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스윙 보터? 게리맨더링? 캐스팅보트?

by 4기강민기자 posted Jun 26, 2017 Views 1475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많은 분야가 그렇듯 정치에도 관련 용어가 있다. 이런 용어들을 알아둔다면 언젠가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을 것이다. 당신도 어디선가 들어봤을법한 정치 용어 몇 가지를 소개한다.


#1: 오락가락 스윙 보터

스윙 보터(swing voter)는 대선, 총선 등 선거에서 누구에게 투표할지 결정하지 못한 유권자를 말한다.

이들 스윙 보터는 선거때마다 지지 정당과 후보가 달라진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스윙 보터 지역은

충청도를 뽑을 수 있다. 충청도는 지역정당이었던 선진통일당이 18대 대선을 앞두고, 새누리당과 합당하면서 보수 강세 지역이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그러나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충청권의

광역자치단체 4개 선거구(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를 모두 새정치민주연합이 싹쓸이했다. 미국에서는 스윙 스테이트(swing state)라는 말이 있는데, 진보와 보수가 박빙인 부동층 주를 뜻한다. 예를 들어 오하이오주, 네바다주가 있다.



#2: 도마뱀 모양의 게리맨더링

게리맨더링(Gerrymandering)은 선거구를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1812년 미국에서, 매사추세츠 주지사였던 엘브리지 게리는 공화당에 유리한 방향으로 선거구를 조정했는데, 그 모양이 해괴한 도마뱀 모양이 되었다. 신화 속의 동물인 샐러맨더(Salamander)와 게리를 합쳐 게리맨더링이 되었다.



#3: 팽팽할 땐? 캐스팅보트!

캐스팅보트(casting vote)는 합의체의 의결에서 가부()가 동수인 경우에 의장이 가지는 결정권이다. 이는 헌법 49조에도 나와있다. 또한 원내 1당과 원내 2당의 의석 수가 비슷할 때 원내 3 당이 주도권을 쥘 때도 쓰인다. 지난 2016년,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당시 새누리당)의 의석 수가 단 1석 차이일 때, 국민의 당이 캐스팅보트를 쥐고 있단 평가를 받았다.


캡처.PNG

▲ 20대 총선 당시 안철수 공동대표는 제3 당 체제를 성공시켰다. 국민의 당은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게 된다. 

[이미지 제공= (st_leo)님 네이버 블로그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을 허락 받음']


