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끈임 없이 존재하는 지역별, 세대별 투표 경향성에 대하여

by 4기안준혁기자 posted May 20, 2017 Views 1129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59일 제 19대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다. 이번 대선에서도 지역별 투표 경향은 계속되었다. 대구를 비롯한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에서는 보수 정당인 홍준표 후보가 문재인 후보를 앞질렀다. 이와 달리 전라북도, 전라남도 지역에서는 진보 정당인 문재인 후보가 더 많은 득표를 하였다. 역대 대선들과 마찬가지로 동서 지역 투표차이가 계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판.PNG

[이미지 제공=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안준혁기자]

다만 이번 대선에서는 지역별 투표 경향보다는 세대별 투표 경향이 더 크게 작용하였다.


문재인 후보의 안정적인 지지층인 20-40대 유권자 투표율의 증가는 이번 대선에서 크게 영향을 미쳤다. 선관위가 실시한 제 2차 유권자 여론조사 결과 20-40대의 적극적 투표 의향86.9%로 지난해보다 20, 30대 모두 각각 12.7%포인트, 19.4%포인트 올랐다. 반면 60대의 적극적 투표 의향80.8%로 지난해 91.5%보다 10.7%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과 유력한 보수 후보의 부재, 그리고 정권 교체를 원하는 여론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번 대선에서 처음으로 실시한 사전투표에서의 젊은 층의 높은 투표율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선거에서 눈여겨 볼 점은 이른바 386세대 (1960년대에 태어나 1980년대 대학에 다니면서 학생운동과 민주화 투쟁에 앞장섰던 세대를 일컫는 말.) 50대 진입이다. 386세대 또한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보수화되는 연령 효과1)가 있겠지만, 이 세대는 이전의 산업화 세대에 비해 강하지 않은 세대 효과2)도 복합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견해가 모인다. 이 대표는 “50대 여론 추이를 분석하면 정권교체라는 대의에 동의하면서도 문재인 후보가 아닌 다른 대안에도 주목해 끊임없이 지지가 이동하는 탐색기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처럼 확실하게 그들의 표의 행방을 예상할 수 없는 상황에서 386세대의 지지가 어디로 모이느냐에 따라 앞으로의 선거에서의 흐름이 좌우될 것으로 예상된다.


