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대한민국의 캡틴 기성용에 대해 파헤쳐보자!

by 4기어일선기자 posted Jun 21, 2017 Views 1880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기성용(Ki Sung Yueng)


186cm 75kg


스완지 시티


대한민국




*유스부터 현재까지


 기성용은 축구 감독이었던 아버지(기영옥)의 영향을 받아 축구를 시작했고 2001년 축구와 영어를 공부하기 위해 존 폴 칼리지(John Paul College)에 입학합니다.


이곳에서 2005년까지 공부를 한 뒤 한국으로 돌아와 광주에 있는 금호 고등학교의 입학 해서 졸업을 합니다.


그 후 다시 호주에 있는 그리피스 대학교에 입학합니다.


그 후 1년이 채 지나지 않은 2006년에 K리그 클래식에 있는 FC서울에 입단합니다.


첫 시즌인 2006년에는 단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지만, 2007년 셰놀 귀네슈 감독이 부임한 이후로부터 점차 출전 수를 늘려가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2009년까지 FC서울에서 총 64경기에 출전해서 9골을 기록하며 팀을 떠나게 됩니다.



그 후 입단한 팀은 스코틀랜드의 명문 클럽 셀틱.


이곳에서 초반에는 출전 기회를 잘 못 잡기도 했지만, 2010남아공월드컵 이후 자리를 기회를 차츰 더 얻었고, 2012런던올림픽 동메달 획득으로 병역 문제가 해결되자 잉글랜드,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에 여러 명문 클럽에서 러브콜을 받게 되었습니다.


셀틱에서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뛰며 66경기에서 11골을 기록했습니다.


  그 여러 팀들 중 기성용이 택한 팀은 현재 소속 팀인 스완지시티이었습니다. 당시 2012년 스완지시티의 구단 역사상 최다 이적료인 6m 파운드를 기록하며 입단했습니다.


데뷔 시즌이었던 2012-2013시즌에 패스 축구를 구사하는 미카엘 라우드럽에 지휘 아래에 시즌 9, EFL컵 우승이라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하지만, 2013-2014시즌을 앞두고 스완지는 많은 중앙 미드필더 자원을 영입했고, 당시 라우드럽 감독과 불화설도 있었던 기성용은 같은 리그의 선더랜드로 임대 이적합니다.


선더랜드로 임대를 떠나서도 좋은 활약을 유지, 아니 어쩌면 더 좋은 활약을 보였습니다. 거스 포옛 감독의 4-1-4-1 전술 아래에서 기성용은 자신의 아래에 4백 뿐만 아니라, '진공청소기' 리 캐터몰 덕분에 조금 더 공격적인 롤을 부여받습니다. 새로운 롤에서 더 좋은 움직임, 패스 능력을 선보였고, 선더랜드에서도 EFL컵 준우승이라는 값진 기록을 남깁니다.


선더랜드 에서 1시즌 동안 34경기 4골을 기록합니다.


그 후 그는 원소속팀이었던 스완지 시티로 다시 복귀했습니다. 이적설이 돌고 있었지만, 자신과 불화설이 있었던 라우드럽 감독이 경질되면서, 다시 복귀하게 되었습니다. 복귀해서도 꾸준한 활약을 보이다가,



2015-2016시즌이 종료된 후 스토크 시티에서 오퍼를 했지만, 스완지 측에서 거절했습니다.(그냥 갔더라면...)


현재까지 스완지 시티에서 126경기 10골 기록 중입니다.


*·단점과 플레이 스타일


 기성용은 국내 선수, 아니 아시아 선수 중에 가장 뛰어난 패스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탈압박능력 또한 뛰어나다고 하는데, 요즘 플레이를 봐서는 탈압박을 잘 시도하지 않는 것 같다.


어찌 됐건 기성용의 짧은 패스, 긴 패스, 템포 조절 등 중앙 미드필더로서의 능력은 정말 아시아 정상급이나, 가장 큰 단점이 있다. 그것은 바로 '과감성'이다. 기성용의 경기 스타일을 보면, 그가 하는 패스 가운데 60% 이상은 백패스, 횡 패스다. 물론 그 가운데 정말 템포를 조절하기 위해서 하는 백패스, 횡 패스도 있지만, 대다수는 '피하기위해'서이다.


