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김수영 문학관을 방문하다

by 4기김주연기자 posted Mar 20, 2017 Views 1530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왜 나는 조그만 일에만 분개하는가

저 왕궁 대신에 왕궁의 음탕 대신에

오십 원짜리 갈비가 기름덩어리만 나왔다고 분개하고


김수영 시인의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중 일부이다. 한번쯤 들어봤을 법한 시이다. 작고 사소한 일에는 화를 내면서 크고 본질적인 일에는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지 않은 화자가 기자 본인과 비슷하다고 느꼈다. 뉴스를 보며 최순실 게이트에는 분노하면서 광화문 거리에 나가 촛불 집회에 참여하지 않는 모습이 비슷하다고 느껴 김수영 문학관에 방문하게 되었다.


fggfgfgr.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4기 김주연 기자]



김수영 문학관은 서울시 도봉구에 위치해 있다. 관람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40분 까지 이며 관람료는 무료이다. 문학관은 1층과 2층에 전시실이 있으며 내부에는 김수영 시인의 시와 평론, 산문과 일상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문학관에서 본 시들 중 가장 인상 깊었던 시는 '거대한 뿌리'였다. 보통 시를 생각하면 아름다운 언어와 글들을 생각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 시에는 시인의 감정이 그대로 표현되어 있었다. 시인의 화와 분노는 욕설로 그대로 표현되어 있었다.


김수영 시인은 매우 강하고 굳건한 사람이었다. 시인의 마지막 순간까지도 그러하였다. 후배들과 술을 마시고 집으로 돌아가려는데 한 후배가 기사까지 달린 자신의 외제차로 모셔다주겠다며 권한다. 김수영 시인은 자신이 그 차를 왜 타야하며 화를 내고 술에 취한 채 시내 버스를 타러 간다. 종점에 내려 길을 가던 김수영 시인을 졸음 운전하던 버스가 들이받아 김수영 시인은 두개골 파열로 사망하게 된다.


김수영 시인이 죽기 전에 쓴 마지막 시가 바로 이다. 풀이 바람에 의해 누웠다가도 스스로 일어나는 강인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시가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인 탄핵을 이끌어낸 촛불집회와 비슷하다고 느껴졌다. 풀은 바람만 불어도 눕혀지는 약한 존재이다. 촛불 또한 그렇다. 촛불은 작은 바람이 불면 꺼지지만 수천의, 수만의 촛불이 모여 불가능하다고 하던 일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김수영 시인은 죽기 전 이런 민중의 힘을 알았던 것이 아닐까.


