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대한민국 교육정책, 장미대선으로 뒤바뀌다.

by 4기윤은서기자 posted Jun 24, 2017 Views 980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646ffb65a918cc6a529b01bdf8bd51a.png



[이미지 제공= 청와대 홈페이지(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지난 59,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결정으로 인해 조기 대선이 치러졌다. 우리 국민들은 정의로운 사회 성립을 바라는 염원을 담아 투표에 참여했고, 그 간절함의 결과 77.2%라는 높은 투표율이 나타났다. 우리 국민은 정권교체의 적임자로 더불어 민주당의 문재인 후보를 선택했고, 5자구도 속에서도 41.1%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이 되었다.

문 대통령이 앞으로 수행해 나갈 공약들 중 우리가 관심 있을 것은 단연 교육정책일 것이다. 앞으로 변화할 교육정책들을 미리 알아보고 대비해보자.

첫 번째는 수학 능력 시험(이하 수능)과 고교 내신의 절대평가 전환이다.

이는 학생·수험생에게 석차등급 대신 성취도에 의한 등급을 부여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수능이나 내신에서 석차순으로 1등급, 2등급, 3등급 등을 부여하는 대신 성취도 순으로 90% 이상은  A, 80% 이상은 B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는 학생들이 과열된 점수 경쟁에서 벗어나고, 적성에 맞는 학습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취지로 이해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변별력을 키우기 위한 또 다른 대학 전형이 생길 수 있고,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하면 도입하기 어렵다는 등의 목소리도 있다.

두 번째 교육공약에는 논술, 특기자 전형 폐지가 있다.

이 공약은 사교육의 과열을 최소화하고, 2의 정유라가 등장하지 못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 공약에 대해 대선 토론회에서 “대입에서 논술전형과 특기자전형을 없애 대입을 단순화하고, 그것을 통해 사교육비를 낮추자는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그 동안 전형 준비에 있어서 사교육에 의한 불평등으로부터 시달려온 학부모와 학생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성적이 낮은 학생들이 상위권 대학을 갈 수 있는 돌파구를 없애버리는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마지막은 외고, 국제고, 자사고의 단계적 일반고 전환이다.

