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한국에서만 유일하게 사용하는 것?

by 4기전인하기자 posted Mar 26, 2017 Views 1647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yp 3월.jpg

[이미지 제공= 이수진 기자]


한국에서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다른 나라들과 다르게 사용하는 것이 있다. 바로, 나이 셈법이다. 0살로 태어나, 자신의 생일을 기준으로 나이를 먹는 ' 나이' 달리 한국식 '세는 나이' 출생 순간 1살을 부여하고 해가 바뀔 , , 매해 1 1일마다 1살씩 나이를 먹는 체계이다. 중국에서 비롯돼 한자문화권인 동아시아 국가에서 널리 통용돼 왔다. 태아를 소중히 여기는 생명 존중 사상, 계절의 변화를 중시하는 농경문화의 영향이라는 설이 있지만 정확한 유래는 없다고 한다.
? 현재 동아시아 '세는 나이' 쓰는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고 한다. 원조인 중국은 문화대혁명을 거치며 사라졌고, 일본은 100 법을 만들어 ' 나이' 정착시켰다. 심지어 북한도 1980년대부터는 나이를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민법(1960 시행) 출생 일을 기준으로 나이를 계산하도록 ' 나이' 사용을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후 반세기가 넘도록 여전히 일상 생활에서는 '세는 나이' 통용되고 있다.

  이는 많은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다고 한다. 인구 조사 등 행정적 불편함은 물론이고 법적 책임이 중요한 사안의 연령을 따지는 데 있어서도 불편함이 있다. 외국인들과 상호작용을 할 때면 한국 나이 셈법(Korean Age)라는 개념을 설명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12 31일에 태어난 아기는 태어난 지 하루 밖에 돼서 살을 먹게 된다. 이러하여 `빠른 나이출생 자들은 서열 정리에 있어서 많은 불편함을 겪는다. 이것은 특히 대한민국은 유교 사상으로 인해서 심지어 두 살의 나이 차이도 서열을 가르게 되는 경우가 빈번찮아, 많은 사람들이 예민해하는 부분이라 세는 나이와 나이의 차이점은 사회에서도 매우 불편하게 다가오는 부분이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쓰는 나이 셈법인 만큼 외국 사람들도 한국에 오면 나이 계산하는 것을 어렵게 생각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 전세계가 나이를 기준으로 나이를 세도록 통일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항상 많다고 한다.

