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이심전심 수학콘서트로 학생들과 공감한 EBS

by 4기정윤서기자 posted Feb 20, 2017 Views 1905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이심전심 수학 콘서트'로 학생들과 공감한 EBS

사본 -20170218_095919.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  4기 정윤서기자)

20170218_095844.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  4기 정윤서기자)

 

  218일 오전 10시부터 1시간 30분 동안 EBS교육 방송국에서 개최된 이심전심 수학콘서트가 개최 되었다. 미리 EBS 사이트를 통해 방청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과 라이브 클래스의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이미지, 심주석 이하영 등의 스타강사들이 녹화가 시작되어 경직되어있는 학생들의 긴장을 풀어주기 위해 수능에 관한 몇 가지의 퀴즈를 통해 말랑한 분위기를 만든 후 하영과 미지의 스케치북이라는 코너로 일상의 이야기를 시작했다.

 

우리는 고등학교 시절을 어떻게 보냈는가?”라는 질문을 시작으로 이하영 선생님이 먼저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했다. 2 때 암 투병을 하고 계신 어머니를 행복하게 해 드려야겠다는 일념하나로 공부를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며 가족의 힘든 문제로 공부에 고심하고 있는 학생들의 마음에 울림을 주었고 반면 이미지 선생님은 잠을 자지 않고는 버틸 수 없는 공부 스타일로 인해 깨어있는 동안만 집중력을 발휘하여 꿈꾸던 대학도 갈 수 있었다며 충분히 잠을 자고도 목표한 대학에 갈 수 있다는 말로 학생들의 많은 환호성은 받았다

 한 번은 밤은 새워가며 끝없이 공부하는 친구들이 신기하고 부러워 자기도 같이 밤을 새워 보고자 밤마다 라면을 먹고 과자를 먹으며 견뎠더니 오히려 체중만이 올라갔다는 말로 웃음을 유발하면서도 학생들이 공부의 방법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좋은 기회를 제공했다. 본인만의 스타일을 통해 공부를 해 나가는 것이 가장 빠른 성적행상의 길이라며 말을 마쳤다.

 

이하영 선생님은 이미지 선생님 말에 공감하며 실제 4시간을 집중하기만 해도 공부의 양은 엄청나다고 했다. 시간분배를 제대로 하여 조금씩이라도 꾸준히 공부해 나가는 것이 몰아서 하는 식의 공부 보다 도움이 된다고 한다. 공부를 처음 시작하는 친구들에겐 처음부터 무리하게 하지 말고 점차 집중시간을 늘려가는 방식을 추천했다또한 스탑워치를 사용할 것을 권하며 하루에 자신이 얼마나 집중할 수 있는 지 시간을 재어 본다면 집중시간을 점차 늘려 갈 수 있을 것이라 했다.

 

숨 쉬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말을 하며 이미지 선생님은 토요일 오전은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하는 시간으로 정하여 스트레스를 풀며 고통의 시간을 이겨 낼 수 있었다고 한다그 때 항상 간식이 옆에 있었다며 웃음을 주었다.

 

이후 질문시간을 통해 서로 공감대를 형성했는데 이하영 선생님께서 육아와 공부를 병행하는 어머니 한 분을 주목했다아이 셋을 두고 수능에 다시 도전한다는 말에 이하영 선생님은 자신도 아이 셋의 어머니이기 때문에 공감이 된다며 어떻게 해야 일과 육아를 병행 할 수 있을지에 대해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공부에 있어서 늦고 빠른 정도는 없다는 용기의 말도 함께했다.

수능에서 30번 문제로 인해 고민이 많다는 학생에게 이미지 선생님은 30번 문제는 문제 출제 위원들이 제발 틀려라 하며 낸 문제이기 때문에 반드시 풀 수 있다는 확신은 할 수 없다라는 말을 통해 학생들에게 현실적인 상황을 인식시켰다. 반면 이하영 선생님은 트라우마 극복과 함께 성실성과 지구력이 있는 학생을 가르는 문제라는 말을 하며 내가 푼 내용을 논리적으로 활용 할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 정리를 잘하며 푸는 방식이 적절하다는 말을 덧붙여 학생들에게 용기를 복 돋아 주었다.

 

부모님과 갈등을 겪으면서 자신의 꿈을 포기하려는 학생들에게 지금 어떻게 해야 할지 해답을 찾지 못하여 방황 할 때 한 달 뒤에 자신이 죽는 다면 과연 어떤 선택을 할지 생각해 보라 했다. 그러면 질문에 대한 명쾌한 해답이 쉽게 나온다는 말과 함께 내가 하고 싶은 것을 밀고 나가는 대신 결과가 부끄러워서는 안 된다고 하여 올바른 길로 이끌어 주었다.

 

마지막으로 심주석 선생님은 N수생과 방청객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명쾌하고도 시원한 말씀을 하셨다. 진짜 수험생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을 해 보았냐는 질문으로 청중을 사로잡으며 자신의 내면에 무엇이 잠재하고 있는지 생각해 봐야 한다고 했다. 꿈을 이루고자 할 때 남들과는 다른 노력과 실천을 통해 얻어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세상에 공짜는 없다는 말로 수험생들을 호되게 꾸짖었다. N수생들에게는 정말 자신이 간절히 바라야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다는 따끔한 충고를 더했다. 처음 EBS강의에 발을 들였을 때 강의를 잘하기 위해 모든 선생님들께 전화를 해서 여쭈어 보는 적극성을 보였던 이하영 선생님, 녹화울렁증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강의를 계속 쳐다보고 있는 노력을 했다는 이미지 선생님을 통해 무언가를 해내기 위해서는 실천을 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주었다.

