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콘돔이 성인용품이라고? '프리콘돔데이'

by 5기이채린기자 posted Aug 27, 2017 Views 2602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유명 포털사이트에 ‘콘돔’을 검색하면 그린인터넷 캠페인에 따른 검색결과라는 문구가 뜨고 연령에 따라 전체 결과를 볼 수 있다고 안내된다. 일부 마트나 편의점에서는 콘돔을 구매하려는 청소년에게 신분증을 요구하고 만 19세 미만은 콘돔을 구매할 수 없다고 못 박는다.
하지만, 사실 콘돔은 ‘성인용품’이 아니다. 돌출형 콘돔, 사정지연형 콘돔 등은 여성가족부 청소년 유해물건 고시(고시 제2013-51호)에 따라 청소년이 구매할 수 없도록 되어 있지만 이외의 일반형(초박형 포함) 콘돔은 청소년이 구매, 사용하는 데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청소년의 콘돔 사용에 대해 불법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청소년은 콘돔을 사용하지 못하는 줄 알았다는 김민지(17) 씨는 “평소 성에 대해 쉬쉬하는 분위기와 어른들의 눈초리 때문에 콘돔이 성인용품인 줄로만 알고 있었다”며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다”고 털어놓았다.
그런 사회 분위기를 바꾸기 위해, ‘프리콘돔데이’가 열렸다.




지난 8월 5일 신촌 연세로 홍익문고 앞에서 EVE Sexual Healthcare(주식회사 인스팅터스) 주최의 프리콘돔데이 행사가 열렸다.
본 행사는 여성가족부의 ‘쾌락통제법’ 폐지를 촉구하고 청소년의 안전한 사랑을 보장하기 위하여 기획되었다. 여성가족부 고시 제2013-51호, 일명 쾌락통제법은 청소년 유해물건에 대한 고시로서 돌출형 콘돔을 포함한 특수 콘돔을 청소년이 구매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EVE 측은 이러한 콘돔에 대한 법적 제한이 피임 도구에 대한 접근성을 제한하고 청소년의 사랑을 막는 요인이 되고 있다며 쾌락통제법 폐지 서명운동 동참을 당부했다.



rsz_kakaotalk_20170816_232523498.jpg

[이미지 촬영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이채린기자]


당일 페스티벌에서는 서명운동 외에도 ‘나는야 콘돔왕’ 퀴즈와 ‘이브야 놀자’ 체험관, EVE포토존 - SNS 포스팅 이벤트 등 다양한 이벤트가 진행되었다. ‘나는야 콘돔왕’ 부스에서는 콘돔에 관한 상식 퀴즈를 진행하였다. 퀴즈 중에는 ‘콘돔은 재사용이 가능한가?’, ‘콘돔의 사용기간은 몇 년인가?’ 등의 문제가 포함되어 착각하기 쉬운 콘돔 상식을 점검해볼 수 있었다.




크기변환_크기변환_KakaoTalk_20170816_23252527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이채린기자]


