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우리 함께 '우리 함께'를 보여주자.

by 4기김유진기자(정치부) posted Apr 29, 2017 Views 1377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우리 함께 '우리 함께'를 보여주자.

-21일 인종 차별 철폐의 날을 맞이하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선고일인 지난 10일 'BBC 인터뷰 사고'가 인터넷을 뜨겁게 달궜다. 부산대학교 켈리 교수는 10일 자택에서 BBC와 박 전 대통령 탄핵이 남북 관계에 미칠 영향에 관한 영상 인터뷰를 하던 중이었다. 엄중한 표정으로 문답을 이어가던 중 자녀들이 차례로 방에 들이닥쳤다. 이 사실을 뒤늦게 안 켈리 교수의 한국인 아내가 황급히 들어와 아이들을 끌어내렸지만 인터뷰는 수 초간 정지됐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일부 언론과 네티즌이 켈리 교수의 아내를 '보모'로 인식하면서 돌연한 인종 차별 논란까지 일었다. "동양 여자를 자연스레 보모로 인식하는 건 인종 차별"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많은 인터뷰를 고사하던 켈리 교수는 그의 가족과 부산대학교에서 기자회견을 가졌다. 그의 부인 김 씨는 일부 외신에서 자신을 ‘보모’라고 표현하면서 벌어진 인종차별 논란에 대해 “역사적 경험 때문에 그런 생각을 가질 수도 있다고 이해한다.”라며 “하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그런) 인식이 바뀌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fde3ec91ea9cc81d6d2098a50c9bbf39.jpg

[이미지 출처 = BBC 방송국, 출처 밝힐 시 사용 가능]

지난 10일, 켈리교수가 BBC 방송에 출연 중 아이들이 들어온 일에 대해 언급하며 다시 한 방송


   오는 21일은 '국제 인종 차별 철폐의 날'이다. 국제연합(UN)이 이날을 선포한 지 51년을 맞이하지만 세계 곳곳에선 여전히 피부색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사례가 끊임없이 발생해 각종 갈등과 마찰을 야기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국내 거주 외국인이 200만 명을 넘어가면서 한국도 다문화 사회에 접어들었으나 아직 도 우리나라의 대부분 사람들은 우리는 ‘한 민족’이며 ‘단일 민족’이라는 사상을 가지고 있다. 여성가족부의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에 따르면(2015년 19세~73세 전국 성인 4000명)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지수는 100점 만점 기준 53.95점으로 나타났다. 다른 인종을 이웃으로 삼고 싶지 않다는 응답자가 4명 중 1명(25.7%) 꼴이었다. 미국(5.6%)과 네덜란드(8.2%) 등 다른 국가에 비해 현저히 높은 수치다. 다른 인종이나 종교, 문화를 가진 사람을 받아들이는 데 한계가 있다고 답한 사람은 전체의 55.3%로 2011년(39.4%)보다 오히려 15.9%P 늘었다. [뉴시스 - ‘켈리 교수 부인이 보모 ...인종차별, 우리는 자유로운가]


   2015년 12월 3일 해피투게더에서 한국의 유명인들이 미국 학교 재학 시절 당한 인종차별에 대해 논하는 시간이 있었다. 그들은 각각 얼굴에 침 뱉기, 비하 용어 쓰기, 장난감 날리기, 철제 사물함 일부러 세게 열어 다치게 하기 등의 각종 차별을 받았다고 고백했다.

   또한 최근에 인디언 흑인 소녀의 이야기 ‘모아나’라는 영화가 개봉하면서 ‘겨울 왕국’과 같은 노선에서 How fall I'll go라는 ost를 내걸었으나 지난 디즈니 작품 중 황인과 흑인을 배경으로 했던 ‘포카혼타스’와 ‘뮬란’과 같이 하강 노선을 그리며 한국 내의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러한 인종 차별 철폐를 위해 1966년에 UN 총회에서 매년 3월 21일을 국제 인종 차별 철폐의 날을 제정하였다. 이 날은 1960년 3월 21일에 남아프리카 공화국 샤프빌에서 아파르트헤이트에 반대하며 평화적 집회를 벌이다 경찰의 발포에 의해 69명의 시민들이 희생되었던 사건으로부터 유래되었다. 당시 남아프리카에서는 약 16%의 백인이 84%의 비백인을 정치적·경제적·사회적으로 차별해 왔다. 이 때문에 백인들만을 중심으로 세워진 국민당의 단독정부 수립 후 더욱 확충·강화되어 아파르트헤이트로 불리게 되었다. 이 말의 뜻은 분리, 격리를 나타낸다. 하지만 이 사건 이후 인종차별주의 법과 관습들은 많은 나라에서 폐지되었고, 유엔을 비롯하여 인종차별주의와 싸우는 세계적인 틀을 확립했다.

