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소래포구 어시장 화재, 복구는?

by 4기이다빈기자 posted Apr 19, 2017 Views 165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170408_214932001.jpg

[이미지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다빈기자]


지난 달, 인천시 남동구 소래포구 종합어시장에 화재가 발생해 좌판 220여개와 상점 20여 곳을 태우고 약 2시간 30분 만에 진화됐다. 인천소방본부에 따르면, 어시장 안쪽 점포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접수됐다. 화재 원인은 변압기 용량 부족 등 전기적 요인이었다. 좌판마다 설치된 수족관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전기배선을 난잡하게 한 것이 주된 원인이었다.


최근 10년간 재래시장 또는 전통시장 화재가 연평균 5건 이상 발생하고 그 중 전기적 요인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잿더미로 변한 좌판의 3분의 2가 당장 생계를 잃은 좌판상인들 에게는 생계에 대한 걱정이 앞선다. 소래포구 어시장이 국가 어항으로 지정되면서 남동구 측에서 걸맞은 환경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상인들의 좌판 영업을 더 이상 허용하지 않기로 했다. 이에 영업 재개만을 기다린 상인들은 예상치 못한 좌판 영업 금지에 거세게 반발했다.


KakaoTalk_20170408_214932449.jpg

[이미지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다빈기자]


최근 잇따라 전통시장에 화재가 발생하면서 전통시장 화재위험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시민들이 화재나 재난에 대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 화재참사가 줄줄이 발생하고 있다. 전통시장의 화재참사 역시 관리, 책임이 소수 상인들에게만 분산되어있어 상인들 스스로가 안전관리를 하기엔 어려운 상황이다.


 최근 발생한 화재사례에서 보듯이 언제 또다시 화재가 전통시장의 희망을 앗아갈지 모르는 일이다. 더 이상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안전관리를 하여서는 안된다. 국민 스스로가 안전하게 관리하는 문화를 정착하고, 정부는 필요한 예산 지원과 감독·관리에 더욱 힘써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이다빈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7796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5651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401424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초록우산어린이재단, 선거연령 하향 앞두고 ‘미래에서 온 투표’ 캠페인 2018.03.26 디지털이슈팀 16277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제 7기 발대식 및 오리엔테이션 개최 file 2018.03.26 디지털이슈팀 15242
[기획] 지금 세계는 사회적 경제에 주목한다. file 2018.03.26 김민우 29473
금리가 뭐예요? 1 file 2018.03.26 박수진 15539
친숙하지만 낯선 존재, '물' 1 file 2018.03.26 강지희 16686
평창동계올림픽, 기나긴 여정의 결실 file 2018.03.26 조유나 15864
여자프로농구 우승과는 무관했던 김정은, 마침내 완벽한 선수로··· file 2018.03.26 허기범 16614
웹툰보다 더 웹툰 같은 가장 완벽한 영화의 등장 <치즈 인더 트랩> 3 file 2018.03.26 김응민 16754
2018 평창올림픽을 되돌아보다 2018.03.26 김화랑 15129
다시 태어나도 여자로 태어나시겠습니까? file 2018.03.27 변세현 16470
삼국삼색의 호랑이 file 2018.03.27 이지영 16215
애플, 아이폰 성능 저하 선택 가능한 iOS 11.3 업데이트 진행 file 2018.03.27 오경찬 18939
앞으로 카카오톡 차단 상대가 내 프로필 못 본다 file 2018.03.27 오경찬 24275
일본에 숨겨진 작은 왕국, 류큐 왕국 file 2018.03.28 김하은 17058
완성된 축제. 그리고 더욱더 발전할 축제 '고로쇠축제'! 2018.03.28 권순우 14223
다른 세상에 사는 두 소녀의 이야기,< 세계를 건너 너에게 갈게> file 2018.03.29 김수민 17270
쌀쌀한 날씨의 포근한 시간, '지금 만나러 갑니다'. 2018.03.29 김진영 14479
배운 것을 나누고 소통하는 화합과 학습의 공간, 온천마을 도서관에서 file 2018.03.30 이지형 15975
‘익명 뒤에 숨어 비난하기’ 도가 지나친 네티즌들의 인터넷 윤리의식 상태 2018.03.30 전보현 15868
여성 인권, 이대로 괜찮은가? 1 file 2018.03.30 손정해 15340
전라북도 유소년축구선수들의 금빛질주 "2018 전국 초등 축구리그" file 2018.03.30 6기최서윤기자 16832
그래서 미투운동은 무엇이고 어떻게 된걸까. file 2018.04.02 권재연 15661
충청북도 테마 제안 공모전 개최 1 file 2018.04.02 장서진 15117
흰색 머리카락, 노화가 아니다! 2018.04.02 김동희 18621
우리 동네 도서관에서 만나는 인문학 file 2018.04.02 강예린 14440
인간 생명 연장의 꿈: 텔로미어가 암과 치매 정복에 단서가 될 수 있을까. file 2018.04.02 이원준 20365
인생에서 사랑을 빼면 무엇이 남습니까? file 2018.04.02 최윤이 18076
변질된 페미니즘, 그리고 페미니즘 의무교육 3 file 2018.04.02 김민서 17919
한용덕 감독의 한화 이글스... 2018 시즌 반등할 수 있을까? file 2018.04.02 문준형 20198
겨울궁전으로 본 러시아의 역사 file 2018.04.02 장세은 16287
미세먼지, 치매를 유발할 수도 있다. file 2018.04.03 이유진 15543
새로 등장한 신조어 '혐핫' file 2018.04.03 박정빈 16097
'소금회' 의료봉사단,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되다 file 2018.04.03 김가현 16691
런던, '친환경 생태 도시'로 탈바꿈한다 file 2018.04.03 김환 15349
한국의 빵빵한 지하철 와이파이 과연 일본은? file 2018.04.03 김진영 19859
<스스로넷, 청소년 동아리 활동 문화 선도에 앞서가다!> file 2018.04.03 김현재 19606
BJ감스트가 아닌 K리그 홍보대사 감스트, 그의 효과 2 file 2018.04.03 이건 19230
꽃이 있던 자리에 피어난 빛, 오색 별빛 정원전 file 2018.04.04 민지예 15696
스티븐 스필버그, 그의 한계는 어디인가: 레디 플레이어 원 file 2018.04.04 김민하 17340
말레이시아의 불, 코타키나발루로 떠나보자! file 2018.04.04 이초은 18557
거기 당신! 이번 주말에 여긴 어때요? file 2018.04.05 김리나 15597
도자기 속에 숨겨진 '독', 이제는 밝히겠다. 2018.04.05 유민울 22276
다문화의 바람, 맘프 file 2018.04.05 김세영 16250
MARVEL과 D.C 코믹스, 무엇이 다른가? file 2018.04.06 도예준 18524
기아자동차 6년 만에 완전히 새로운 K9 발표.. 1 file 2018.04.09 김홍렬 18893
안드로이드 P에는 어떤 기능이 추가되었을까? file 2018.04.09 정진화 21177
K리그 안의 또 다른 재미, 경인(인경)더비! 1 file 2018.04.09 김도윤 16259
포장지, 없앨 수 있을까? 2018.04.10 김소연 166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