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美 4월 환율조작국 발표…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by 4기정단비기자 posted Mar 21, 2017 Views 1685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美 ‘트럼프 시대’가 본격 개막되었다. 시장에서는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환율조작국 지정 발언에 한국과 중국이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고 말한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이전부터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할 것’ 이라고 언급해왔다.


여기서 ‘환율 조작국’이란 자국의 수출을 증가하고 자국제품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정부가 외환시장에 개입하여 다른 나라 통화와 자국의 통화 간 환율 조작하는 나라를 말한다. 미 재무부는 BHC 법안을 근거로 주요 12개 교역대상국에 대해 환율 조작 여부를 판단한다. 그 요건은 최근 12개월 동안 대미국 무역흑자가 200억 달러 이상, 경상흑자 규모가 GDP대비 3% 이상, 외환 순매입 규모가 GDP의 2% 이상인 경우로 총 3가지이다. 이 요건 중 3가지를 모두 충족하는 국가를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게 되며, 3가지 요건 중 2가지만 충족할 경우 관찰대상국으로 분류된다. 우리나라 또한 무역수지, 경상수지 규정에 적용되어 지난 10월 관찰대상국으로 지정됐다.



cc064e9c41a531cbf11ab3b6dca0e158.png


[이미지 촬영(abc 뉴스 직접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정단비 기자]



그렇다면 환율 조작국 지정이 경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가?

우선 첫째, 해당국에 대한 미국기업 투자 시 금융지원을 금지한다.

미국 해외민간투자공사(OPIC)의 자금지원, 보험?보증을 받지 못하여 기업이 현지투자로 발생하는 리스크를 직접 부담해야한다.

둘째, 해당국 기업의 미 연방정부 조달시장 진입이 금지된다.

미국의 조달시장 진입이 제한될 경우 해외 기업체가 미국 시장에 진출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셋째, IMF를 통한 환율 압박을 취할 수 있다.

미국은 IMF의 미국 측 이사를 통해 해당국의 환율정책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정책당국의 환시 개입을 제한할 수 있다.

넷째, 무역협정과의 연계 조치 시행이다.

미국이 해당국과 새로운 무역협정을 맺을 때, 해당국의 대미국 무역흑자 규모 축소 또는 통화 저평가에 대한 시정 노력을 일부 반영하게 된다는 것이다.


