file 2016.08.21 문근혜 15491
제19대 대통령 선거, 청소년들도 투표를 했다고요? file 2017.05.10 임해윤 15712
제18회 힐링 YES 광주 충장축제 file 2021.11.22 김명현 9473
제18회 추억의 충장축제 file 2021.12.13 채원희 9395
제18회 거제시 청소년문화축제 file 2019.06.17 조혜민 19077
제18회 '성남시 자원봉사 박람회' 개최 file 2017.11.01 박소윤 14419
제17회 영상제:안동여자고등학교와 안동고등학교의 합작 2 file 2017.02.19 윤나민 21480
제17회 연산대추축제, 그 문을 열다 file 2018.10.23 정호일 13728
제17회 신동엽 시인 전국 고교백일장, 신동엽 시인 50주기 맞아 뜨거운 문학의 열기 file 2019.04.16 정다운 21724
제17회 대한민국청소년영상대전 시상식 file 2019.11.26 정민규 22859
제16회 2017 KWC 시상식의 그 뜨거웠던 현장 속으로! 5 2017.08.25 박채영 14932
제15회 SEFF,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8.05.25 유지연 14348
제14회 평택 환경축제 성황리에 개막! file 2017.05.25 김정은 14798
제14회 평택 환경축제 성황리에 개막 file 2017.06.03 김정은 14410
제13회 경암 바이오유스캠프 file 2017.09.22 한제은 16609
제13회 경암 바이오 유스 캠프에 가다 file 2017.10.18 성도연 15776
제100회 전국체전, 꿈을 향해 앞으로 나아가다 file 2019.11.01 최아영 14765
제 7회 한국청소년학술대회(KSCY) - 미래 IT 분야 인재들을 만나다 (인터뷰) 9 file 2017.01.22 이지희 177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