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학교 2017의 시작, 이쯤에서 알아보는 드라마 학교시리즈가 사랑받는 이유?

by 4기김혜원기자_2 posted Jun 08, 2017 Views 2465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현재 온라인 커뮤니티 상에서는 학교 2017의 제작부터 캐스팅까지 관련된 많은 부분들이 화제가 되고 있다. 5, 인기 걸그룹 IOI 출신이자 현재는 구구단의 멤버로 활약 중인 김세정이 주인공 출연을 결정하며 학교 2017에 대한 네티즌의 기대와 관심도는 더욱 커져가고 있다. 학교 201799년부터 시작한 학교시리즈를 잇는 드라마이다. 현재까지 드라마 학교시리즈는 수많은 배우와 스타를 길러 내었고 방영될 때마다 청소년을 비롯해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다. 그렇다면 학교시리즈가 대중에게 사랑받는 이유는 뭘까?


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 기자단 4기 김혜원 기자]


가장 큰 이유는 시대마다 청소년의 문제점을 다루며, 공감을 이끌어낸다는 것이다. 본 기자는 KBS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학교시리즈 각각의 드라마 별 키워드와 특징을 찾아보았다.

99년 학교시리즈의 처음 시작이었던 드라마 학교는 교사의 체벌, 가출청소년 문제 등을 다루고 있다. ‘학교2’에서는 체벌에서 벌점문제를 다루고 사춘기 학생들의 여러 고민을 담기도 했다. ‘학교3’는 학생들이 자신들의 고민을 표현하며 어른들과 소통하고 그들의 관심과 이해를 바라는 내용을 담았다. ‘학교4’에서는 교육정책과 변화무쌍한 문화 속에 정체성을 찾아나가는 청소년의 성장 스토리를 담으며, 가벼운 유행과 발전하고 있는 대중문화 속 벼락 스타를 꿈꾸는 청소년들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학교 2013’은 그 당시 큰 문제점이었던 학생들 간의 폭력을 다루며 꿈이 없이 방황하는 청소년의 모습스승과 제자간의 바람직한 관계를 보여주기도 했다. ‘후아유-학교2015’에서는 학교의 매번 떠오르는 문제인 왕따를 비롯해 학우간의 우정, 청소년의 풋풋한 사랑을 다루기도 했다. 이렇듯 학교 시리즈는 각 시대의 청춘 뿐만아니라 부모, 그리고 사회가 고민하는 문제들을 담고 있으며 이를 주인공들의 성장과 아픔으로 보여주며 대중들로 하여금 공감하게 한다. 또한 이를 통해서 사회 문제점에 해결책을 제시하기도 한다.


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 기자단 4기 김혜원 기자]