   세계 인권 선언의 첫 번째 조항은 “모든 인간은 존엄과 권리를 지니고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났다.”라고 확언한다. 우리는 이 인권 선언을 들었고 알고 있으나 ‘흑인은 노동력 제공자, 백인은 지식 제공자’와 같이 성급하게 일반화를 시켜버리고 마는 경향이 있다. 샘 오취리라는 가나 연예인이 jtbc ‘말하는 대로’라는 프로그램에 나와서 자신이 겪었던 인종 차별에 대해서, 그리고 한국에서 느낀 감정에 대해서 소개해주었다. 본인이 한국에 와서 차별을 당하고 있을 때에 그 누구도 도와주지 않았고, 그에게 ‘흑형’이라는 차별적 단어를 사용하며, 대부분의 매체들에서 흑인들이 맡는 역할들이 ‘나쁜 놈’.. 그리고 2014년 에볼라 바이러스 유행 당시 ‘흑인 출입 금지’라는 한 식당의 안내문을 보고 너무나 슬펐고 안타까웠고 분노했다고 한다. 하지만 여전히 한국에 남아 있는 이유는 ‘우리’라는 단어가 매우 아름답기 때문이다고 했다. 가족과 떨어져 있는 오취리에게 명절날 함께 해 주는 친구들이 있었기에, -우리 572학교-를 세울 때에 많은 한국인들의 후원이 있었기에, 자신을 응원해 주는 사람들이 있었기에 본인이 지금 이 위치까지 올라올 수 있었다고 수줍은 고백을 했다.