사실 기성용의 성격을 봐서는 절대 어울리지 않는다. 그는 굉장히 자신감이 넘치고, 때로는 도를 넘어서는 행위도 몇 번 한 적이 있다. 그러나 그는 축구를 할 때는 너무나 소심하다. 분명히 기성용은 EPL 내에서도 수준급으로 통할만 한 패스 능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 능력을 극대화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국가대표 경기 때만 해도, 기성용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한 번의 롱패스, 경기 템포 조절 등 자신이 '주도'해서 경기를 이끌어 간다. 그 모습을 스완지 시티에서도 더욱 과감하게 보여줄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기성용의 플레이 스타일은 장·단점과도 당연히 연관이 되어있다. 그는 빌드업을 담당하고, 공격의 시발점 역할을 한다. 하지만 현대 축구에서의 중앙 미드필더들은 수비만 하고, 빌드업만 하고, 공격에만 치중하고, 수비에만 치중하고, 이러한 플레이를 하지 않는다. 분담하거나, 중앙 미드필더 간 조절을 한다.


+2016-2017시즌 기성용이 주춤했던 이유


 38da18b74aeb2d8c36817177fe2914ca.jpg


 스완지 시티의 공식 홈페이지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어일선 기자]


스완지는 두 명의 중앙 미드필더 들 중 한 명이 하프라인을 넘어서 전방에서의 메이킹을 도와주면, 다른 한 명은 후방에서 4백을 보좌하고, 빌드업의 시발점 역할을 한다.


사실 이 부분이 기성용에게 좋지는 못할 것이다. 기성용은 수비적인 약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수비적인 위치선정이나, 압박의 적극성 등은 나쁘지 않으나, 가로채기 즉 태클에서 자신의 최대 약점을 가지고 있다.


지난 시즌 기성용이 주춤했던 이유는 사실 여기에 있다. 개인적으로 기성용이 가장 좋은 폼을 보여준 것은 선더랜드로 임대를 떠났을 때와, 2014-2015시즌 스완지에서 뛸 당시라고 생각한다. 그때의 두 시즌과 현재 시즌을 비교해보자.


가장 먼저 선더랜드로 임대를 떠났던 시절에는, 선더랜드의 수비라인이 약했을지는 몰라도, 4백 앞을 홀로 보좌하던 캐터몰의 태클 능력은 뛰어났다. 그로 인해서 기성용의 수비적인 부담은 줄었고, 그 결과 자신의 장점인 패스를 더 선보일 수 있었다.


다음으로 2014-2015시즌. 그 당시에 미드필더 구성은 현재와 별반 다를 게 없었다. 존조 셸비와 호흡을 맞춘 적이 더 많기는 하지만, 셸비는 기성용 보다태클 능력은 좋을지언정, 패스 인터셉트 능력, 수비 가담 능력은 더 떨어진다. 그러나 기성용의 평점 상으로 본 커리어하이 시즌은 2014-2015시즌이다.


이유는 바로 수비라인에 있다. 그 당시에 스완지 시티의 수비는 매우 견고했다. 현재는 떠난 애쉴리 윌리엄스와 현재 센터백인 페데리코 페르난데스의 조합은 매우 훌륭했다. 결과적으로 이 부분 역시 기성용의 부담을 줄여 주었고, 기성용이 좋은 활약을 펼칠 수 있었다.



