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조선 최고의 식목왕, 정조

by 4기최지민기자 posted Feb 28, 2017 Views 1605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green-719106_960_720.jpg

녹색 도시 [이미지 제공=IsaThalheim]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녹색 도시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나요? 녹색 도시의 조성은 산업화로 병든 지구를 고쳐내기 위해 사람들이 과거 선조들이 살았던 환경처럼 우리 생활 공간 내의 녹지를 풍부하게 키워내려는 움직임입니다. 이 추세에 따라 현재 세계 곳곳에서 식재, 즉 나무 심기의 문화는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산업화 이전 우리 선조들의 역사에서는 식재 문화가 어떻게 나타났을까요? 지금부터 여러분과 조선으로 들어가 이를 탐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타임머신.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최지민기자]


  우리가 흔히 아는 45일 식목일은 조선 제9대 임금 성종이 친경한 것을 기념하는 날에서 출발했습니다. 이때부터 매년 식목행사가 열렸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가장 실제적으로 식목 문화를 선도한 왕은 누구일까요? 바로 조선의 중흥을 이끈 것으로 유명한 정조입니다.



Portrait_of_Jeongjo_of_Joseon.jpg

정조 초상화 [이미지 제공=Sithijainduwaraparanagama]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정조는 모든 환경 관리의 근본이 식목에 있다고 생각했는데요. 일례로 "홍재전서"에 따르면, 산 보전을 위해서는 관리보다 식목이 더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산이 무너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었다는데요.


  그래서 정조는 관리들에게 나무심기를 굉장히 엄격하게 시행했습니다. "비변사등록"에 따르면 한 번은 지방관과 병사가 소나무를 심으라는 명령을 따르지 않았더니 파직시켰다고 합니다. 또 반대로 "대전통편"을 보면 소나무 1,000그루를 심어 키운 사람에게 상을 내리며 식재를 유도하기도 했다는데요. 이처럼 정조는 당근과 채찍을 효율적으로 사용해 나무심기를 관리했으며, 그에 대한 정보를 철저히 조사하면서 식재를 중시하였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정조는 왜 이리도 지극정성으로 나무를 심게 된 걸까요? 당시 나무는 백성들의 생계유지와 직결되는 존재일 뿐만 아니라 자식을 대신하여 부모를 지킨다는 의미도 가지고 있었습니다.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를 여의고 그에 대한 효심으로 식목을 시작했는데, 그것이 결국 백성의 행복을 추구하며 ,그들의 미래를 준비하는 임금이자 어버이로서의 식목으로 이어졌다고 합니다. 그 증거는 사도세자의 무덤 근처에 위치한 수원화성의 녹지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화홍문.jpg

수원화성 [이미지 제공=Thomasrhee]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가장 처음에 제가 언급했던 이야기로 돌아가 봅시다. 녹색 도시. 정조가 현재 녹색 도시를 추구하는 우리 현대인들에게, 남겨진 울창한 녹지를 통해서 어떤 교훈을 전해주고 있는 것일까요?


  백성과 환경을 살리는 식목을 열정적으로 추구했던 정조라는 인물. 나무에 깃든 그의 얼과 정신은 자연과 인간 모두가 어울려 사는 이 녹색도시를 진정으로 건설하기 위한 일종의 지침을 제시해주고 있을 것입니다.

 정조의 사람에 대한 사랑과 관심, 그리고 환경에 대한 애정.

 그것이 바로 그에 대한 답이 아닐까요?



