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문화칼럼] 가장자리와 가장자리 사이에 있었더라면

by 4기김정모기자 posted Jun 22, 2017 Views 2288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현대사회에 많은 약자가 있지만 우리는 알지 못한다. ‘알지 못 한다보다는 우리의 관심 대상이 아니다. 우리는 그들에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사회적 약자라고 칭해지는 이들에게 우리는 무언가의 도움이 되지 못한다. 역대 대통령과 국회의원들은 모두 사회적 약자나 저소득층, 그리고 진정히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단지 자신의 이익만 챙기기에 급급하고 표를 많이 받을 수 있는 중산층의 표만 챙기려고 노력한다.

7184a6ac681c59becc49706157d42244.jpg

*서울환경영화제 책자 속 영화 <가장,자리> 소개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정모기자]


어쩌면 영화 <가장,자리>는 이런 모습을 가장 잘 보여준다. 그들은 재개발이라는 문제를 둘러싸고 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시민이 불이익을 받는다. 그들의 삶의 터전이 없어진다. 그리고 그들의 소유물조차도 사라진다. , 냉장고, 세탁기 할 것 없이 다 가지고 간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정부나 지역구 국회의원은 아무 일도 하지 않는다. 친기업적 성향의 모습으로 서민에게 다가간다. 결국, 서민과 시민에게는 아무것도 돌아오지 못한다. 행당6구역의 시민들은 처참히 무너지고 만다. 그들의 집은 한순간에 없어지고 만다.


영화 <가장,자리>는 제목에서도 우리의 문제를 부각한다. 가장자리에 몰려있는 우리가, 가장과 자리 사이에 ','를 붙임으로써 우리의 상황이 점점 위험해지고 있다는 것을, 그리고 집을 지켜야 할 가장, 그들이 무너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가장 필요한 자리가 그들에게 가장자리로 몰린다. 그들은 절벽 아래 낭떠러지로 떨어지기 일보 직전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후보 당시의 공약으로 '도시재생뉴딜' 정책을 선보였다. 재개발하여 깨끗하고 보기 좋은 도시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도 이것만은 반드시 알아야 한다. 이 정책을 시행하면 보이지 않는 곳 보이지 않는 사람들끼리 서로 싸워야 한다고. 누구는 크게 이득을 보겠지만, 누구는 크게 손해를 볼 것이라고. 그리고 중산층의 표만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 소외된 사람들도 생각해야 한다고. 모두에게 관심을 기울여야 된다는 것, 명심해야 한다.


행당 6구역에서 투쟁하시던 분들은 '장송가'노래를 틀어놓는다. '장송가'는 죽은 사람을 위로하는 노래이다. 그들이 그곳에서 이 노래를 틀어놓았던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우울한 심정을 드러내는 것은 분명하다. 어쩌면 하나하나 떠나가는 사람들을, 결국은 굴복당한 사람들을, 죽은 사람들로 표현하고 그들을 위로하는 것은 아닐까.


이제는 행당 6구역은 없다. 다 떠났다. 아니 쫓겨났다. 이제는 그 노래를 틀어줄 사람이 없다. 들어줄 사람도 없다. 이제는 그 노랫 소리를 들을 수 없다. 어쩌면 계속 듣지 못했으면 하는 우리의 바람도 있다.