이는 일반고와 특목고의 교육 불평등을 해소하고, 일반고의 교육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특목고에서의 경쟁을 위한 극심한 선행학습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하지만 일부는 학생들의 학업성적 하향평준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고, 사교육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정책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학생들에게 교육정책은 그들의 미래를 바라보는 척도가 된다. 정책이 모두의 마음에 알맞을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중요한 요소인 만큼 앞으로 시행될 교육정책들이 우리가 생각하는 정의와 상식에 부합할 수 있길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 4기 윤은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이하영기자 2017.07.18 15:54
    기사를 읽고 '정책이 모두의 마음에 알맞을 수는 없을 것이다.' 라는 문장에 공감했습니다. 좋은기사 잘 읽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5264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976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38170
불법 신상 유포 웹사이트 발목 잡는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file 2020.10.26 나영빈 11129
몰카피해자, 정부가 나선다 2 2018.05.28 이채원 11128
여름철을 맞아 횡단보도 그늘 쉼터를 마련한 정자동 주민센터 1 file 2017.07.18 박소윤 11128
그것이 알고 싶다, 텔레그램 n번방 file 2020.03.26 오경언 11121
더 이스트라이트 폭행사건, 결국 계약해지까지... file 2018.10.29 박현빈 11121
몰카 범죄...하루빨리 해결책 내놓아야 file 2019.01.28 김예원 11119
보이저 2호, 태양권 계면 벗어나다 file 2018.12.24 김태은 11115
‘디지털 성범죄’, 언제까지 솜방망이 처벌인가 1 file 2018.08.28 강수연 11115
고교 학점제는 학생들을 위한 교육의 첫걸음이 될 수 있을까? 1 file 2017.08.21 김유진 11110
마음을 울리는 노란 나비, 국제사회로 '1295번째 날갯짓' 2 file 2017.08.11 김유민 11109
미세먼지, 우리가 줄일 수 있습니다 2018.07.25 임서정 11108
최순실 1심 판결, 징역 20년·벌금 180억 원·추징금 72억 원 file 2018.02.22 허나영 11107
청와대, '난민법, 무사증 입국 폐지/개헌' 거부 답변을 내놓다 file 2018.08.07 김나현 11103
미투운동-대한민국의 확산 2 2018.03.05 안승호 11102
청소년에게 듣는 '19대 대선과 대한민국' 1 file 2017.05.20 박상민 11095
제2의 신천지 사태? BTJ열방센터 확진자 속출 file 2021.01.28 오경언 11094
"MB 구속 요구 기자회견" file 2017.10.31 한지선 11093
심판들의 치솟는 권위, 아무 말도 할 수 없는 선수들. file 2018.04.26 김동현 11090
꺼지지 않는 촛불들이 가져온 승리 file 2017.03.22 김예찬 11090
한반도, 통일을 외치다! 2018.05.02 김하영 11089
코로나19가 당뇨발생 위험률 높인다 2022.05.16 신은주 11087
대한민국을 뒤흔든 '차이나게이트' file 2020.03.03 정승연 11085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1084
제천 화재로 소방 관련 법 입법의 필요성 드러나. file 2018.01.29 서호연 11084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첨단 무기 판매 file 2017.10.10 이종은 11083
제로금리에 가까웠던 美 기준금리 7년 만에 인상, 우리나라에 미치는 엉향은? file 2017.03.22 이승희 11083
경남 거제시 호우 경보, 학교의 늦장대응에 갈팡질팡하는 학생들 2 file 2017.10.02 조가온 11080
최저임금 8350원, 그 숫자의 영향력 4 file 2018.07.19 박예림 11077
하늘을 뒤덮은 미세먼지 file 2019.03.15 박보경 11073
기무사 계엄 “실행” 계획, 국외자의 ‘반란’ file 2018.07.27 김지민 11071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가...언론의 무서움을 말하다 2 file 2018.07.26 김지연 11070
쓰촨 성에서 산사태 발생, 140여 명 매몰 1 file 2017.06.24 박유빈 11069
미국 전역 애도 물결 , 웜비어 3 file 2017.06.27 조채은 11068
코로나로 위험한 시국, 대통령을 비판한 미래통합당 file 2020.08.25 박미정 11064
갑작스러운 북중 정상회담, 왜? file 2018.04.05 박현규 11060
카카오뱅크가 국내 금융시장에 불러올 파급효과 file 2017.08.31 김진모 11058
탄핵, 그 후 경제는? file 2017.03.21 장혜림 11058
허리케인 어마와 마리아 이후의 푸에르토리코 섬 file 2017.11.27 이민정 11056
명성이 떨어져 가는 블랙 프라이데이, 그 뒤에 사이버 먼데이? file 2019.01.07 이우진 11051
‘Crazy Rich Asians’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예술의 도덕적 의무를 살펴보다 1 file 2018.11.26 이혜림 11048
8년 만의 일본 총리 교체, 한일관계 변화 올까? file 2020.09.25 김진성 11047
그해 봄은 뜨거웠네 2 file 2018.05.23 최시원 11045
'김정은식 공포정치' 6년차…또 하나의 희생양 '김정남' file 2017.03.25 소희수 11044
촛불 대통령에게 '레드카드'를 보내다 file 2017.05.16 김소희 11037
세계의 양대산맥, 미국-중국의 무역전쟁 file 2019.12.23 전순영 11033
개 구충제인 펜벤다졸, 정말로 암 치료에 효과가 있을까? 5 2020.02.24 배선우 11032
설 연휴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홍역 예방법 file 2019.01.28 김태은 11032
더불어민주당 2022년 대선 후보, 이재명 후보로 지명 file 2021.10.12 이승열 110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