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한국에서만 유일하게 사용하는 것?

by 4기전인하기자 posted Mar 26, 2017 Views 1642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yp 3월.jpg

[이미지 제공= 이수진 기자]


한국에서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다른 나라들과 다르게 사용하는 것이 있다. 바로, 나이 셈법이다. 0살로 태어나, 자신의 생일을 기준으로 나이를 먹는 ' 나이' 달리 한국식 '세는 나이' 출생 순간 1살을 부여하고 해가 바뀔 , , 매해 1 1일마다 1살씩 나이를 먹는 체계이다. 중국에서 비롯돼 한자문화권인 동아시아 국가에서 널리 통용돼 왔다. 태아를 소중히 여기는 생명 존중 사상, 계절의 변화를 중시하는 농경문화의 영향이라는 설이 있지만 정확한 유래는 없다고 한다.
? 현재 동아시아 '세는 나이' 쓰는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고 한다. 원조인 중국은 문화대혁명을 거치며 사라졌고, 일본은 100 법을 만들어 ' 나이' 정착시켰다. 심지어 북한도 1980년대부터는 나이를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민법(1960 시행) 출생 일을 기준으로 나이를 계산하도록 ' 나이' 사용을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후 반세기가 넘도록 여전히 일상 생활에서는 '세는 나이' 통용되고 있다.

  이는 많은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다고 한다. 인구 조사 등 행정적 불편함은 물론이고 법적 책임이 중요한 사안의 연령을 따지는 데 있어서도 불편함이 있다. 외국인들과 상호작용을 할 때면 한국 나이 셈법(Korean Age)라는 개념을 설명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12 31일에 태어난 아기는 태어난 지 하루 밖에 돼서 살을 먹게 된다. 이러하여 `빠른 나이출생 자들은 서열 정리에 있어서 많은 불편함을 겪는다. 이것은 특히 대한민국은 유교 사상으로 인해서 심지어 두 살의 나이 차이도 서열을 가르게 되는 경우가 빈번찮아, 많은 사람들이 예민해하는 부분이라 세는 나이와 나이의 차이점은 사회에서도 매우 불편하게 다가오는 부분이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쓰는 나이 셈법인 만큼 외국 사람들도 한국에 오면 나이 계산하는 것을 어렵게 생각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 전세계가 나이를 기준으로 나이를 세도록 통일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항상 많다고 한다.

