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반려동물에서 한순간에 유기동물로..대한민국 유기동물의 현주소

by 신정은기자 posted Feb 26, 2015 Views 2715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405-815 인천광역시 남동구 백범로 267, (간석동)


해마다 증가하는 유기동물의 개체수가 점차 사회적 문제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국민 5명 중 1명 꼴인 19.7%가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고, 그 중 81%가 반려견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추세가 더해져가는 만큼 반려동물에 대한 책임이 경시화 되며 유기동물의 개체 수가 늘어나고 있다. 2008년 2012년 사이에 길가에 버려진 유기동물은 해마다 약 9만 마리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들 중 구조되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보내지는 동물들은 6만 마리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나라 유기견들의 현주소

유기동물 문제의 현실을 취재하고자 '행복한 유기견 세상' 에서 운영하는 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에 위치한 유기견 보호소인 '사랑터'를 찾았다. 지역단체가 아닌 개인이 운영하는 단체인 '행복한 유기견 세상'은 인터넷으로 봉사신청을 받아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유기견들을 돌보고 있었다. 사랑터의 책임자 중 한 분인 A(가명)씨와 이야기를 나눠보았다.



크기변환_크기변환_20150224_140153.jpg


[▲자원봉사자와 사랑터의 유기견들(기자 본인 촬영)]


Q. 평소에도 많은 자원봉사자들이 오는가?

A. 주말에는 선착순으로 신청을 받을 만큼 봉사자분들이 많이 찾아오시지만 평일에는 아무래도 많은 분들이 오지 못하신다. 봉사자 분이 없는 날에는 혼자서 개들을 돌보는 편이다.

Q.'사랑터'의 개들은 어떤 경로로 데려오게 된 것인가?

A. 이 개들 모두 인천시에서 운영하는 유기견 보호소에서 입양해온 아이들이다. 아무래도 유기동물로 시보호소는 공간상, 재정상의 여우가 없기 때문에 열흘 정도 보호를 받는데 그 열흘 안에 주인을 찾거나 입양되지 못하면 안락사를 당한다. 그래서 '사랑터'뿐만 아니라 많은 개인단체에서 유기동물들을 입양해서 돌보기도 한다.


Q. 시보호소에서 입양을 할때 따로 정한 기준이 있는가?

A. 여기있는 개들 중 절반은 몸이 아픈개들이고 절반은 마음의 상처가 아직 많이 남아있는 개들이다. 한마디로 딱히 정해진 기준을 없다는 것이다. 나도 사람인지라 보호소에서 입양을 해올 때 더 눈길이 가는 아이를 데려오는 것 같다.



'행복한 유기견 세상'를 비롯한 많은 개인, 지역 단체에서 유기동물들을 보호하고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이 순간에도 무책임한 사람들에 의해 힘 없이 거리에 버려지고 있는 동물들이 있다. 사람과 교감하며 함께 살아가는 동물을 반려동물이라고 한다. 사랑받던 반려동물에서 유기동물이 되어버린 그들의 상처는 누구에게 있는 것일까. '나 하나쯤 버려도..'라고 생각한 우리가 만든 비극은 아닐까.


