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2017 서울 모터쇼를 다녀 오다.

by 4기주건기자 posted Apr 18, 2017 Views 1534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170418_22531168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주건기자]



2017년 3월 31일(금)~4월 9일(일)까지 약 1주일 좀 넘게 일산 킨텍스에서 2017 서울 모터쇼가 개최되었다.

서울 모터쇼는 1995년부터 2년 단위로 개최되고 있는 대한민국 최대 자동차 전시회이다. 우리나라는 2년씩 개최 장소가 바뀐다.

서울(일산 킨텍스)와 부산(벡스코)에서 개최된다. 작년에 부산, 올해 서울, 내년엔 다시 부산 벡스코에서 모터쇼가 개최되는 것이다.


이번 2017 서울 모터쇼는 기존에 모터쇼와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먼저 배기가스 조작 등으로 국내에 입소문이 안 좋아 이번 모터쇼에서 폭스바겐은 나오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폭스바겐 그룹 계열사인 아우디 역시 이번 모터쇼에서 나오지 않았다.


또 다른 것은 이번엔 국내의 자동차 브랜드의 컨셉카가 해외 언론의 주목을 받으면서 기대 또한 엄청났다.

먼저 기아자동차에 k8이라 불리는 신형 모델인 스팅어, 쌍용 자동차 렉스턴 G-80 등 새로운 신차들이 출시하게 되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고 기아 스팅어는 개인적으로 정말 해외차에 못지않은 디자인이라고 생각한다.


비록 성능은 좀 딸리긴 할지라도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의 발전을 기대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쉬웠던 것은 기아자동차 스팅어는 외부는 공개하지만 실내는 공개하지 않는 것에 대해 아주 아쉬웠다 기사랑 달리 실제로 봤으면 좋았을 텐데 라는 아쉬움이 든다.
또한 이번 모터쇼는 기존에 모터쇼와 달리 이벤트 행사가 굉장히 많았다. 각 브랜드별 회사마다 SNS 홍보 및 사진촬영 그리고 퀴즈 등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여 상품을 받아 가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이번 모터쇼는 꼭 자동차 회사만이 아닌, 자동차에 들어가는 부품회사와 자동차 시트 회사, 앞으로 전기차가 더 발전될 만큼 중요한 전기부품회사 등 여러 다양한 회사가 많이 있었다. 그리고 매년 같은 것이지만, 튜닝카 콘셉트로 국내의 엄청나게 튜닝된 차 혹은 람보르기니 등 해외 스포츠 및 슈퍼카가 따로 전시되어 구경할 수 있게 제공이 되었다.


이처럼 이번 2017 서울 모터쇼는 다른 모터쇼 때랑은 달리 볼 것도 더 많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도 많아서 의미가 더 큰 거 같다.


모터쇼를 다녀와서 느낀 것은 전 세계 자동차 산업은 독일, 일본이 앞선다. 특히 브랜드별로 순위를 메기자면 일본의 토요타가 1위, 독일의 BMW가 2위이다.

우리나라 현대, 기아자동차는 세계 4,5위 정도에 머문다. 흔히 국내에서 현대, 기아자동차는 급발진, 에어백, 리콜 등 여러 문제가 많지만 잘 수정이 되지 않아 흔히들 "국민들을 호구로 본다"라고 말을 많이 한다. 반면 해외에서는 이런 점들이 잘 되고 있다.