위의 이미지는 사용 허락을 받은 사진(이미지 제공)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4기 최지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추연종기자 2017.03.03 01:32
    정조하면 화성밖에 생각나지 않았는데 환경관리와 녹색도시에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는 점이 놀랍네요. 전 세계적으로 많은 수의 나무를 베어서 환경파괴가 심각한데 조상들의 지혜에서 배울 수 있듯이 환경을 아끼고 보존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잘 읽고갑니다.
  • ?
    4기최지민기자 2017.03.06 23:37
    기사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환경과 관련된 정조의 업적을 많이 알고 가게 되시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네요~
  • ?
    4기최윤경기자 2017.03.03 20:16
    정조가 식목문화를 선도했는지 오늘 처음 알게 되었어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ㅎㅎㅎ
  • ?
    4기강단비기자 2017.03.05 15:46
    정조에 대해 몰랐던 것을 알 수 있게 된 유익한 기사였어요. 재밌게 읽고 갑니다. 오늘날 필요할 태도에 대한 과거의 지침서가 있었군요. ^_^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3434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9186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22986
벚꽃에, 노래에 취하게, '진해군항제' 2018.04.11 김진영 19946
벚꽃이 필 때도, 배구하자 6 file 2017.02.06 방가경 15997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머릿속이 지식백과로 둔갑하다! 12 file 2017.02.13 김나경 14410
베스트셀러 <쌍둥이별>이 던져준 생명윤리의식 문제 file 2017.08.08 박서영 22958
베스트셀러 제조기 이기주 작가 팬사인회 개최하다. file 2017.08.01 손예은 20666
베스트셀러에서 베스트 영화로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10 file 2017.02.18 김보미 20203
베이킹 속에 숨어있는 과학 원리 file 2018.02.01 정용환 214206
베이킹소다와 식초의 사용, 이대로 괜찮을까? 2017.10.16 오정윤 20435
베이킹소다의 변신! 천연세탁세제 file 2017.10.30 홍유빈 18627
베일에 싸여있던 THBU 영상제. 그 막을 열다. 4 file 2017.02.12 임승은 15546
베트남 냐짱이 요새 각광받고 있다고? file 2019.04.29 최상선 16710
베트남 사람들이 한류에 열광한다구요? file 2016.04.17 김유민 20935
베트남 사파를 아시나요? file 2020.01.14 정다솜 22062
베트남 어디까지 가봤니? 1 file 2020.02.25 문연주 13732
베트남, 전라북도에서 평화통일을 이야기하다! 3 2019.01.22 김아랑 15629
베트남과 대한민국은 쌍둥이 1 file 2018.09.28 이지현 16409
베트남서 "한국어 제1외국어로 채택될 것" 1 file 2020.12.03 김유진 15269
베트남의 스타벅스, 콩카페 1 file 2019.09.23 정다솜 18475
베트남의 오토바이 문화 file 2016.03.25 박진영 22824
베트남의 호찌민 - 경주세계문화엑스포 SNS 서포터즈를 소개합니다! 1 file 2017.09.05 홍여준 21671
벤투 선장의 성공적인 첫 출항 2018.09.11 서성준 16094
벤투가 뿌리내린 한국, 결실을 맺을 수 있을까 1 file 2018.10.24 강민재 14776
벤투호, 이강인 제외 카타르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명단 발표 , ‘ 손흥민 햄스트링 부상 가능성…’ file 2021.08.24 정혜원 15968
변질된 페미니즘, 그리고 페미니즘 의무교육 3 file 2018.04.02 김민서 17873
변화되어야 하는 종교 file 2020.03.31 최준우 13004
변화를 위하여 내딛는 첫걸음, QISSMUN file 2019.04.30 박정현 16370
변화를 향한 목소리!, 제13회 "서울환경영화제" 폐막 file 2016.05.26 신재윤 15555
변화하고 있는 필리핀 골프문화 1 file 2021.12.31 최윤아 13668
별 그대와 책의 바다로, 강릉 독서대전 2 file 2017.09.19 이형섭 16977
별 하나에 윤동주의 삶을, 윤동주 문학관을 탐방하다 1 file 2017.03.25 황새연 15169
별(別)의 별(Star) 세계로 가봅시다~ file 2017.10.18 오지석 18448
별과 함께 빛난 학생들의 열정, 제13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file 2019.11.25 윤혜림 14212
별내동 청소년 미디어 제작단 영상 시사회가 열리다. file 2017.07.24 양우석 15908
별들의 전쟁 20-21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팀 확정..8강 대진 추첨은 19일 file 2021.03.19 이대성 22432
별들의 전쟁, 챔피언스리그의 신호탄 file 2018.12.20 서성준 17233
별들의 축제, 부산원아시아페스티벌 개막식 1 file 2018.11.09 김민정 15808
별이 된 시인, 윤동주 서거 72주기 13 file 2017.02.16 전초현 14409
별이 빛나는 밤, 『솔빛관측회』에서 우주를 엿보다 file 2017.10.12 박광천 15939
병역, 이제 남자만 고민해야 할 것이 아니다? file 2020.10.29 오준석 14620
보건복지부 청년수당 최종동의 3 file 2017.04.10 김승연 17141
보다 따뜻한 말, 함께 읽어요 file 2021.07.28 한수진 10884
보다 많은 청소년에게 대한민국 유일무이 모의유럽연합대회 참여의 기회를, MEUK 2017 2 file 2017.05.28 박수아 19628
보들별 잔치 (시간, 그들에게 묻다) file 2016.05.13 3기전재영기자 15272
보라매 청소년 프리마켓 청개구리에 놀러 오세요! file 2017.07.24 김승연 12937
보라매청소년센터 ‘생명사랑센터 개소 10주년 토크콘서트’ 17일 개최 file 2023.01.02 이지원 7872
보령시 청소년 문화의집, 보령시 청소년 운위영위원회 위촉식 진행 file 2017.03.25 이지민 14152
보육원의 식사, 건강할까? 1 file 2017.07.11 유지예 16068
보통의 시민들이 만들어가는 ‘어바웃 서부’ 시민기획단 file 2021.09.24 조희진 103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