#4: 오리처럼 뒤뚱뒤뚱, 레임덕

레임덕(Lame duck)은 대통령 등 고위 공직자의?임기 말을 말한다. 뒤뚱뒤뚱 거리는 오리처럼, 임기 수행에 문제가 생겼을 때 이 말을 쓴다. 임기말 증후군, 권력 누수 현상이라고도 한다. 꼭 임기 말이 아니라도 여소 야대 상황도 레임덕 현상이라 지칭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강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002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664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0272
'구멍뚫린' 지역주택조합 file 2017.02.24 박다혜 14413
미국의 파리협약 탈퇴- 위기의 기후협정 file 2017.06.10 김민진 14415
역대 최장 길이 '48.1cm' 비례대표 투표용지, 18년 만에 100% 수기 개표 9 file 2020.04.09 김대훈 14421
사생팬의 위태로운 경계 1 2017.10.23 김다은 14431
위조 신분증 이제는 해결할 수 있다? file 2017.08.28 임소현 14432
마약밀매(DRUG TRAFFICKING)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1 file 2017.03.16 정수빈 14438
스마트폰에 밀려버린 키즈산업…토이저러스 파산 위기 2 file 2017.10.20 김나현 14439
당연하게 된 사교육, 원인은? 3 file 2017.05.27 김혜원 14446
블라인드 채용 법 발의 5 file 2017.07.09 송선근 14447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464
미투 운동 후 1년, 우리에게 묻는다 1 file 2019.04.02 신예린 14471
[기자수첩] 부산 오피스텔 돌려차기 사건...가해자는 전과 18범이었다 file 2023.04.26 김진원 14473
미국 대선은 트럼트와 반트럼프 2 file 2016.03.25 황지원 14483
만화를 현실로, 포켓몬 GO 3 file 2016.07.25 유한나 14489
[우리 외교는 지금: 시리즈] ① THAAD 논쟁부터 배치까지 2 2017.03.26 홍수민 14493
제주도에서 산 초콜릿 뒤에 숨은 가격의 비밀은? file 2018.10.29 신효원 14500
소통하는 정부로의 첫 걸음, 대국민 보고회 '대한민국, 대한국민' 2 file 2017.08.24 서정민 14505
SNS는 사람이다 file 2019.11.29 전혜은 14525
미세먼지,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1 file 2019.04.09 박현준 14541
사드 배치, 황강댐 ‘수공’ 레임덕 완화 도구 1 file 2016.07.18 이민구 14543
'있어빌리티'는 이제 그만 file 2019.05.07 신아림 14556
다이지에서 울산 고래 전시간까지...돌고래의 끝없는 고통 3 file 2017.02.28 박설빈 14576
착취 당한 수많은 여성들과 26만 명의 남자들 "텔레그램 n번방" 12 file 2020.03.24 김예정 14580
소년법, 처벌의 강화가 최선인가? file 2017.09.27 양은향 14589
월드컵으로 경제 한걸음 – 월드컵과 경제 그리고 대한민국 2 file 2018.07.20 김민우 14593
“허위사실 유포 강경 대응”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명예훼손으로 A청소년언론 대표 고소 file 2017.12.12 디지털이슈팀 14595
안전을 덮는 위장막, 이대로 괜찮은가? 2018.11.08 김근욱 14597
사람 하나 잡는다, 가짜 뉴스가 뭐길래? 5 2017.02.24 김가은 14613
김영란법에서 구제역까지, 축산업계 울상 file 2017.02.25 정현호 14614
무엇이 피해자를 숨게하나 2 file 2016.05.26 김민주 14615
연세대학교 이관형 교수 연구진, 원자 한 층 두께에 전자회로를 그리다 file 2018.11.07 백광렬 14630
누구의 외교부인가? 4 file 2017.02.25 구성모 14636
한 사람에게 평생의 상처를 남긴 수완지구 집단폭행 사건 3 file 2018.05.25 박한영 14636
거듭된 욱일기 사용 논란, 우리가 예민한 걸까? file 2018.09.27 서호진 14640
성남시청소년 연합회, 다케시마의 날 철회를 위한 규탄 결의 대회 참석 file 2017.02.26 이가현 14646
청소년의 방역패스, 필수인가 선택인가 1 file 2022.01.21 최재원 14649
죽어서도 편히 쉴 권리, 반려동물에게도! 2 file 2016.09.30 박채원 14657
전북 전주 고준희 양 실종 한 달째····경찰 수사 역경에 처해 3 file 2017.12.20 허기범 14662
주황리본, 제2의 세월호 file 2017.11.30 안옥주 14666
탈코르셋, 페미니스트... 왜? file 2018.10.05 김혜빈 14668
개성공단은 재가동 되어야 한다 8 file 2016.02.23 조민성 14684
美서 '북한·러시아·이란' 통합제재안 통과, 각국의 반응은? 3 file 2017.08.09 홍동진 14686
아무도 지켜주지 못한, 그리고 모두가 외면한 2 file 2016.06.16 조민성 14691
[이 달의 세계인]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 파나마 페이퍼를 공개하다. file 2016.05.24 정가영 14695
신생아 낙상사고 후 3년간 사실 은폐... 의료윤리는 어디로? 2019.06.24 한웅희 14699
돌아오지 못한 눈물, 스텔라 데이지호 4 file 2017.09.26 임용택 14705
점점 사라져가는 생물들...생물 다양성을 보전하자! 1 2020.02.13 윤혜림 14708
2월 탄핵 불가능에 촛불이 다시 타오르다! file 2017.02.17 조성모 147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