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일상 속에 녹아있는 '약자 혐오', 우리들의 '인식'을 위하여

by 4기이서현기자(문화부) posted Apr 16, 2017 Views 163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70416_205556.jpg

[이미지 제작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서현 기자]



 최근 몇 년동안 관심을 받고 있는 비속어.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뜻도 모르는 채로 입에 담기도 힘든 말을 일상에서 가볍게 툭툭 던지곤 한다. 문제는 이러한 언어들이 약자를 차별하는, 즉 약자 '혐오'에서 온 것이라는 점이다. 여기서 혐오란, 싫어한다는 의미의 혐오(hate)가 아닌, 특정 사람들에 대한 선입견 등으로 인한 차별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우리는 왜 이러한 언어 사용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지 못했을까? 그 이유는 너무나도 간단하다. 약자에 대한 혐오는 너무나도 자연스럽게, 심지어 차별을 당하는 '약자'마저도 못 느낄 정도로 우리 일상 생활에 녹아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모두들 차별을 하고 있고, 더 심각한 것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말만 들으면 '나도 차별을 하고 있다고 그렇지 않아.' 라며 거부감과 반감을 가질 사람들이 분명 있을 것이다. 아니, 많을 것이다. 나름대로 자신의 도덕적인 철학에 맞춰 살던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도덕적으로 옳지 못한 일'을 하고 있었다는 것을 인지하게 된다면 그에 대한 충격은 실로 엄청날 것이고 이를 부정할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일상 속에서 '나'와 '너'가 했던 차별에 대해 알아 보자.


 친구들과 장난을 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친구들이 우스운 행동을 하는 것을 보고 "장애인 같아.", "병신아." 등의 말을 했던 경험은 한 번쯤 다들 있을 것이다. 이는 대표적인 '장애인 혐오 발언'에 해당된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뇌 속 깊이 '장애인은 우스운 존재'라는 생각이 뿌리 깊게 박혀 있었기 때문에 친구의 우스운 행동을 보며 바로 '장애인'을 연상할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역사 시간, 과학 시간에 배웠던 유관순 열사와 마리 퀴리. 그들은 현재 우리 사회에 있는 '여성 혐오'의 피해자다. 초등학교 때부터 꾸준히 배웠던 유관순 열사. 가끔씩 선생님은 그를 유관순 '누나', 혹은 '언니'로 표현하곤 했다. 마리 퀴리 역시 '마리 퀴리'라는 이름보다는 퀴리 '부인'이라는 이름으로 더 널리 알려져 있다. '이게 무슨 여성 혐오야?' 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우리는 그 어떤 독립 운동가에게도 '형', '오빠'등의 호칭을 붙이지 않았으며, 그 어떤 과학자들에게도 남성을 지칭하는 호칭을 붙인 적이 없었다. '여성'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 굳이 여성을 표현하는 호칭을 사용하며 그들을 표현하는 것은 엄연히 그들이 세운 업적보다는 '여성'이었다는 성별을 붙여 이를 소비하는 여성 혐오에 해당한다.