1)연령 효과(age effect)란 나이가 들수록 안정 지향·보수화 등 사고가 자연스럽게 변화하는 현상

2)세대 효과(generation effect)는 특정 세대의 집단적 경험에 따라 정치성향이 유지되는 것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안준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5929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2693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45505
우리가 GMO식품을 매일 먹고 있다고? file 2019.03.29 이연우 20545
우리가 기억해야 할 국제기구. 세계의 평화를 지키는 국제연합(UN) 1 file 2017.10.25 이수연 14458
우리가 기억해야 할 그 날의 용기 4 file 2017.09.01 이다빈 19167
우리가 류샤오보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 3 file 2017.07.18 박우빈 11746
우리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부의 불평등 2 file 2017.05.16 양현서 12795
우리가 쓰는 하나의 색안경, '빈곤 포르노' 1 file 2018.12.17 이지우 12474
우리가 쓰는 화장품에 가려진 동물실험 3 2020.03.23 신재연 12028
우리가 얼마나 소중한지, 당신은 알고 있나요? 2 file 2018.02.26 임희선 12683
우리가 절대로 잊지 말아야 할 세월호 1 file 2017.04.09 양희원 11673
우리가 즐겨하는 게임, 과연 바람직하게 하는 방법은? 2 file 2018.05.16 석근호 11509
우리가 한번쯤 생각해봐야 할 문제, 고독사 2020.02.19 이수미 11262
우리나라 가계부채 명목 GDP 대비 106.5%…가계경제 비상등 켜지나 file 2022.01.18 윤초원 10944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어떻게 될 것인가? 1 file 2017.08.17 김나영 12346
우리나라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해외 사례로는 무엇이 있을까? 2 file 2019.04.24 최민영 20844
우리나라 먹거리의 잔혹사 첫 번째, 우지파동 3 2017.09.04 오동민 16929
우리나라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나라다? file 2016.09.24 최시헌 17343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발생으로 인한 사회적 영향 및 대책 file 2016.06.25 조해원 17831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가...언론의 무서움을 말하다 2 file 2018.07.26 김지연 11084
우리생활속의 법 '우리는 아르바이트가 가능할까?' 1 file 2016.07.18 김현승 17850
우리의 교과서에 '위안부'가 사라진다 18 2016.02.28 하지희 19992
우리의 땅 제주 이대로 가도 될까? 1 file 2015.05.25 박다혜 23577
우리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는 주범, 미세먼지를 알아보자 2 file 2018.05.23 배민정 10542
우리의 일상을 바꿔놓은 코로나19, 백신이 나왔다? 1 file 2020.08.18 권혁빈 7986
우리의 적은 코로나19인가, 서로에 대한 혐오와 차별인가 file 2020.05.25 장은서 8937
우리의 촛불은 꺼지지 않는다. 제 17차 촛불 집회 열려 1 file 2017.03.01 안준혁 16479
우버와 에어비앤비 더 이상 공유경제가 아니다. file 2018.02.21 김민우 16106
우주로 나아가기 위한 한걸음, '인공 잎사귀'에 대하여 file 2019.04.15 전수이 13400
우주의 탄생, 작은 점이 폭발하다 1 file 2019.01.31 김가영 10065
우크라이나 사태와 반도체 기업 file 2022.02.28 이준호 6592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원자재 수급 불안 가속화하다? file 2022.03.25 이성훈 9254
우크라이나의 '개그맨' 출신 대통령 file 2019.05.22 이서준 14260
우후죽순 터지는 인사 실패와 망언들, 급락하는 윤석열의 지지율 file 2021.12.27 윤성현 8717
운치 있는 해안가 산책로, 쓰레기 투기 빗발친다 file 2020.03.02 이승연 9904
울산 롯데백화점서 2월 첫 촛불집회열려 2 file 2017.02.05 서상겸 19879
울산 모 아파트서 스팸편지 소동...주민들 "편지 때문에 불안" file 2023.12.24 성진원 5127
울산 석유비축시설 지진에 안전한가? file 2018.02.20 오지석 14136
원격수업을 주제로 한국 - 아랍에미리트 원격회담...전 세계로 퍼지는 온라인개학 file 2020.04.27 정태민 8655
원자력의 두 얼굴? 뭐가 진짜 얼굴인지 알고 있잖아요! 7 file 2017.02.12 박수지 17331
원자폭탄, 그 시작은 아인슈타인? 1 file 2020.09.21 서수민 20002
원전 찬반집회가 울산에서 열리다 2017.10.10 박채리 11366
원전밀집도 세계 1위인 우리나라, 원전사고에는 無기력 1 2018.02.21 이수안 13899
월드컵으로 경제 한걸음 - 러시아 월드컵 중계와 시장 경쟁 file 2018.07.16 김민우 15609
월드컵으로 경제 한걸음 – 월드컵과 경제 그리고 대한민국 2 file 2018.07.20 김민우 15113
월스트리트에 걸린 태극기 - 쿠팡의 미국 IPO 상장 1 file 2021.03.29 양연우 9059
위기 경보 '심각' 격상... 초중고 개학 연기 file 2020.02.26 김다인 9152
위기에 부딪힌 에너지 전환 정책, 어떻게 나아갈 것인가 file 2018.07.26 박문정 9778
위기의 인도, 코로나19 극복하나? 1 file 2021.05.25 오경언 9749
위디스크 양진호 회장, 갑질의 선을 넘었다 file 2018.11.19 박예림 109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