하지만 지난 시즌 스완지 시티의 수비라인은 EPL 팀들 중 최약체였다. 즉 내년 시즌 만약 기성용이 스완지에 잔류한다고 가정했을 때, 기성용이 살아나기 위해서는 스완지시티가, 그중에서도 수비라인이 가장 먼저 살아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4기 어일선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6310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3616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80040
'신흥 강자'로 불리던 게임들이 유독 한국에서 부진한 이유는? 1 file 2020.09.21 김상혁 90314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코로나 블루, 우울함에 대처하는 과학적 방법 2 file 2020.09.18 김다연 15989
치과 공포증, 존재하는 질환일까? 3 file 2020.09.17 김수경 16367
무기한 연기? 달라진 우리의 문화생활 2 file 2020.09.17 최진서 14584
하늘을 날고 싶어도 못나는 꿈의 비행기가 있다? 3 file 2020.09.16 이혁재 14031
코로나로 멈춰버린 지금, 집에서 문화생활을 다시 찾다 2020.09.16 이준표 13738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생중계 아이돌 팬미팅 1 file 2020.09.14 최다인 13596
렌즈, 올바른 사용법과 부작용 3 file 2020.09.09 김현수 17220
소년을 구한 용감한 보더콜리 2 file 2020.09.08 조은우 13919
미생물과의 끝나지 않은 전쟁 1 file 2020.09.08 홍채린 14064
심해지는 코로나 속에 진행되는 게임대회가 있다? file 2020.09.07 신준영 14133
코로나19가 불러온 연예계의 비상 file 2020.09.07 홍지원 14805
자연에서 위로받는 '언택트 관광지' file 2020.09.04 진효원 14216
2019-2020 UEFA 챔피언스 리그 대망의 결승전, 우승자는 누구? file 2020.09.04 김응현 13157
블랙핑크, 셀레나 고메즈와 어깨 나란히… 이제 무대는 전 세계 2 file 2020.09.03 이재윤 12435
블랙핑크 X 셀레나 고메즈 'Ice Cream' file 2020.09.03 이다원 15249
'와칸다 포에버' 블랙 팬서 채드윅 보스만의 사망 2 file 2020.09.03 이다원 15501
방탄소년단 'Dynamite' 빌보드 차트 1위 등극 1 file 2020.09.02 이다원 14788
코로나로 인해 뒤바뀐 우리의 문화 file 2020.09.01 김정안 13147
환경과 동물, 건강까지 생각하는 착한 소비의 첫걸음 '비건 페스타' file 2020.09.01 김시윤 13809
화상으로 토론하다, 대한민국 독서 토론 논술대회 2 file 2020.08.31 김수임 14602
용인시, 학생승마 지원으로 여가문화를 선도하다 file 2020.08.31 조예은 14499
피로에 시달리고 있는 지금, 효율적인 낮잠을 자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3 file 2020.08.31 김정원 13346
바이러스가 항상 인류 곁에 있었다고? file 2020.08.31 박선주 14381
포항테크노파크, 어려운 지역사회에 도움 한스푼 file 2020.08.31 최은영 14094
내가 팬덤에 속했다는 게 뭐 어때서? 3 file 2020.08.31 최유진 18662
끊임없이, 끊김없이 1 file 2020.08.31 정미강 18784
'유통기한 vs 소비기한'...지구를 위한 현명한 선택은? 1 file 2020.08.27 길서영 19344
환경과 동물, 건강까지 생각하는 착한 소비의 첫걸음 '비건 페스타' 1 file 2020.08.27 김시윤 12901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8.27 길현희 12743
많은 학자들이 함께 밝혀낸 원자의 구조 file 2020.08.26 김형인 14867
우리 집에 짱구네 백마 택배가 왔다 2 file 2020.08.26 최유진 17487
페르세우스 유성우, 내년을 기대합니다! 2 2020.08.26 김성희 12792
코로나 19로 인한 해수욕장 긴급 폐장 file 2020.08.26 김민영 12203
웹드라마 '독고빈은 업뎃중', 8월 28일 첫 방송 file 2020.08.26 노연우 17169
학교 전담 경찰관(SPO)과 함께한 청소년 정책 자문단 file 2020.08.26 박지현 16257
뉴스 제작 과정에서부터 뉴스는 객관적인 것이 아니라고? 2020.08.26 송민서 15215
레드벨벳 조이의 티셔츠 한 장이 불러온 네티즌들의 반응 file 2020.08.25 홍지원 13601
코로나19로 인한 재난 문자의 증가..."재난 문자가 재난이에요" 4 file 2020.08.25 송한비 16910
워터파크는 코로나 시기에 안전한가? 1 file 2020.08.24 나주현 13172
분데스리가의 '50+1' 정책, 과연 디딤돌인가? 장애물인가? file 2020.08.24 남상준 19020
지금 당신이 보는 MBTI 결과는 틀렸다? 2 2020.08.24 이유진 15873
'10년만의 챔피언스 리그 4강 진출!', 올랭피크 리옹, '우승 후보' 맨체스터 시티 격파 file 2020.08.24 이은호 12340
9분에 한 골! 바이에른 뮌헨, 챔피언스리그 8강전에서 바르셀로나에 8-2 대승을 거두다 2020.08.19 이준혁 13662
제1회 ICT 장애인 보조공학기기 공모전 개최 file 2020.08.18 김하진 14591
코로나시대의 예술을 만나다 file 2020.08.18 조수민 12164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알고 있나요? 1 file 2020.08.18 박효빈 14616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가 바꾼 영화관의 풍경, 앞으로는? 4 file 2020.08.14 이준표 139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