<2기 수석팀 신정은기자(jungeun1116@naver.com)>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2기박하영기자 2015.02.26 20:38
    동물들도 감정이 있는 생물인데 하찮게 생각하지 말고 끝까지 책임지는 사회 분위기가 하루빨리
    만들어져서 유기견들이 더 이상 생겨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728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518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9597
한 여성의 억울한 죽음, 그리고 그 이후의 논란 5 file 2016.05.24 유지혜 21253
한 여성의 죽음, 그리고 갈라진 여성과 남성 3 file 2016.05.22 김미래 17104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8075
한·중 수교 25주년, 사드에 한중관계 흔들 file 2017.09.01 한결희 10713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 관계 개선될까? file 2017.10.20 박현규 11420
한겨레교육, 꼭 알아야 하는 글쓰기 교육 11월 개강 file 2022.11.01 이지원 13477
한결 나아진 무더위, 안심할 수 있을까? file 2018.08.22 안혜민 11080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2 file 2020.10.21 차예원 11223
한국 관광업의 미래, 관광데이터분석가 file 2018.11.05 이승철 11796
한국 남성, 일본 여성 폭행... 과연 반일감정? 1 file 2019.09.26 김지은 10374
한국 드디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하나? 김빛내리 교수와 코로나19 바이러스 file 2020.04.24 윤혜림 15264
한국 첫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1차 선거 통과 file 2020.09.23 차예원 11999
한국 청소년들, 정치에 관심 없다 2 file 2019.11.25 이세현 15301
한국 최초 기관단총 K1A 2020.05.27 이영민 13060
한국 해군의 경항모에 제기된 의문들과 문제점 file 2021.02.22 하상현 12191
한국, 디지털화 수준 60개국 중 7위…"성장성은 49위에 그쳐"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11168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9339
한국, 소비자신뢰지수 22년만에 최고.."1995년 이후 최고 수준" file 2017.08.22 디지털이슈팀 11219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file 2022.03.07 윤초원 6678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file 2022.08.05 이지원 8189
한국디스펜서리 주관 ‘2022 식약용 대마 분석·보안 컨퍼런스’ 12월 23일 개최 file 2022.12.16 이지원 6237
한국목재재활용협회, 오염된 폐목재의 무분별한 중고거래 대책 마련 촉구 file 2022.09.13 이지원 6366
한국문학의 거장, 최인훈 떠나다 file 2018.07.25 황수환 10462
한국사 국정교과서, 역사 왜곡 논란에도 결국.. 2 file 2017.02.21 이주은 18395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 그룹홈 아동 원가족복귀 지원 사업 완료 file 2022.08.25 이지원 5775
한국은 지금 마스크 전쟁중 1 file 2020.02.27 차현서 9304
한국의 보수가 영국의 보수당에서 배울점은 무엇인가? file 2018.03.08 김다윗 12517
한국의 조용한 축제 제21대 총선 file 2020.05.18 이가빈 7980
한국인은 잠재적 확진자? 늘어나는 한국인 입국 금지 국가 file 2020.03.02 김예정 8707
한국전쟁 70주년인데...20일간의 일촉즉발 남북 관계 file 2020.06.26 김대훈 11529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산불 진화 현장 속 '숨은 영웅' 자원봉사자 활약 소개 file 2022.06.07 이지원 7273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수해 복구 대응 자원봉사 활동 지원 추진 file 2022.08.19 이지원 6997
한국청소년재단, ‘투표한다람쥐’ 캠페인 실시 1 file 2022.05.30 이지원 5775
한글날 맞아 '한글날 휘호 대회' 가봤더니...한류 열풍에 외국인도 몰려 file 2023.10.12 조이현 6692
한글문화연대, ‘제2회 외국어 남용에 불편했던 이야기 수기·영상 공모전’ 개최 file 2022.07.01 이지원 5868
한나라의 대통령이...비난받는 브라질 대통령 1 2020.04.17 조은우 8841
한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한령 2 file 2017.05.26 유수연 12426
한마음으로 뭉친 시민들의 광화문 집회 1 file 2016.11.06 김관영 18763
한미 미사일 지침 47년 만에 폐지! 자주국방에 한 걸음 더 가까이! 1 file 2021.05.24 하상현 10415
한반도 문제의 판이 커진다? - 북러 정상회담과 중국의 반응 file 2019.05.02 맹호 12629
한반도 비핵화 운전대 잡은 韓, 떨떠름한 中,日 file 2018.03.08 박현규 10560
한반도 평화 물꼬 튼 '평창 동계올림픽' 1 file 2018.05.02 이선철 12032
한반도, 통일을 외치다! 2018.05.02 김하영 10964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전쟁 file 2016.09.24 이민구 16874
한반도에 봄이 온다 1 file 2018.05.02 강예진 11176
한반도의 판도라의 상자, 고리 1호기의 영구폐로 3 file 2017.06.22 이빈 11482
한일 갈등과 불매 운동, 그 속으로 file 2019.08.27 박은서 11446
한일 무역전쟁과 깊어지는 한일 갈등 file 2019.08.19 윤대호 115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