체험관 ‘이브야 놀자’ 부스에서는 페니스 모형과 콘돔을 사용해 올바른 콘돔 착용법을 교육하였고, 참여자들이 직접 체험하도록 하였다. 또, EVE 포토존에서 사진을 찍고 SNS에 사진을 게시하면 EVE Dotted(돌출형) 콘돔 한 박스를 경품으로 증정하여 ‘프리콘돔데이’라는 이름에 걸맞는 이벤트를 선보였다. 쾌락통제법을 겨냥하여 돌출형 콘돔을 경품으로 증정했으나 정작 해당 고시에 따라 청소년에게는 초박형 콘돔을 대신 증정해야 한다는 애로가 있었다.
이번 행사에 참여한 느루(성미산학교 11학년, 18세) 씨는 “이번 프리콘돔데이를 통해서 콘돔의 유통기한 등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고 전하며, “청소년은 쾌락통제법에 의해 돌출형 콘돔을 받지 못했다는 점이 아쉬웠다. 청소년도 안전하고 즐거운 섹스를 할 권리가 있다”고 쾌락통제법에 관한 견해를 드러냈다. 더불어 콘돔이라는 말이 부끄러운 청소년에게 “성관계는 잘한 것도 아니고 못한 것도 아닌 자연스러운 일이다. 임신을 원하지 않을 경우 피임을 잘 한다는 가정 하에 섹스는 당연한 권리”라며 섹스에 대해 죄스러워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강조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5기 이채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이준형기자 2017.08.27 18:41
    첫 부분에 '콘돔'을 검색하면 연령제한이 걸리는 부분이 청소년으로서 공감이 됩니다! 우리 모두 올바른 지식을 가지고 생활을 했으면 하는 부분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
    5기이채린기자 2017.08.29 21:42
    우리 사회의 대대적인 인식 변환이 시급합니다 ㅠㅠ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 ?
    5기강채원기자 2017.08.27 20:36
    학교에서도 성교육 하다가 콘돔 이야기가 나오면 킥킥거리고 수근거리던 같은 학급 남학생들이 눈 앞에 아른거리네요 8ㅅ8 한국의 성교육이 어디서부터 어떻게 잘못되었는지 되짚어보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아요. 재미있는 기사 감사합니다ㅎㅎ
  • ?
    5기이채린기자 2017.08.29 21:44
    올바른 성의식이 정착되고 이름뿐이 아닌 성교육이 실시된다면 그런 친구들도 없어지겠지요? 재밌게 읽어 주셔서 감사해요 ㅎㅎ
  • ?
    4기최민규기자 2017.08.28 00:14
    청소년 특히 한국의 청소년들에게는 꼭 필요한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5기이채린기자 2017.08.29 21:45
    동감입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5기박광천기자 2017.08.28 00:16
    성을 부끄러워해야 하는 대상으로 여기는 전반적인 사회 분위기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된 것 같습니다. 색다른 주제에 많은 것을 알고 가네요. :ㅇ
  • ?
    5기이채린기자 2017.08.29 21:46
    제 기사로 성에 대한 사회 분위기에 대해 생각하게 되셨다니 너무 기분이 좋습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 ?
    5기김수미기자 2017.08.28 01:49
    성에 대한 인식이 개방적이지 않은 사회 분위기로 인해, 성을 부끄럽게 생각했던 한 청소년으로서, 이 기사를 통해 많은 반성을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 ?
    5기이채린기자 2017.08.29 21:49
    헉 ㅠㅠ 생각을 바꾸어 주셔서 저야말로 감사합니다 ㅠㅠ!
  • ?
    5기한동엽기자 2017.08.28 23:00
    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다소 개방적이지 않은 사회 분위기를 잘못되었다고 비판하게 되는 계기 중 하나를 바로 이 문제라고 늘 생각했습니다. 이런 행사를 통해 앞으로의 청소년은 물론이거니와 전반적인 사회 인식과 분위기를 바꾸어 나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 ?
    5기이채린기자 2017.08.29 21:49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앞으로 이런 행사가 더 더 많아졌으면 좋겠네요! 기사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0955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5048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63824
세종시 가온마을 시민들, '가온2 소소한 잔치' 개최 file 2023.07.04 빈나현 7346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3 부산디자인위크 file 2023.07.04 박우진 7278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어린이들이 직접 뽑은 어린이 대상 시상식 개최 file 2023.07.04 박도현 7819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제3회 어린이 대상 개최 file 2023.07.04 유영진 7283