-523, 서울환경영화제에서 단편영화모음 영화 <가장,자리>를 보고나서.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김정모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8576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7079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414847
폭력적인 언어에 노출된 청소년 이대로 괜찮은가? 2014.07.26 이인애 26394
포항테크노파크, 어려운 지역사회에 도움 한스푼 file 2020.08.31 최은영 14129
포항의 경제 중심지, 죽도시장으로 오이소! file 2016.05.23 권주홍 18568
포항시 포은도서관 ‘Fun! Fun! 만화축제!’ 성료 file 2016.04.25 이유수 20375
포항 지진에 수능 연기…재난·재해 인한 연기는 처음 (2보) 2 file 2017.11.15 디지털이슈팀 16022
포포페스타서 열린 영등포사회복지관의 '아동 놀권리' 캠페인 file 2023.11.24 조혜영 7985
포켓몬스터들의 제 2의 전성기 - 포켓몬go file 2016.07.26 김은형 19349
포켓몬 고, 성공 비결은 캐릭터? 13 file 2017.02.11 장서연 18296
포켓몬 고(Pok?mon GO)가 추락하는 이유 무엇인가 3 file 2017.02.24 임유리 23930
포켓몬 고 한국 정식 출시, 증강 현실(AR)이란? 13 file 2017.02.03 정승훈 18242
포켓몬 GO, 흥행 유지에 성곡할 수 있을까? 2 file 2017.03.04 최유석 14732
포켓몬 GO, 안전하게 GO! file 2017.05.22 최윤경 14925
포장지, 없앨 수 있을까? 2018.04.10 김소연 16727
포스트잇은 왜 노란색일까? 1 file 2021.11.25 민지혜 12105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IT 기업의 재택근무 file 2020.11.26 류현우 13956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포코스쿨 우수학급 대상 ESG+진로 탐색 특강 진행 file 2022.11.14 이지원 8356
포마켓, 포천 시민이 만들어가다 file 2019.08.26 김선우 16044
포근한 햇살을 품은 마비정 벽화마을 4 file 2015.02.17 전지민 32389
폐쇄된 놀이공원, 활력을 되찾다! file 2016.03.21 박지혜 25422
폐건물이 청춘들의 아지트로 탈바꿈하다 ‘청춘 창고’ 3 file 2017.03.06 이소명 29138
평화통일을 향한 한 발자국 1 file 2016.08.04 천예영 16467
평화의 소녀상의 거제 나들이 2 file 2018.01.29 최다영 17232
평화의 길을 달리다 'PEACE ROAD'의 출발 file 2017.08.21 윤묘출 14825
평택시 청소년들, 국제교류 자원봉사로 외국인과 소통하다 5 file 2017.10.20 황연희 15811
평창으로 맞이할 해외 관광객, 어디로 가야할까 1 file 2018.01.09 김정환 16811
평창올림픽 기념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展, 한·중·일이 한곳에 1 file 2018.02.09 김시은 19814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며 2017 서울아리랑페스티벌 한마당 1 file 2017.11.06 단승연 17083
평창동계올림픽, 기나긴 여정의 결실 file 2018.03.26 조유나 15977
평창동계올림픽 남북단일팀, 통일로 한 걸음 vs 섣부른 판단 2 file 2018.01.26 정유미 17587
평창동계올림픽 기념 2천원권 지폐, 11월에 나온다 file 2017.08.29 디지털이슈팀 16834
평창동계올림픽 G-1, K-드라마 페스타 in 평창 행사 개최 1 file 2017.02.20 고주연 16988
평창과 사랑에 빠지다 2 file 2018.03.09 백예빈 17483
평창 패럴림픽, 이렇게 즐기는 건 어때? file 2018.03.02 이소현 15981
평창 패럴림픽 마스코트, '반다비' 2 file 2018.03.01 이가영 16157
평창 올림픽의 꽃 자원봉사자 면접을 가보다! file 2017.03.19 김채현 15590
평창 올림픽 D-228, 평창호 탑승자가 되는길! 3 file 2017.06.29 김채현 15415
평창 성화, 홍천을 밝히다 file 2018.01.31 박가은 17584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그 속사정은? 2 file 2018.02.27 윤성무 16239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적인 마무리 file 2018.03.03 김세빈 16730
평창 동계올림픽, 그 화제의 현장 속으로 2 2018.02.28 안효진 16051
평창 동계올림픽, 그 시작과 성공 file 2018.03.08 이수인 17852
평창 동계올림픽 상품들, 수호랑은 이제... 2018.03.06 정현택 16378
평창 동계 올림픽, 남북 외교의 발판 될까? file 2018.03.01 안성연 15497
평창 굿즈 열풍, 올림픽 성공적 개최의 신호탄일까? 2 file 2017.12.15 윤정민 16645
평생 늙지도 죽지도 않는 법, 텔로미어 file 2021.06.02 백우빈 17541
평범한 일본 시민이 5년 동안 전기세를 내지 않고 생활한 비결은? 2 file 2017.08.24 이윤희 15747
평등한 세상을 위한 도전, 퀴어퍼레이드와 함께 1 file 2019.06.11 원서윤 19184
평내동청소년자치위원, 복지 사각지대에 계신분들에게 사랑을 나눠요. 6 file 2017.01.24 황보민 208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