지난 17일과 18일 양일간 독일 바덴바덴에서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가 개최되었고 이는 ‘환율조작국’에 관한 내용 또한 다루었다. 하지만 므누친 장관에게 환율조작국 지정과 관련해 적극적인 답변은 얻어내지 못하였으며 이 외의 다른 무역 시스템의 구체적인 방향 또한 제시하지 못해 아쉬움을 토로해내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4기 정단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068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807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302
'부산행', 왜 변칙행? 1 file 2016.07.25 강하윤 17629
‘불이 났어, 기다리지마.’ 14년 전 오늘을 기억하자 9 file 2017.02.18 오시연 17596
우리생활속의 법 '우리는 아르바이트가 가능할까?' 1 file 2016.07.18 김현승 17589
[3.1절 97주년 기념] 3.1절은 쉬는 날? 1 file 2016.03.25 김미래 17584
챌린저들의 챌린지 1 file 2016.04.18 김은아 17570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발생으로 인한 사회적 영향 및 대책 file 2016.06.25 조해원 17560
강추위 속 촛불 3 file 2017.02.13 한지선 17546
오프라인 쇼핑몰의 위기.. 사실 온라인 쇼핑몰 매출 상승 때문이 아니다? file 2019.05.31 김도현 17534
국가 안보와 개인정보 보호, 무엇이 우선인가 3 file 2016.03.18 박가영 17521
촛불집회 100일... 그동안 어떤 일이 있었나 5 file 2017.02.09 장인범 17483
야간자율학습의 실체 1 2016.04.19 김상원 17475
소년법 개정 (목적은 교화 먼저?/처벌 우선?) 1 file 2018.02.05 정준교 17472
낙태죄 폐지를 둘러싼 찬반 대립, 내면은? 4 file 2019.02.19 하지혜 17467
“학교 가기 무서워요” 위험천만한 세종시 보람초의 등굣길 2 file 2016.07.24 정현호 17457
전기안전법, 개정안 시행 논란과 1년 유예 5 file 2017.01.25 정지원 17451
대선 토론회 북한 주적 논란, 진실은 무엇인가 3 file 2017.04.20 김동언 17435
현대판 코르셋, 이대로 괜찮은가? 2 file 2019.02.22 문혜원 17428
용인 백현고 소음의 주범 1 file 2016.04.24 김수미 17423
美, 트럼프 취임식 후...'트럼프 반대 여성 행진' 열려 17 file 2017.01.26 이태호 17415
돌고래들의 권리는 안녕합니까? 13 file 2016.02.22 김승겸 17410
국정 교과서;무엇이 문제인가? 2 file 2017.02.04 정주연 17403
밸런타인데이의 유래, 신생 기념일 vs 전통 기념일 14 file 2016.02.15 박민서 17398
4.13 총선! 야당은 분열 여당은 균열 1 file 2016.04.09 최다혜 17396
복지를 통해 부의 불균형을 해결한다? file 2016.10.24 장은지 17391
교권이요? “선생님 수업하실 때 선생님 성함 제일 크게 외치는 사람이 이기는 게임도 하고요…” 5 file 2017.07.23 신아진 17377
자유학기제로 진로 고민 해결? 5 file 2016.04.10 이민정 17367
비판을 비판으로 받아들이기 위해... 3 file 2017.02.20 김민주 17364
특검수사 기간 D-11, 특검 연장을 외치며 시민들 다시 광장으로 file 2017.02.19 김동언 17364
14일 '충주시민 반기문 환영대회' 열리다. 3 file 2017.01.25 김혜린 17351
알아야 할 권리와 잊혀야 할 권리 3 file 2016.03.19 김영경 17349
지카 바이러스 확산 대응 방법은? 2 file 2016.03.25 노태인 17348
헌법재판소 앞, 식지않는 열기 file 2017.02.18 전태경 17316
폐허가 되어 버린 리우 올림픽, 마냥 동정만 할 수 없는 이유 3 file 2017.02.24 박우빈 17315
경제가 시사하는 게 ISSUE - 공급과 공급의 탄력성 file 2018.08.27 김민우 17305
기내난동은 이제 그만! 항공보안법 개정안 발의 3 file 2017.02.19 이나희 17280
당진시장, 시민들의 소리를 들어 1 2017.01.24 박근덕 17278
도로 위의 무법자, 버스 7 file 2017.01.21 신승목 17270
4.13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과제 1 file 2016.04.25 강예린 17256
세종시 공공임대아파트 분양전환 갈등 2019.06.27 황수빈 17251
통영시 청소년들 만18세 투표권행사 열어 1 file 2017.02.20 김태지 17249
믿을 수 없는 사학재단의 끊임없는 비리 - 성신여대 심화진 총장 법정 구속되다 1 file 2017.02.24 정선우 17232
제노포비아, 한국은 어떤가요? file 2018.10.24 남지윤 17218
20만이 외친다! 박근혜는 하야하라 4 file 2016.11.06 박채원 17200
김재수 장관 해임건의안 가결로 본 대한민국의 정치 file 2016.09.25 구성모 17198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누가 차별당하는 것인가 4 file 2017.07.19 윤익현 17189
소녀가 홀로 싸우지 않도록 우리가 함께할게요. 10 file 2017.02.16 안옥주 17182
세월호 참사 2주기 세월호가 한국 정치에게 묻는다. 2 file 2016.04.22 이강민 17175
18세 선거권, 권리 없는 의무가 있을 수는 없다. 5 file 2017.05.05 윤익현 171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