   어떻게 따지면 ‘우리’라는 단어가 ‘한민족’에서 시작한 너무나 작은 범주에서 시작했을지 몰라도 다르게 생각해 보면 ‘우리’라는 단어는 그 누구에게나 사용할 수 있는, 모두를 효용할 수 있는 아름다운 단어인 것 같다. ‘우리’라는 말의 정의는 ‘어떤 대상이 자기와 친밀한 관계임을 나타낼 때 쓰는 말’이다. 한국에서 ‘나’, ‘너’라는 단어보다 ‘우리’라는 말이 많이 사용되는 만큼 우리와 조금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차별하지 않고 ‘우리 함께’ 공존하는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정치부 = 4기 김유진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01499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3740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44139
남녀 모두가 좋아하는 달고나 커피 file 2020.03.26 윤예솔 14204
날컴퍼니, 생명존중 뮤지컬 '나는나비' 공연 개최 file 2023.05.29 박주영 8971
날짜에 갇혀있는 세월호 참사에 필요한 새로운 형태의 추모 file 2020.04.21 위성현 13199
날아라 국제고 꿈꾸라 국제고인, 전국 국제고 연합 학술제: WELCOME TO GGHS file 2018.11.22 윤수빈 17058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 종교란 무엇인가 2 file 2018.10.01 염정윤 18536
날개 부러진 나비를 수술해준 누리꾼 2018.09.03 8기임예빈기자 16008
난항 겪고 있는 애플카 프로젝트, 생산은 누가? 2021.03.02 김광현 12634
난공불락의 요새, 오사카성 3 file 2019.02.15 김채람 17953
나흘의 축제, 2021 서울국제도서전 file 2021.09.14 손진 11540
나탈리 카르푸셴코 전시회, 한국에서 처음 선보여 2023.06.15 박채림 7316
나이키 대란 file 2021.08.19 류태영 12838
나의 스마트폰 속 비서? 1 file 2018.09.19 김찬빈 23916
나의 생명을 다른 사람에게 연결해주세요 file 2017.10.25 고다현 14608
나의 글쓰기 실력을 뽐내라, 31번 째 새얼전국학생/어머니 백일장 열려 1 file 2016.04.24 이준성 16399
나의 fast 패션이 fast global warming을 불러 일으킨다? 3 file 2017.03.14 유리나 15628
나와 가장 생각이 맞는 대통령 후보는 누구일까? '누드 대통령' 서비스를 통해 알아보자 2017.04.25 홍종현 21050
나영석 피디, 리얼을 재료로 판타지를 만들다 2 file 2017.07.04 김혜원 20502
나에게는 예쁜 애완동물, 남에게도 그럴까? file 2017.08.29 박유진 16384
나무의 표현, 경남도립미술관 'DNA, 공존의 법칙'을 보러오세요! 2017.05.16 안현진 16086
나무여성인권상담소, 청소년 인터넷 신문 모니터링 활동 진행 2015.07.20 온라인뉴스팀 23890
나무가 입은 크리스마스 22 file 2017.01.14 최지민 16693
나무 뿌리의 습격 1 file 2017.02.28 최지민 19864
나만의 향을 기억하다, ‘향수 만들기 클래스’ file 2022.01.03 조민주 13238
나만의 사진관! 포토프린터와 인쇄 방식 file 2021.03.08 신지연 12069
나만 안되는 선거, '투표권'을 줄게, 청소년들도 투표하고 싶다! 5 file 2017.04.21 전희원 14996
나만 안되는 선거 투표권을 줄게! 청소년들이 뽑는 19대 대통령 2 file 2017.04.21 신새벽 15213
나를 위한 작은 힐링, 마음 약방 4 file 2016.02.25 김민아 22922
나를 알려라 : PR 문화 3 file 2016.03.06 이민재 16220
나를 사랑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 ‘자존감 수업’ 2 2017.05.25 오희연 17125
나라별 신년을 맞이하는 이색적인 방법들 1 file 2018.02.07 서예진 17565
나라 사랑 캠페인, 그리고 애국 file 2016.05.23 이지웅 16402
나라 꽃 무궁화 수원축제-한여름 밤을 수놓은 꽃빛 향연 1 file 2017.08.06 한지선 15138
나도 할 수 있다! 글로벌 역사 외교대사 2017.09.05 김나연 13473
나도 우리집 귀한자식, 청소년의 노동권리 당당하게 누리자! 1 file 2019.08.27 강훈구 14392
나도 말할 수 있다. '아이 캔 스피크' file 2017.09.26 김예은 15355
나는 탐정이오. 웃음 빵! 눈물 쏙! 영화 <조선명탐정: 흡혈괴마의 비밀> 1 file 2018.02.05 박세진 15437
나는 생각한다, 고로 물류한다 <한국청년물류포럼 20기 물류콘서트> 1 file 2021.02.08 김민희 20800
나눠쓰는 시대가 다시 찾아오다 ? 현대판 ‘아나바다’ 공유경제, 사회를 움직이다 file 2017.05.31 백지웅 15404
나눔의 집, '꽃보다 아름다운 할머니님들을 위한 효잔치' 행사 열어 2018.05.16 엄수빈 15983
나눔의 가치를 알리는 청소년들, 남양주시 청소년 자원봉사 홍보단! 1 file 2017.02.22 정현지 16220
나눔의 가장 큰 의미는 희망입니다. 6 file 2017.02.10 정가영 16514
나눔 히어로즈가 되어주세요. 4 file 2017.02.16 윤하은 16098
나 혼자 사는 여자들의 ‘캡사이신 맛’ 도전기! 여은파의 ‘Lady Marmalade’ file 2020.10.14 김민결 15712
끝없는 벚꽃의 향연! 2016 진해군항제 file 2016.04.11 최우석 18104
끊임없이, 끊김없이 1 file 2020.08.31 정미강 18641
끊임없이 흐르는 작가, 한강 file 2016.03.23 김초영 17401
꿈의 컴퓨터, 양자 컴퓨터 file 2019.08.27 김채운 17141
꿈의 리그 MLB에 "K-선수들이 KEY 될까?" file 2021.05.12 이정훈 124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