서울시립미술관, '에드워드 호퍼: 길 위에서' 전시 개최 file 2023.06.29 이민주 8829
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 개관 5주년 특별전...김병종 40년, 붓은 잠들지 않는다 2023.06.29 이재은 7534
생명존중을 전달한 뮤지컬 '나는나비' file 2023.06.29 변수빈 6733
'거신 바람의 아이', 국내 애니메이션 흥행에 도전하다 file 2023.06.29 김휘진 8656
미국의 유명 테마파크들의 고등학생을 위한 행사 file 2023.06.24 이승주 9089
20세기 거장들의 작품을 한 자리에서 만나다 file 2023.06.22 박진하 7199
부천문화재단, 도시사파리 예술시장 열었다 file 2023.06.22 박도현 6818
부천시, '우크라이나 난민 어린이에게 보내는 곰인형 봉사' 개최 file 2023.06.15 오다연 7043
서울 잠수교 뚜벅뚜벅 축제와 한강 달빛 야시장 file 2023.06.15 홍혜린 8353
나탈리 카르푸셴코 전시회, 한국에서 처음 선보여 2023.06.15 박채림 7322
정화별 연출의 뮤지컬 '나는 나비', 생명 존중 가치 확산 file 2023.06.15 최나린 7919
"우정은 가장 섬세한 사랑이다"...영화 '소울 메이트' file 2023.06.13 22기배현주기자 8995
뮤지컬 ‘나는나비’, 세상의 모든 나비들에게 전하는 메시지 file 2023.06.13 최승현 8875
클래식 내려놓고 재즈 취하기...쇼팽 in 뉴욕 클래시컬 재즈 나잇 file 2023.06.13 김진영 8057
춘천을 주제로 한 시민 작품 전시 '틈새展' file 2023.06.13 이도연 7927
3년 만에 개최된 대저토마토축제 file 2023.06.12 김보민 6837
청소년 위한 창작뮤지컬...'나는나비' 시즌4 공연 file 2023.06.05 윤예림 7218
생명존중 뮤지컬 ‘나는나비’ 공연을 보고 file 2023.06.05 박준하 7177
세븐, 이다해 결혼식...YG 패밀리 한 자리에 file 2023.06.01 박태양 8575
[포토] 루드비히 미술관 컬렉션 '피카소와 20세기 거장들'전 file 2023.05.30 조영채 7034
2023 해운대 모래축제 개최...전국 유일 모래 소재 전시회 file 2023.05.30 진혜원 8027
[포토] 대구 엑스포서 대규모 뷰티 박람회 진행돼 file 2023.05.29 허민영 7254
[포토] 홍대 KT&G 상상마당에서 열린 '지구에 커튼을 쳐 줄게'전 file 2023.05.29 박예찬 7567
날컴퍼니, 생명존중 뮤지컬 '나는나비' 공연 개최 file 2023.05.29 박주영 8972
[포토] 마이아트뮤지엄, 루트비히 미술관 컬렉션 개최 file 2023.05.29 박우진 7594
재해석展 In Love, 대구 라이크디즈위드서 열려 file 2023.05.29 정다솔 7157
OTT 플랫폼들, 야구 콘텐츠에 꽂혔다...'스포츠 다큐' 제작 확대 file 2023.05.29 정해빈 7022
막대 풍선 대신 플라스틱 응원 배트...야구장 속 일회용품 줄이기 file 2023.05.29 정해빈 7175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한국청소년진흥협회' 경찰에 수사 의뢰 file 2023.05.26 디지털이슈팀 6875
[포토] 굿네이버스 서울서부지부, 기후위기 캠페인 진행 file 2023.05.25 김동연 7397
거대 로봇 애니메이션 '거신: 바람의 아이' 18일 개봉 file 2023.05.25 유영진 10224
신창섭 감독의 토종 애니메이션 '거신: 바람의 아이' file 2023.05.25 정윤서 10419
한독수교 140주년 기념 '피카소와 20세기 거장들' 전시 열려 file 2023.05.24 이주하 9042
[포토] 2023 목포노을드론라이트쇼 공연 file 2023.05.24 조연재 6257
202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8개 나라의 특색 모아 2023.05.24 박상연 6807
토종 애니메이션 '거신: 바람의 아이', 제주의 신화를 풀어나가다 file 2023.05.24 육아연 9261
국산 거대 로봇 애니메이션...'거신: 바람의 아이' file 2023.05.24 최영서 8636
경기 부천에 '부천아트센터' 개관...문화도시 부천의 발돋움 file 2023.05.24 박도현 7189
한국 근현대 미술사를 담아낸 이건희 특별전...울산서 열려 file 2023.05.11 조나영 7819
'기후산업국제박람회' WDE 2023, 부산에서 이달 말 열린다 file 2023.05.06 배경민 6966
[포토] '뒤샹의 후계자'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5.06 이정연 8201
연극 ‘소년대로’, 보호종결아동들의 위태로운 삶 그렸다 file 2023.05.06 최승현 8263
친환경 실천하면 포인트 쌓인다...탄소중립포인트 제도 file 2023.05.06 이주하 7664
'스즈메의 문단속'이 흥행했던 이유 file 2023.05.06 최지민 83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