  조현용 경희대 교수는 기고문에서옛날에는 친구 사이에 나이가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는데 요즘은 학년과 맞물리면서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다사람을 만나거나 친구를 사귀는데 나이가 걸림돌이 되어서는 된다 꼬집었다. 이런 한국식 나이 셈법은 국제적으로도 걸림돌이 되고 있어서 바뀌어야 부분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국제부= 전인하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이건학기자 2017.03.28 11:29
    펜팔친구랑 나이 이야기를 할 때 혼란이 있었던 점이 생각나서 공감되는 기사인것 같습니다
  • ?
    4기이지우기자 2017.03.29 00:43
    우리가 사용하는 나이 계산법에서 가장 골치아픈 점은 아무래도 '빠른' 년생이 아닐까 싶어요. 태아를 존중하는 생각이 깃들어있다는 것은 좋지만(물론 아직은 언제까지나 가설이지만요) 글로벌한 이 시대에서 한국식 나이 계산법을 고수하는게 옳은 일인지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이가현기자 2017.03.29 08:01
    해외연수가서 korean age 계속 설명해줬던 기억이 나네요. 만약 한국이 만 나이로 바꾸었을때 사람들의 혼란으로 일어날 몇몇의 행동들이 상상되요 ㅎㅎ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8627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7098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416194
광주 기아 챔피언스필드에 가보다 2 file 2017.09.07 장세인 16249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하늘마당, 빛과 그림자 file 2017.06.25 이세림 21644
광정동청소년문화의집, '코딩과 인공지능' 주제로 스마트한 생활과학교실 운영 file 2022.07.13 이지원 11581
광운대 아이스하키팀, 96년 만에 환호성 질러 2 file 2017.02.19 김연수 19054
광복절, 안성에서 그들을 기억하다 1 file 2018.08.27 안정섭 16048
광복의 환희와 되찾은 조국의 상징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을 방문해보는 것은 어떨까? 1 file 2019.01.08 이채린 15747
광복72주년???빗속에서 열린 겨례의 '2017 서대문독립민주축제' 2017.08.30 문성환 15543
광복 72주년 기념 해방 거리 재현 행사 '사람의 나라' file 2017.08.17 박규리 13935
광복 70주년을 맞아 진행된 눈물의 행사들. 그리고 그 행사들의 주인공 위안부 할머니들. 2 file 2015.08.27 정주현 27272
광명동굴의 ‘미디어 아트로 보는 세계명화전’. 성황리에 막을 내리다. 2 file 2017.05.21 최미성 16655
관중 입장이 재개된 프로야구 현재 상황 file 2020.10.26 나주현 13058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작은 한걸음 file 2017.03.25 김경은 16544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7248
관객을 뜨겁게 울린 영화1987 현대인들에게 메시지를 전하다? 2 file 2018.01.24 이해인 25172
과학적이고 아름답다! 스페인의 알함브라 궁전 file 2018.01.30 곽승용 20323
과학이 쉽게 다가가는 공간 '서울시립과학관' 1 file 2017.09.19 표예진 19948
과학의 관점을 바꿔주는 제16회 수원정보과학축제에 다녀오다 1 file 2019.10.23 유석훈 17450
과학을 향한 학생들의 도전, 2017 제주청소년과학탐구대회 file 2017.04.28 신온유 15987
과학을 즐길 수 있는 '제 21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개최 file 2017.08.13 김영서 13537
과학에서 '혁명'이란 무엇인가 file 2018.05.18 신온유 21334
과학에 대해서 궁금하면?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file 2017.10.25 이예준 16831
과학문화 한마당! 체험 한마당! file 2017.04.21 오지석 14815
과학? 축제의 중심이 되다! file 2017.06.12 오지석 16509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7208
과천에서의 문화체험 file 2014.10.18 오선진 33113
과천시, 미세먼지 대응 시민실천 수칙 선포식 열어 file 2017.05.25 공혜은 18089
과천과학관 방문기 1 2017.11.24 안정민 22505
과천 누리마 축제의 현장으로 2017.11.24 고은빈 14906
과연 내가 살찌는 이유가 고기에게만 있을까? file 2017.12.04 유하늘 15402
과도한 트로트 열풍 이대로 괜찮은가? 2021.01.15 홍재원 14974
과거축구와 현대축구의 만남, 풋볼 팬타지움 2018.10.19 서성준 15800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예술인들, 무예 24기 file 2021.04.23 최민서 12718
과거와 현대의 공존, 오사카 여행기 file 2017.02.25 주은채 15955
과거와 현대를 잇는 도심 속 산책, 타이베이 여행 4 2018.05.04 김선주 25199
공휴일 아닌 기념일, 그 의미는 알고있니? file 2017.07.25 장서윤 15954
공항동, 도시재생으로 다시 날 수 있을까? file 2020.11.09 김서영 13537
공포의 자동차 ‘급발진’ 그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4 file 2015.02.07 김현우 34586
공포의 이안류, 갑자기 떠내려가... 5 file 2017.08.06 송가현 22185
공정무역이란? 2017.11.02 최인혜 17298
공정무역, 과연 안전하고 공정한가? file 2021.02.23 원규리 14114
공인인증서는 가고 시작된 민간인증서들의 시대 file 2020.12.28 이채은 13480
공원커피,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2022 카페 소스페소’ 커피 캠페인 진행 file 2022.12.06 이지원 8524
공연 '소년대로' 오는 16일까지 대학로서 공연 file 2023.04.12 박도현 7829
공스타그램, 이젠 공부도 SNS로! 7 file 2017.03.12 이지우 20524
공상 영화의 현실화, ‘하이퍼루프’ file 2021.03.26 김규빈 14682
공모전부터 전시까지 다채로운 코바코의 공익광고축제 file 2016.11.21 박지혜 31991
공룡 대멸종, 그 원인은 무엇일까? file 2018.06.21 최수영 74059
공동의 리듬, 공동의 몸; '공동체'를 만나다 file 2017.10.16 박채연 181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