  조현용 경희대 교수는 기고문에서옛날에는 친구 사이에 나이가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는데 요즘은 학년과 맞물리면서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다사람을 만나거나 친구를 사귀는데 나이가 걸림돌이 되어서는 된다 꼬집었다. 이런 한국식 나이 셈법은 국제적으로도 걸림돌이 되고 있어서 바뀌어야 부분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국제부= 전인하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이건학기자 2017.03.28 11:29
    펜팔친구랑 나이 이야기를 할 때 혼란이 있었던 점이 생각나서 공감되는 기사인것 같습니다
  • ?
    4기이지우기자 2017.03.29 00:43
    우리가 사용하는 나이 계산법에서 가장 골치아픈 점은 아무래도 '빠른' 년생이 아닐까 싶어요. 태아를 존중하는 생각이 깃들어있다는 것은 좋지만(물론 아직은 언제까지나 가설이지만요) 글로벌한 이 시대에서 한국식 나이 계산법을 고수하는게 옳은 일인지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이가현기자 2017.03.29 08:01
    해외연수가서 korean age 계속 설명해줬던 기억이 나네요. 만약 한국이 만 나이로 바꾸었을때 사람들의 혼란으로 일어날 몇몇의 행동들이 상상되요 ㅎㅎ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4434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0748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43794
'도깨비'후속작 '내일 그대와' 그 뒤를 이을 수 있을 것인가. 14 file 2017.02.03 정원희 18101
현대자동차,청소년 모형자동차 대회 개최 file 2016.08.13 김나림 18100
소형 자동차 전쟁 1 file 2018.04.26 안디모데 18098
본질은 잃고,미래를 얻자? 8 file 2017.01.22 신해인 18098
세상을 변화시키는 윤리적 소비, 공정무역 file 2016.05.25 김태경 18091
인천 연수구에서 첫 초·중생 영어 페스티벌 개최하다 file 2017.11.28 양륜관 18090
세계의 문화를 품다 '2019 이태원 지구촌 축제' 3 file 2019.10.16 정다운 18089
중국 3대 명절 단오절(端午节) 1 file 2018.06.19 박주환 18089
"깨어나라 대한민국! 우리는 하나다" 3.1 절 행사 4 file 2016.03.01 신예지 18089
인천어린이과학관, 바이러스 특별전 개최 1 file 2017.02.25 남지민 18086
수다 스토리, 나눔과 정이 머무는 문화 공동체 file 2016.11.23 이의진 18080
인간과 로봇의 공생이 시작되다! 1 file 2017.03.21 최민서 18072
독립기념관에 가다 2019.01.25 전서진 18063
안산 거리극 축제를 즐겨~~ file 2017.05.07 어지원 18060
알고 보면 더 재밌는 뮤지컬 1 file 2017.12.04 석채아 18058
C페스티벌 file 2016.05.24 박상민 18057
화산 폭팔로 인해 세상에 나온 공룡들, '쥬라기 월드 : 폴른킹덤' 2018.06.19 오가람 18055
무더운 여름을 날려버릴 시원한 축제 file 2016.07.25 송윤아 18053
B1A4 콘서트로 본 올바른 팬덤문화, '기부부스' 1 file 2017.02.25 성주영 18052
발렌타인데이에 가려진 '그 날' 8 file 2016.02.25 한지수 18051
동양최대 목조건축물 대광사 미륵보전 완공 file 2017.04.18 정인교 18048
한국인의 '벙어리 영어', 그 시발점은 어디인가 1 file 2017.07.25 신유정 18047
도시 속 숨쉬는 역사; 단종과 정순왕후의 사랑이야기 part 2 1 file 2016.10.23 최원영 18045
쌓여있는 이메일, 지구 온난화의 주범? 3 2020.12.31 원규리 18044
인생에서 사랑을 빼면 무엇이 남습니까? file 2018.04.02 최윤이 18044
3.1운동 100주년, 경상남도 시민과 함께하는 기념식과 만세운동 개최 1 file 2019.03.19 이지현 18040
2017 민주평통 고등학생 통일골든벨 경북지역 본선대회 개최 1 file 2017.06.25 정명주 18039
과천시, 미세먼지 대응 시민실천 수칙 선포식 열어 file 2017.05.25 공혜은 18038
4D 영화, 과연 좋은 영화 관람인가? file 2016.07.30 황지혜 18038
고속도로 과속 단속 카메라의 사례로 보는 드론 활용의 필요성 2021.06.22 김률희 18030
왼손잡이는 천재라는데 진실일까? file 2017.03.25 김선웅 18029
다양한 차원의 세계들 file 2019.07.25 11기이윤서기자 18014
밤이 밝은 도시 홍콩 (관광 취재) 2 file 2017.03.08 남현우 18013
'세계 차 없는 날', 다 함께 실천해봐요! 2 file 2016.09.19 오시연 18010
초심잃은 기념일, 누구를 위한 것인가? 9 2017.02.21 김영은 18007
글로벌 리더로 거듭나다! - GLFY 2017 4 file 2017.02.09 이상윤 18007
제2회 소리영어(LEFA) 영어 말하기 대회 개최 1 file 2017.04.08 오소현 18004
소아암 환아들에게 자신감을 기부해주세요. 7 file 2017.03.02 박미소 18004
유기견들에게는 세상이 바뀌는 캠페인, 사지말고 입양하세요 7 2017.03.09 박세진 18003
난공불락의 요새, 오사카성 3 file 2019.02.15 김채람 18000
현충원의 뜻깊은 호국 문예 백일장과 그림 대회 file 2018.06.04 정유경 17998
간절했던 소망! 2.8독립선언 98주년기념식 개최 3 file 2017.02.19 김나현 17997
한 도시 한 책 운동(One City One Book)을 아시나요? 3 file 2017.02.25 유희은 17995
코로나지만 워터파크에 갈 수 있다? 5 file 2020.07.28 민아영 17994
[클래식 음악 소개] 베토벤 1 file 2017.09.13 김기현 17993
증강현실(AR)을 이용한 어플은 무엇이 있을까? file 2017.05.15 박소연 17993
Trick or Botanic! 서울식물원에서 만난 핼러윈 4 file 2019.11.01 정다운 17990
[MBN Y Forum] 불가능을 즐겨라!, Enjoy the Impossible! 1 file 2017.02.19 박수연 179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