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당신은 멀티가 가능합니까?

by 4기김서영기자 posted Mar 17, 2017 Views 1533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우리들은 노래와도 공부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지금은 성인이지만 과거의 청소년이었던 사람에게도 현재의 청소년들에게도 곧 청소년이 될 어린아이들에게도 공부는 피할 수 없는 길이기에 어쩔수 없이 하거나 혹은 즐기며 공부를 한다. 공부로 힘들고 지친 당신을 노래가 위로 해주기도 하고 당신은 위안을 받기도 하기 한다. 그러나 노래와 공부가 합일(合一) 이룬다면 어떻게 될까 과연 우리는 멀티가 가능할까?


몇몇의 학생들은 이렇게 말한다. “저는 정말 공부할 때 노래를 들어야 공부가 잘돼요” “노래를 들으면 집중이 잘되는 것 같아요” 그래서 학생들의 공부 모습을 보면 종종 귀에 이어폰을 꼽고 공부를 하기도 한다. 물론 이어폰을 꼽고 노래를 듣고 있지 않을 수 도 있겠지만 이어폰을 끼고 있으면 노래를 듣게 되는 것이 사람의 심리이기 때문이다. 어떤 학생들은 신나는 노래를 듣기도 하고 어떤 학생들은 잔잔한 클래식 음악을 들으며 공부 한다. 이들에게 노래가 영향을 끼치는 것이 사실인지 에 대한 논란이 많았는데 그중 영국의 임상심리학자인 엠마 그레이 박사는 분당 50~80비트(beat)의 팝송이 뇌의 학습능력을 높여 새로운 내용을 기억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주장한 적이 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저스틴 팀버레이크의 ‘미러스’(Mirrors) 등 느리고 잔잔한 노래는 과학·인문학 등 논리적 사고가 필요한 과목을 공부할 때 효과적이었다고 한다. 그레이 박사는 “공부할 때 음악을 들을 경우 듣지 않을 때보다 학습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음악은 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적절한 곡을 선택하면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반대로 2006년 로셀 폴드렉 미국 캘리포니아대 로스엔젤레스 캠퍼스(UCLA) 심리학과 교수팀은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하는 등 산만한 상태에서 지식을 습득할 경우 나중에 기억하기 어렵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폴드렉 교수는 “다른 일을 하면서 지식을 인지할 때 두뇌는 인지방법을 바꾼다” 며 뇌는 한 가지 일에만 집중 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 때 인지하는 지식은 ‘덜 융통적(less flexible)’이며  특정 상황(음악 청취)에선 지식이 잘 습득된다하더라도 바뀐 상황(시험)에서는 습득한 지식을 기억하기 힘들게 된다” 고 설명했다.


쉽게 말해서 노래를 들으며 공부하는 것은 개인 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어떤 종류의 음악으로 나뉘는지에 따라서 공부 효과가 달라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래식이나, 교양음악과 같은 느리고, 가사가 없는 음악으로는 학습 능력을 올릴 수 있으나, 대중가요와 같은 소리의 크기가 다양하고 큰 음악 , 또한 가사가 있는 음악은 학습능력에 악영향을 끼친 다는 게 일반적인 연구결과이다.



c00ab6afa814fa611e8a7925ed9e7738.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서영기자]