 이외에도 성소수자들을 희화화하는 방송들, 노 키즈존, '여성/남성스럽다'라는 말, '흑형' 등 특정 인종을 희화화 및 비하하는 말, 심지어는 '벙어리 장갑', '합죽이' 등의 언어 등 성소수자 혐오, 연소자 혐오, 여성혐오, 인종 차별, 장애인 혐오 등 우리 일상에는 수많은 약자 혐오들 존재하고 우리는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이 모든 것은 너무나도 우리 사회에 자연스럽게 녹아있고 우리는 어릴 때부터 이를 접했다. 하루 아침에 이런 사회를 고치는 것은 불가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이를 인식하는 것이다. 자신이 사회적 약자를 배척하고 차별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계속 그 행위를 할 수 있는 사람은 매우 드물 것이다. 우리가 너무나도 잘 사용하고 있던 이러한 작은 언어, 작은 행동들이 우리의 평등한 사회로 가는 길을 막고 있는 커다란 바위와도 같은 존재였으며 어떠한 정책을 세워도 평등이 실현되지 않았던 근본적 이유였다는 사실을 하나 둘 인식하고 이를 고쳐나가면 그게 몇 년이 됐든 몇 백년이 됐든, 언젠가는 진정한 '평등한 사회', '모두가 행복한 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 = 4기 이서현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김유경기자 2017.04.17 21:35
    인식하지 못하는 차별적인 발언들을 깨우치고 고치기 위해 노력해야할 것 같아요. 내게 차이 되었던 말은 어떤 것이었는지도 생각해보며 언어습관을 되돌아봐야겠어요.
  • ?
    4기이건학기자 2017.05.02 11:13
    강자앞에서 강하고 약자앞에서 약해지는 사람이 되어야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9506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2623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28278
대국민 하니 찾기 프로젝트, NEW 하니를 찾아라! 4 file 2016.07.17 김윤정 17650
2월14일 발렌타인데이보다는 안중근의사를 기억하자!! 15 file 2017.02.14 주건 17650
설레는 봄, 추억 만들기 file 2019.04.01 이시현 17651
일본 생활 문화를 엿보다 4 file 2017.02.20 장지민 17653
신안 천사섬 1004만송이 애기동백꽃의 대향연 '애기동백꽃 축제' 4 file 2020.01.29 조햇살 17653
2019 대구컬러풀페스티벌 file 2019.05.16 송은녁 17654
이대호가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 file 2016.05.10 박민서 17655
2017 마마(MAMA) 시즌의 개막, 라인업부터 눈을 사로잡는다! 2 file 2017.10.27 정현지 17661
제 7회 한국청소년학술대회(KSCY) - 미래 IT 분야 인재들을 만나다 (인터뷰) 9 file 2017.01.22 이지희 17662
불타는 주말,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에서 서울의 밤을 즐기다 file 2016.09.25 이소민 17663
광주 프린지 페스티벌, 그 멋과 열정 속으로 1 file 2017.09.22 김서영 17665
상처받은 아이들, 아동학대 15 file 2016.02.21 김가현 17667
서문시장야시장, 밤까지 식지않은 열기를 이겨낼 방법! 1 2016.08.26 서지민 17672
환경파괴를 최소화한 케이블카를 타고 쿠란다마을로 file 2019.09.02 임하늘 17672
제21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열리다 1 2017.08.28 진다희 17674
코로나가 세계 스포츠에 미치는 영향 2 file 2020.06.01 서지완 17675
영등포 타임스퀘어에서 '독전' 시사회 및 레드카펫 행사가 열리다! file 2018.05.29 문지원 17676
아~ 3.1절 서대문형무소를 태극기로 물들이다! 1 file 2017.03.03 김지민 17678
뮤지컬이 나아가야 할 길 - 뮤지컬에서의 가수 출현은 합당한가 1 2018.05.28 김수현 17691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기자단은 정부와 협약 관계인 언론기관... 신뢰성 문제 없다” 공식 피드백 발표 file 2017.06.08 온라인뉴스팀 17694
제4기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출발해 볼까요~ 6 file 2017.01.23 김지민 17695
제 5회 소프트웨어 사고력 올림피아드 file 2019.06.17 고은총 17697
영화 속에서 과학을 보다, 국립부산과학관 ‘영화 더하기 과학’ 특별기획전 2 file 2017.03.25 김혜진 17700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 유기동물 행복 찾는 사람들 입양 캠페인 2 file 2019.03.08 정수민 17700
수지구청 사랑의 교복 나눔 행사 11 file 2017.02.20 이호균 17703
4월 유성우 못 봤어... 5월 유성우 기다려 5 file 2020.04.27 김지현 17703
최대의 게임 축제 '지스타' 그러나 '스트리머'들의 축제? file 2018.11.29 전여진 17704
'통일의 길목' 파주에서 국가 안보를 논하다. 9 file 2016.03.02 이송림 17707
대한민국 쇼트트랙, 자존심을 회복하다 file 2018.11.23 정재근 17711
한국만화박물관에 가다! 4 file 2017.02.23 이예림 17712
기억할 선열의 뜻, 지켜야 할 대한민국 file 2017.06.11 김소희 17713
덴마크식 정치실험, 이종걸, 정병국, 박지원 의원과 협치를 논하다 file 2017.09.28 김정환 17719
청소년 앱개발 경진대회에 참가하다 4 file 2017.04.22 김민주 17720
수지 사랑의 교복 나눔 행사 2 file 2017.05.03 이예찬 17721
마음이 편안해지는 책, '용기를 잃지 말고 힘내요' 1 file 2019.02.26 김세린 17725
Trick or Botanic! 서울식물원에서 만난 핼러윈 4 file 2019.11.01 정다운 17725
청소년의 건전한 놀이시설, 인천학생교육문화회관 file 2016.03.19 최찬영 17726
주한외국대사관과 함께하는 주한외국대사관의 날 그속으로! file 2016.11.24 김현승 17730
빅이슈, 당신이 읽는 순간 세상이 바뀝니다 4 file 2017.02.28 곽지현 17730
평창 동계올림픽, 그 시작과 성공 file 2018.03.08 이수인 17730
청소년 화장실 문화, 이대로 괜찮은가? 3 2017.09.20 윤만길 17734
추리소설의 기적,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 3 file 2018.02.27 이예준 17735
SNS로 유행하는 평창 롱패딩, 그 이유와 문제점은? file 2017.12.26 김진모 17744
몸무게를 줄이고 싶다면? file 2017.06.27 오정윤 17745
코로나19 걱정이 없는 세계, '모여봐요 동물의 숲' 9 file 2020.03.27 하건희 17750
학생들의 꿈을 만드는 ‘2016 청소년 발명 페스티벌‘ file 2016.07.25 강기병 17752
팬들의 마음에 불을 지핀 세븐틴의 온라인 콘서트 file 2021.01.27 김민결 17758
걷기의 시작, 트렌드의 시작, 건강의 시작 2 file 2016.10.23 김가흔 177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