물론 회사에서도 열심히 노력 중 일 거다. 앞으로 이런 문제점들이 발생하면 잘 조사하여 수리 가능하게 하고 디자인과 성능이 갈수록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몇 년 뒤엔 우리나라 자동차들도 더 널리 세계에 알려질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그전엔 먼저 우리들의 관심이 필요한 거 같다고 생각한다. 많은 관심을 갖고 너무 비난만 해서는 안 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주건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7094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4688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91197
페이스북, 윈도우와 맥용 메신저 앱 정식 출시 4 2020.04.08 김정환 18373
페이스북은 지금 '비둘기'열풍!, 대체 무슨 일이? 8 2017.03.23 곽서영 22439
페트병의 악몽을 깨다. '오호' file 2017.07.25 김민정 15258
펜 대신 총을 들었던 그들을 기리며, 태백중학교에 다녀오다. file 2016.08.15 장서윤 17620
펴야 할까? 켜야 할까? 코로나 팬데믹으로 급증한 전자책 이용률…종이책 대체 가능할까? file 2021.09.23 정지운 17161
편견 없는 시선으로 '방탄소년단'을 논하다 2 2018.08.21 김예나 19868
편지에 고마움을 담아요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file 2021.04.01 정예인 14633
평내고, 하늘은 흐림 운동장은 밝음 file 2014.10.19 박채영 33101
평내동청소년자치위원, 복지 사각지대에 계신분들에게 사랑을 나눠요. 6 file 2017.01.24 황보민 20875
평등한 세상을 위한 도전, 퀴어퍼레이드와 함께 1 file 2019.06.11 원서윤 19165
평범한 일본 시민이 5년 동안 전기세를 내지 않고 생활한 비결은? 2 file 2017.08.24 이윤희 15718
평생 늙지도 죽지도 않는 법, 텔로미어 file 2021.06.02 백우빈 17521
평창 굿즈 열풍, 올림픽 성공적 개최의 신호탄일까? 2 file 2017.12.15 윤정민 16631
평창 동계 올림픽, 남북 외교의 발판 될까? file 2018.03.01 안성연 15468
평창 동계올림픽 상품들, 수호랑은 이제... 2018.03.06 정현택 16361
평창 동계올림픽, 그 시작과 성공 file 2018.03.08 이수인 17832
평창 동계올림픽, 그 화제의 현장 속으로 2 2018.02.28 안효진 16032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적인 마무리 file 2018.03.03 김세빈 16710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그 속사정은? 2 file 2018.02.27 윤성무 16224
평창 성화, 홍천을 밝히다 file 2018.01.31 박가은 17561
평창 올림픽 D-228, 평창호 탑승자가 되는길! 3 file 2017.06.29 김채현 15395
평창 올림픽의 꽃 자원봉사자 면접을 가보다! file 2017.03.19 김채현 15569
평창 패럴림픽 마스코트, '반다비' 2 file 2018.03.01 이가영 16130
평창 패럴림픽, 이렇게 즐기는 건 어때? file 2018.03.02 이소현 15962
평창과 사랑에 빠지다 2 file 2018.03.09 백예빈 17464
평창동계올림픽 G-1, K-드라마 페스타 in 평창 행사 개최 1 file 2017.02.20 고주연 16946
평창동계올림픽 기념 2천원권 지폐, 11월에 나온다 file 2017.08.29 디지털이슈팀 16804
평창동계올림픽 남북단일팀, 통일로 한 걸음 vs 섣부른 판단 2 file 2018.01.26 정유미 17561
평창동계올림픽, 기나긴 여정의 결실 file 2018.03.26 조유나 15852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며 2017 서울아리랑페스티벌 한마당 1 file 2017.11.06 단승연 17064
평창올림픽 기념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展, 한·중·일이 한곳에 1 file 2018.02.09 김시은 19792
평창으로 맞이할 해외 관광객, 어디로 가야할까 1 file 2018.01.09 김정환 16800
평택시 청소년들, 국제교류 자원봉사로 외국인과 소통하다 5 file 2017.10.20 황연희 15799
평화의 길을 달리다 'PEACE ROAD'의 출발 file 2017.08.21 윤묘출 14758
평화의 소녀상의 거제 나들이 2 file 2018.01.29 최다영 17215
평화통일을 향한 한 발자국 1 file 2016.08.04 천예영 16446
폐건물이 청춘들의 아지트로 탈바꿈하다 ‘청춘 창고’ 3 file 2017.03.06 이소명 29113
폐쇄된 놀이공원, 활력을 되찾다! file 2016.03.21 박지혜 25408
포근한 햇살을 품은 마비정 벽화마을 4 file 2015.02.17 전지민 32378
포마켓, 포천 시민이 만들어가다 file 2019.08.26 김선우 16027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포코스쿨 우수학급 대상 ESG+진로 탐색 특강 진행 file 2022.11.14 이지원 8328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IT 기업의 재택근무 file 2020.11.26 류현우 13933
포스트잇은 왜 노란색일까? 1 file 2021.11.25 민지혜 12081
포장지, 없앨 수 있을까? 2018.04.10 김소연 16611
포켓몬 GO, 안전하게 GO! file 2017.05.22 최윤경 14913
포켓몬 GO, 흥행 유지에 성곡할 수 있을까? 2 file 2017.03.04 최유석 14721
포켓몬 고 한국 정식 출시, 증강 현실(AR)이란? 13 file 2017.02.03 정승훈 18222
포켓몬 고(Pok?mon GO)가 추락하는 이유 무엇인가 3 file 2017.02.24 임유리 239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