한편 전문가들은 음악을 듣는 행위 자체보다는 이어폰을 꽂는 습관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았다.  OO대학교교수는 “‘이어폰으로 음악을 들으면서 공부하면 집중이 더욱 잘 된다’라고 느끼는 것은 착각에 불과하다”며 “이는 양쪽 귀 바로 위쪽에 언어중추가 있는 측두엽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측두엽과 가까운 귀에 이어폰을 꽂으면 언어중추가 음악소리에 쉽게 자극받게 되고, 학습내용은 기억에 잘 안 남게 된다”고 한다. 또 “가끔 음악을 듣고 싶은데 공부도 해야 할 때가 있다”며 “이런 경우 두 가지 일을 동시에 하기보다는 음악을 30분 정도 들은 후 공부하거나, 반대로 50분 정도 공부한 후 음악을 20분 듣는 등 방법을 쓰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예전까지만 해도 계속 노래를 들으면서 공부를 했을 경우엔 조금씩 조용한 곳에서 공부를 하는 것 이 바람직하고 집중이 너무 안된다거나 공부가 안된다 싶을 때에는 빠르지 않은, 공부에 방해되지 않을 만한 가사가 없는 잔잔한 노래를 잘 선택해서 들으면서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 같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김서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정유진기자 2017.03.19 00:50
    저도 음악을 들으면서 수학 문제를 푸는 습관이 있어서 이 기사내용을 인상깊게 읽은 것 같아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김서영기자 2017.05.07 15:32
    기사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당!
  • ?
    4기이지우기자 2017.03.19 22:49
    어른들이 공부할 때는 노래들으면 집중 안된다고 하실 때마다 나한테는 적용되지 않는 말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이렇게 전문가 분들의 말을 보니 제가 틀렸다는 생각이 강하게 드네요! 앞으로는 기사 내용에 작성된 것처럼 노래 듣는 시간과 공부 시간을 명확히 구분해야 겠어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김서영기자 2017.05.07 15:33
    기사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당!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2720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8059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07369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을 소개합니다! 1 file 2017.09.19 홍여준 15329
시끌벅적한 도시 한복판에서의 멍 때리기 1 file 2017.05.23 최지오 15330
영화전공이 들려주는 2020 OSCAR 이야기 file 2020.05.18 정근혁 15330
평창 올림픽 D-228, 평창호 탑승자가 되는길! 3 file 2017.06.29 김채현 15331
BIFAN이다 BIFAN 가자 1 file 2017.09.07 손종욱 15331
문화조건의 볼모지에서 피어난 기적, 충남 서천군 봄의 마을 종합교육센터 2017.10.25 전건호 15331
워싱턴에서 한반도 평화 기원 행사 개최 1 file 2016.08.12 김현승 15332
어느날, 내가 죽었습니다. [새로운 나를 위한 힐 다잉체험기] file 2017.09.26 이승호 15335
대구 시민들의 외침, '시민열정, 희망으로 피어나다!' 2017.03.05 오지은 15336
당신은 멀티가 가능합니까? 4 file 2017.03.17 김서영 15337
함께하는 민주 시민, 광주 자원봉사 체험존으로! file 2017.09.06 홍수빈 15337
굴러들어온 돌, 통합경비시스템 2 file 2017.03.27 이희원 15341
제 1회 한국 국제 기억력 스포츠 대회 3 file 2017.02.25 박마리 15342
모두 사랑으로 보살펴 주자-다사랑봉사단, 장애인 인권교육받다 file 2017.03.12 전태경 15342
우리를 따스하게 해 줄 책 3권 4 file 2020.03.04 김윤채 15342
2030세대의 마음을 울리다, ‘MBN Y FORUM 2019’ 오는 27일 개최 2019.02.13 이승하 15343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들이 겪었던 역사,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에 방문하다! file 2018.12.03 박희원 15344
MUN 101, 청소년들의 모의 유엔 1 file 2017.08.17 고주연 15346
[MBN Y 포럼] Enjoy The Impossible! 4 file 2017.02.08 김지원 15347
봄을 만끽할 수 있는 2017 개화산 봄꽃 축제 현장속으로! file 2017.04.15 권도경 15347
꽃피는 봄이 왔지만... 봄꽃 축제 행사장에서는 무슨 일이? 8 file 2017.04.13 정채린 15348
인간과 물 그리고 녹조 file 2017.05.04 최지민 15349
축구계에 부는 새로운 바람 2 file 2017.02.19 하재우 15352
미래를 만나다, 울산과학제전! file 2017.05.27 권지민 15352
2020년 상반기 게임 소식 1 file 2020.05.15 정근혁 15352
불빛 무대, 포항 밤바다 3 file 2018.08.03 윤의빈 15353
광복72주년???빗속에서 열린 겨례의 '2017 서대문독립민주축제' 2017.08.30 문성환 15354
매력만점! 베트남어! 3 file 2020.08.04 정진희 15354
‘3.1절 98주년’ 양주 광적면에 “태극기”가 휘날리다. file 2017.03.26 김소희 15356
국민행복카드로 우리나라 저출산·고령화에도 드디어 희망이! 2 file 2017.08.06 김나현 15356
사람들의 힐링 공간, 한강 시민 공원 file 2017.05.25 정미루 15358
바이오 헬스케어 file 2017.07.24 신규리 15359
우리 동네를 지키는 '영등포 본동 자율방범 현장체험' file 2017.09.04 이지연 15359
근로정신대를 아시나요? file 2018.09.03 최용준 15361
만화 속 세상이 현실이 되는 곳, '디즈니랜드' 2 file 2017.08.17 김주호 15363
영화 <1987>, 오늘날을 사는 우리에게 전하는 묵직한 메시지 2 file 2018.01.22 박우빈 15363
크로아티아 수심 114m 호수의 믿을 수 없는 변신, 축구장이 되다 file 2020.09.28 권혁빈 15363
'브랙시트에 대한 학생의 생각은?' - 13th ESU Korea Public Speaking Competition file 2017.03.19 김세흔 15364
K-바이오를 이끄는 주역, 한인 생명 과학자들 ‘K-BioX’에서 모인다 1 file 2021.04.21 이주연 15364
엔돌핀이 마약이라고? - 호르몬에 대한 오해와 진실 2021.11.26 김상우 15367
인간의 욕심이 나은 결과물, 또 한마리의 돌고래 폐사 1 file 2017.04.19 이빈 15374
영화, 환경을 품다. '서울환경영화제' 1 file 2016.05.20 박소희 15379
다가오는 봄, '남산골한옥마을'로! 7 file 2018.03.23 최금비 15380
기아차, 스팅어 2017서울모터쇼 프레스 데이인 3월 30일에 발표.. 2 file 2017.03.31 김홍렬 15382
제3회 Mun 101 개최! 2 file 2017.08.10 최서진 15383
성묘 질병 및 안전사고를 유의하는 방법 file 2017.10.16 김진 15386
코로나 신조어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file 2020.09.23 조수민 15387
왜 이렇게 덥지? 지구가 Burn하고 있다 1 file 2016.07.25 김지민 153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