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물가가 너무 올라요! - 물가의 비밀

by 4기천주연기자 posted Mar 16, 2017 Views 1477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70307_11185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천주연 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학생들은 평소에 주로 많이 사는 아이스크림, 과자, 학용품 등의 가격이 오르면 '물가가 올랐어.'라는 표현을 쓰곤 한다. 그리고 부모님들은 주로 식료품의 가격이 오르면 '물가가 많이 올랐네.'라는 말씀을 하시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발표되면 '말도 안 돼'라는 반응이 많다. 체감하는 것보다 물가 상승률이 많이 오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반응이 맞을까? 우리가 물가와 물가 지수에 대해 오해하고 있지는 않을까? 물가가 오른다, 내린다같은 표면적인 의미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지는 않을까이번 기사에서는 '물가의 비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물가는 '상품가격의 평균수준'이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상품가격을 가중평균 한다는 것이다. 가중치는 보통 상품의 거래액을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소비자물가지수는 가중치가 그 품목이 전체 가구의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정해진다. 예를 들어, 밀가루에 대한 가구 지출비중이 쌀가루보다 4배 더 많다면 두 품목의 가격이 동일하게 20% 상승하더라도 밀가루 가격상승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은 쌀 가격상승보다 4배 많을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오해하는 부분을 짚어볼 수 있다. 물가는 특정 품목의 가격이 올랐다고 '올랐다'라고 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가중치가 높은 품목의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 가중치가 높기 때문에 물가가 오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여기서 문제점이 발생한다. 식료품과 에너지(국제 유가 등)의 가격은 가중치가 높을 뿐더러, 가격 변동도 자연재해나 OPEC의 공급 조절 등 일시적인 외부충격에 의해 가격이 급변동하는 경우가 많다. 식료품과 에너지의 가격만 오르고 다른 품목의 가격이 모두 내리더라도 물가지수는 상승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왜곡을 막기 위한 것이 '근원 물가지수(core inflation)'이다. 소비자들의 체감 물가지수나 소비자 물가지수(CPI)와 변동 폭이 가격이 더 떨어지면 물가는 오히려 내렸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식료품과 다르다소비자 물가와 근원물가의 변동 폭이 달라 '체감 스태그플레이션'이라는 말이 나오기도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4기 천주연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정치부김수연기자 2017.03.18 20:10
    와 물가의 의미부터 똑바로 짚어주시네요. 지금까지 정말 잘못된 사고를 했다는 사실을 이 기사를 통해 깨달았습니다. 소비자 물가와 근원물가를 자세히 알아보고 올바른 경제 상식을 가져야겠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7993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5924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404229
스마트한 기부, 변화된 기부, 기부박수 337 1 file 2017.06.25 최찬영 16566
2019 Asian Science Camp file 2019.09.02 백윤하 16563
신태용 감독의 '신나라 코리아'… 현실 될 수 있을까? 1 2017.09.01 윤은서 16559
그 날에 대한 사과를 기다리며, 영화<어폴로지> file 2017.03.21 안옥주 16559
개고기 식용 아직 풀지못한 과제 4 file 2017.08.06 김도연 16557
나에게는 예쁜 애완동물, 남에게도 그럴까? file 2017.08.29 박유진 16550
군산에서 보는 채만식 file 2016.11.20 박성우 16550
이제 곧 봄인데, 벚꽃 보러 가세요 ! - 2017 벚꽃 축제 1 file 2017.03.19 임하은 16549
강서구립 도서관들의 북 콘서트 2017.11.07 노경배 16546
'2017경기로컬푸드데이'를 아시나요? file 2017.10.02 박지은 16546
양운고등학교 과학 동아리 LAB - 은거울 실험 file 2017.05.22 전제석 16543
통일을 향한 움직임... 통일공감 대토론회 열려 file 2016.06.25 황지연 16543
의왕시&아칸소주 홈스테이 교류! EP01 1 file 2016.08.07 김성현 16542
영원히 기억해야 할 우리 민족의 영웅, 안중근 의사 file 2019.01.29 정하현 16541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2 file 2017.03.01 박효주 16540
400년이 지나도 변함없는 '그'의 도발 file 2016.04.02 명은율 16538
현재와 미래로 걸어가는 문, 스마트 디바이스 쇼 KITAS 2017 1 2017.08.25 박정현 16537
참 언론의 참 기능, 영화 <스포트라이트> 2 file 2016.03.20 임하늘 16534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작은 한걸음 file 2017.03.25 김경은 16532
누구보다 소중한 나이기에, 『미안하지만, 오늘은 내 인생이 먼저예요』 2 file 2019.02.28 최은진 16531
영화 <검은 사제들> 촬영지, 계산성당 file 2021.03.03 한윤지 16529
교보교육재단, 창의적 인재육성프로그램 체인지 프로그램 성공적 개최 1 file 2017.07.11 이태양 16526
오늘 영국 밤하늘의 뒷이야기, 가이 포크스 데이 file 2017.11.07 김다은 16525
나의 글쓰기 실력을 뽐내라, 31번 째 새얼전국학생/어머니 백일장 열려 1 file 2016.04.24 이준성 16525
대한민국 축구를 만나다, 풋볼 팬타지움 2 file 2018.10.16 김하은 16524
코로나바이러스가 가져온 새로운 변화, OTT 서비스 file 2020.05.04 유해나 16523
단국대학교 축제 용인의 밤을 불태우다! 1 file 2017.05.20 박승재 16523
Summer Time file 2016.11.07 조은아 16523
소래포구 어시장 화재, 복구는? file 2017.04.19 이다빈 16520
제7회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 IT의 신세계 file 2017.09.11 신효정 16519
가족과 함께 하는 봉사, 어렵지 않아요! 3 file 2017.03.20 한정원 16515
“뭐라도 해야지 바뀌지 않겠습니까” ‘D.P.’의 흥행과 그 이야기 file 2021.09.08 이정훈 16514
기부의 새로운 패러다임! 기부박수 337! 1 file 2017.02.22 최찬영 16513
일본인 원장에 맺힌 한, 소록도 병원 file 2020.05.18 홍세은 16507
새로운 재활용 방법 '업사이클링'의 등장 file 2017.03.18 4기기자전하은 16505
'스포티파이', 드디어 대한민국에... 여전히 없는 '아이유' file 2021.02.18 최다빈 16504
하얀 파도와 '성난 서퍼들' 1 2017.08.02 이주은 16501
일상 속에 녹아있는 '약자 혐오', 우리들의 '인식'을 위하여 2 file 2017.04.16 이서현 16501
독서의 도시 김해의 2016김해의 책 file 2016.07.18 최우석 16501
청소년들이 만들어낸 '노란 나비'의 나비효과 1 file 2018.02.26 신다인 16499
무더운 여름철, 냉방병이란? file 2017.07.24 이다호 16499
(현장취재) National Assembly 알고보면 국민에게 가까운, 대한민국 국회에 대해 알아보자. file 2017.02.25 박재범 16499
우리는 왜 샤오미에 열광하는가? file 2017.10.09 이성채 16496
과학? 축제의 중심이 되다! file 2017.06.12 오지석 16496
봄의 끝물에서 본 문수사 겹벚꽃 3 file 2017.04.30 서지은 16496
99년전, 동경 유학생들의 외침 1 2018.02.21 최운비 16494
최저임금 해결사. 일자리 안정자금 3 file 2018.03.20 윤찬우 16492
한국교통대학교 2017년 제16회 국원문학상 공모 1 file 2017.08.03 김경수 164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