더불어 학교시리즈가 사랑받는 이유는 배우들의 케미가 아닐까? 청춘의 공동체집단인 학교를 주제로 스토리가 이어지고 또 그러한 내용을 촬영함에 있어 배우들은 실제 학우들처럼 끈끈한 관계를 보여준다. SNS나 촬영 비하인드 컷으로 보여지는 배우들의 케미는 시청자로 하여금 드라마에 기대와 팬심이 생기게 하기도 한다. 배우들이 실제 친구같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배우뿐만 아니라 시청자까지 드라마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대중은 학교시리즈에 끊임없는 관심과 사랑을 보이고 있다. 과거의 시리즈들이 좋은 결과물과 영향을 이루어내며 이번 학교 2017은 더 큰 스포트라이트와 기대감을 불러일으킨다. 사실 학교 시리즈라는 이름만으로 드라마는 이미 신뢰를 얻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이번 학교 2017도 과거의 드라마와 같이 현재 청춘들의 모습과 문제를 조화롭게 담아내며 성공적인 작품을 만들어내길 바라는 바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 = 4기 김혜원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이나영기자 2017.06.11 21:53
    학교 2015, 되게 재미있게 봤었는데...학교 2017에 김세정이 나온다니 무척 기대되네요. 어떤 내용의 드라마일지도 궁금하고요. 항상 기대를 져버리지 않았던 학교 시리즈이니, 이번 것도 재미있겠죠!
  • ?
    4기김혜원기자_2 2017.07.16 11:38
    재미있겠죠! 무엇보다 시대적 문제와 포인트를 어떻게 풀어내느냐가 중요한것같아요!! 이번의 주제는 뭐가될지 궁금하고 기대되기도 합니다ㅎㅎ
  • ?
    4기이지우기자 2017.06.13 11:06
    강조하고 싶은 내용들은 굵은 글씨로 표시해주셔서 기사를 읽기에 수월했어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김혜원기자_2 2017.07.16 11:39
    감사합니다!! 댓글덕분에 자신감이 붙는 것같아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6531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3928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83334
새 학기 가방고민, 한방에 해결하기! 1 file 2017.02.24 이서영 17206
나를 사랑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 ‘자존감 수업’ 2 2017.05.25 오희연 17201
중국의 추석, 중추절 file 2017.10.23 이진하 17197
덕후, 새로운 문화를 만들다! file 2017.10.02 이지우 17197
전주 한지 온누리에 펼치다 2 file 2017.06.04 설서윤 17197
미디어를 테이크아웃 하라 file 2017.09.27 고은서 17195
꿈의 컴퓨터, 양자 컴퓨터 file 2019.08.27 김채운 17194
카이스트가 해냈다! 이제 집에서 신경치료 하자! file 2018.11.16 백광렬 17194
콘서트 가면 '사생팬' 이라고요? 더 이상은 NO! 5 file 2016.05.05 김현주 17193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file 2021.07.12 김윤서 17190
137년 vs 14년, 한 맺힌 팀들의 대결…UCL 결승 6월 1일 개최 file 2019.05.31 권진서 17190
“나도 성악가” 부천 소사에서 펼쳐지는 가곡교실 4 file 2017.02.16 김준희 17188
이주민들의 희망센터, 로뎀 1 file 2017.03.19 김다은 17187
퀴어, 광주를 무지개로 밝히다; 제1회 광주퀴어문화축제 3 file 2018.10.25 김어진 17186
몽골 아이들의 온기를 느낀 GVT file 2016.07.25 이민재 17185
독일어를 즐기고 싶은 사람들에게, 주한독일문화원 '파쉬 페스트' 1 file 2017.06.25 장지윤 17184
유상철 감독 체제 첫 승리 인천 유나이티드 file 2019.05.29 김민형 17183
왜곡된 생리 찾아 삼만 리, “나 생리한다!” 2020.03.02 최은아 17181
보건복지부 청년수당 최종동의 3 file 2017.04.10 김승연 17181
우리나라의 의생활에 남아있는 일제 잔재 file 2021.12.03 김민정 17180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7180
민주주의의 꽃이 피워지기까지 file 2016.06.24 최원영 17178
뜨거운 코트를 가르며 BOOM UP 1 file 2019.02.08 이귀환 17176
웹드라마 '독고빈은 업뎃중', 8월 28일 첫 방송 file 2020.08.26 노연우 17174
뉴욕과 파리도 제친 서울의 물가, 세계 물가 6위를 차지하다 1 file 2017.04.15 박유빈 17171
저널리스트의 꿈을 꾸다 1 file 2017.12.04 김연주 17170
날아라 국제고 꿈꾸라 국제고인, 전국 국제고 연합 학술제: WELCOME TO GGHS file 2018.11.22 윤수빈 17169
서울시교육청 전자책 서비스 See, 한번 이용해 볼까요? 5 file 2016.02.24 지예슬 17169
생태교란종 "붉은귀거북" 무더기 발견 file 2020.05.11 김은준 17168
먼나라 이웃나라, 일본으로 교류 캠프를 떠나다 1 2017.08.09 오세민 17168
방송심의, 적절하다고 생각하시나요? - 10대부터 40대 시청자에게 물었다 2 file 2018.03.02 신아진 17163
대뇌피질 뇌지도 완성, 뇌질환 극복이 한걸음 앞으로 file 2016.07.22 박가영 17162
수화가 아니라 수어라고? - 조금은 특별한 봉사활동 file 2017.10.24 홍정연 17160
딥 러닝, 알파고의 천재적인 실력의 비밀? 4 file 2017.02.20 강상윤 17155
지친 청춘들을 위한 박지선과 폴킴의 강연, <청춘강연> 1 file 2018.06.12 김지민 17154
그리워 그리는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 1 file 2017.02.22 허선주 17146
2016년 트렌드, 정교한 감각과 평범함의 향연 file 2016.05.22 한세빈 17146
펴야 할까? 켜야 할까? 코로나 팬데믹으로 급증한 전자책 이용률…종이책 대체 가능할까? file 2021.09.23 정지운 17143
2020년 온라인 과학축제 1 file 2020.04.17 서영빈 17140
흰지팡이는 무엇을 의미할까? file 2017.09.19 정은희 17140
부산의 기자 꿈나무들, 부산일보에 모이다 file 2016.04.05 이민지 17138
수륜 메뚜기가 전국에 가을을 알린다! ‘2017 제3회 성주 가야산 황금 들녘 메뚜기잡이 체험 축제’ file 2017.10.18 김나현 17136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과 오사카시의 만남, 전국 더 리얼 at 오사카성 1 file 2017.02.23 석채아 17135
가장 한국적인 도시, 전통이 살아 숨쉬는 전주로 떠나자! file 2017.07.18 조지원 17133
한국 직장의 모습을 거짓 없이 드러낸 영화 '오피스' 6 file 2017.01.22 최윤정 17131
한국 청소년, 미국 친구들과 만나다! file 2019.07.29 이솔 17124
선동이란 무엇인가 4 file 2017.04.23 임재우 17124
1919년 3월 1일 , 그날의 함성이 우리에게 닿는 날 file 2016.03.21 한지혜 171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