김수영 문학관에 방문해 다양한 김수영 시인의 다양한 산문과 시를 읽는다면, 자신이 몰랐던 문학의 세계에 좀 더 깊이 알아가고 현대 사회는 어떠한지, 또 자신은 그 사회에서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 = 4기 김주연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민동빈기자 2017.03.20 20:19
    김수영 시인에 대해서 잘 몰랐는데 우연히 들러 알게 되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57899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2777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70130
3회 연속 아시안게임 동메달을 차지한 대한민국 여자축구국가대표팀 귀국 file 2018.09.03 허기범 14316
근로정신대를 아시나요? file 2018.09.03 최용준 15381
날개 부러진 나비를 수술해준 누리꾼 2018.09.03 8기임예빈기자 16060
전 세계가 주목, 인천에서 시작한 오버워치 월드컵 1 2018.08.31 이유리 16228
깨어있는 여성들의 유행 문화, 탈코르셋 1 file 2018.08.31 8기신해수기자 15896
<유기견을 사랑하는 천사들> 보호소 봉사 1 file 2018.08.31 정수민 23854
상하이에서 구글 개발자 그룹 동북아시아 커뮤니티 미팅 개최 1 file 2018.08.30 전병규 15540
중국의 수도! 북경의 아름다운 문화재 1 2018.08.30 김찬유 19000
'2018 창의융합형 인문학기행' 역사교류단, 성장 캠프까지 성공적으로 마무리 file 2018.08.30 김혜신 19925
‘세상의 틀을 깨다, 내 삶을 깨우다’, 새만금 노마드페스티벌 개최 file 2018.08.30 조햇살 16101
아시안게임, 병역 혜택의 기회? 3 file 2018.08.30 김서진 13452
굿네이버스, 10대들의 생각은? file 2018.08.29 임세진 14109
열섬 현상을 막는 도심 속 생태계, 서울숲 file 2018.08.29 전세린 20092
‘Youtuber’ 축제 ‘DIA FESTIVAL’ 그 열기는! 2018.08.29 김유진 17781
초록우산어린이재단, 경기북부권역 9개교 나눔실천리더 발대식 개최 file 2018.08.28 디지털이슈팀 16070
올여름 더위를 식힐 필수품, 미니 손 선풍기 2 file 2018.08.27 조수진 15961
조선을 위한 변호사...'후세 다츠지' file 2018.08.27 윤현정 14586
'그루밍족' 남성의 화장은 죄인가? 2 file 2018.08.27 구본윤 18449
숨기기보다 드러내는 것이 치매 예방의 지름길 1 file 2018.08.27 여인열 16356
차정원, 그는 누구인가 1 file 2018.08.27 노현빈 15908
광복절, 안성에서 그들을 기억하다 1 file 2018.08.27 안정섭 16011
디스이즈네버댓 두 번째 모험가 이야기, “ADVENTURER2” 3 file 2018.08.27 김다은 22388
뜨거운 태양을 피해 ‘해질녘에 듣는 도란도란 한옥마을 이야기’ file 2018.08.27 김수인 14547
6년 만에 돌아온 첫사랑 로맨스 '너의 결혼식' 2 file 2018.08.27 이유영 14690
앞으로 올 미래시대에 자리 잡을 3D 프린터 1 2018.08.23 강민성 13960
동양의 나폴리와 함께하는 통영한산대첩축제 file 2018.08.23 강이슬 16097
충청남도의 문화를 책임질 '충남도서관' 2018.08.23 오가람 15146
제천시 별새꽃돌 자연탐사과학관에서 자연을 배우다 file 2018.08.22 조정원 16582
편견 없는 시선으로 '방탄소년단'을 논하다 2 2018.08.21 김예나 19849
세계 최대 규모의 크리에이터 페스티벌 'DIA FESTIVAL 2018 with 놀꽃' 개최 1 file 2018.08.21 허기범 16440
"Happy Animals-'함께' 행복한 세상" 제6회 순천만세계동물영화제 개최되다 file 2018.08.21 정혜연 16276
꿈의 나노소재, 그래핀 1 file 2018.08.20 박효민 19768
자율주행 자동차의 현실 file 2018.08.20 이형우 20148
e스포츠 아시안게임에 나서다 4 2018.08.20 김창훈 16068
갤럭시 노트9이 아닌 노트8.5였다 4 file 2018.08.20 윤주환 33974
제22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가 열리다! 1 file 2018.08.20 정유경 15020
소식 없이 끝나버린 토트넘의 이적시장 1 file 2018.08.20 이형경 14735
우리가 기억해야 할 과거, 광복절 및 정부수립 경축식이 열리다 file 2018.08.20 정아영 13652
우리 모두가 경축해야 하는 국경일, 광복절 1 file 2018.08.20 유하늘 14283
교토, 일본 본연의 도시 7 file 2018.08.20 이승철 20171
올해 여름철 무더위는 '울진해양캠프'로 해결 file 2018.08.17 정다원 13839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안정을 향해, 제42차 모의유엔총회 file 2018.08.17 박세경 15671
린드블럼 14승, 반슬라이크 KBO리그 데뷔 '첫 홈런' file 2018.08.16 옥나은 14992
아시안게임 축구 대표 팀의 논란 file 2018.08.16 이형경 16098
여자프로배구팀 KGC인삼공사, 2018 보령·한국도로공사컵 대회 우승 file 2018.08.16 김하은 16704
'생명캠프' 생명권을 교육하다 file 2018.08.16 박서윤 15075
삼성전자의 새로운 멤버들 태어나다! file 2018.08.13 김찬빈 20895
‘장르적 유사성’과 ‘표절’의 판단 기준은? file 2018.08.13 정지혜 229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