 

허세를 부리기 위해 재수를 해서 높은 대학을 가는 행위를 따끔하게 꼬집으며 수험생인 척 하지 말고 수험생이면 수험생답게 행동하자는 말을 남겼다. 1 때는 서울우유, 연세우유 정도는 먹어야지라고 하면서 고3이 되면 저지방우유도 우유니까 괜찮다라는 말들로 자신과의 타협을 하게 된다는 것을 이솝우화의 여우와 신포도 이야기를 통해 풀어냈다.

이후 강의가 모두 끝난 뒤 이심전심 수학 콘서트를 개최한 PD“EBS사이트에 점차 많은 초대 이벤트를 진행할 예정이며 수학으로 힘들어 하고 있는 학생을 위로 해 주도록 노력하겠다.”는 말을 덧붙였다. 선생님들은 학생들과 만나서 따뜻하고도 냉정한 말을 통해 아이들을 보듬어주는 시간을 가졌다. EBS가 개최한 이심전심 수학 콘서트는 많은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힐링을 선물했으며 학생들만이 아니라 수능을 보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힘을 주는 콘서트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 = 4기 정윤서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1366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5787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73604
봄의 전령 매화와 함께한 노리매 매화축제 3 file 2017.02.23 김이현 15255
사랑을 나누는 모자뜨기 캠페인, 올해로 10주년 맞아 5 file 2017.02.23 허현익 15442
포켓몬 고(Pok?mon GO)가 추락하는 이유 무엇인가 3 file 2017.02.24 임유리 23835
위기의 예술소비시장, 도깨비 책방이 구한다! 2 file 2017.02.24 김현정 13152
‘보이스’ 정말 15세 관람가여도 괜찮을까? file 2017.02.24 임해윤 16143
우리 속의 경제! 돈을 쓰고 돈을 모은다, 립스틱 효과와 카페라테 효과 1 file 2017.02.24 김지원 24932
가상증강현실, AR과 VR 4 2017.02.24 한제은 19041
금정세계시민포럼(GGCF), 세계시민을 말하다! file 2017.02.24 조묘희 15974
새 학기 가방고민, 한방에 해결하기! 1 file 2017.02.24 이서영 17158
경복궁 수문장 교대의식 file 2017.02.24 김태호 15980
동화책 속에서도 경제가 있네? file 2017.02.24 김나영 14196
새학기 교복을 저렴하게 구입하자! 1 file 2017.02.24 윤하림 13557
해운대 바닷가에서 열린 정월대보름 행사 file 2017.02.24 신유나 14084
MBN Y FORUM 2017, 불가능을 즐겼던 연사들의 이야기 file 2017.02.24 장예진 15380
뜨거웠던 3?15의거, 민주주의 역사 속으로 file 2017.02.24 안연수 14902
코레일이 운행하는 부산 동해선(동해 남부선) 토큰용 승차권의 슬픈 사연. 2 file 2017.02.24 김선태 17906
잊지 말아야 할 삼일절, 더는 보기 힘든 태극기 file 2017.02.24 박예림 13232
부산 가톨릭 센터, 누구나 참여하러 오세요. 2 file 2017.02.24 윤선애 14980
전주 한옥마을..... 전통은 어디? 4 2017.02.24 박소민 15176
유니클로 봉사단, 연탄배달로 사랑의 온정을 나누다 file 2017.02.24 김다연 14933
획기적인 기술 여기 다 모여!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 1 file 2017.02.24 이재현 15620
현대자동차, 그랜저 시트주름 출고 6개월 이내 차량.. 결국 무상교체 조치... 2 file 2017.02.24 김홍렬 21351
종이가 누렇게 변하는 이유 7 file 2017.02.25 이유진 28561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사회봉사센터 공헌 동계 공(工)드림 캠프 개최 1 file 2017.02.25 최민영 15464
'조작된 도시'에 맞서다. 1 file 2017.02.25 이경민 15573
달콤한 축제 '2017 스위트 코리아'!/ 한끼를 먹더라도 제대로! 'HMR 엑스포' 가 열리다! 1 file 2017.02.25 이현주 16735
영화 ‘모아나’를 통해 알아보는 자신의 꿈을 향해 걷는 방법 2 file 2017.02.25 이예인 15160
'인형 뽑기 방'의 유행, 과연 소소한 재미일까. 7 file 2017.02.25 김현서 20979
승자가 정해져있는 ‘인간 VS 인공지능 번역대결’ 2 file 2017.02.25 정진미 21531
사라지는 동전 file 2017.02.25 오경서 15957
프리러너 뉴먼의 갑작스러운 죽음 1 file 2017.02.25 최선 13532
오사카에서 400년의 세월을 느끼다 1 file 2017.02.25 김민진 14435
곧 출시 될 AMD RYZEN, PC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몰아올까? file 2017.02.25 홍종현 18170
일본에서 한국을 보다 2 file 2017.02.25 임지연 18474
'youth-청춘과 열병 그 못다한 이야기'-청춘을 일깨우는 전시회 file 2017.02.25 김보은 15671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 숨겨진 사실, 5.18 최후 항쟁지? 1 file 2017.02.25 홍민서 15498
청소년이 청소년에게, 2016수원화성방문의 해 file 2017.02.25 양수빈 16222
환경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국제교류[주니어에코엔지니어링 아카데미] 1 file 2017.02.25 정혜윤 19396
롯데월드 'Friday Burning 나이트파티' , 그 뜨거웠던 현장으로 2 2017.02.25 최민규 15127
과거와 현대의 공존, 오사카 여행기 file 2017.02.25 주은채 15898
한 도시 한 책 운동(One City One Book)을 아시나요? 3 file 2017.02.25 유희은 17963
B1A4 콘서트로 본 올바른 팬덤문화, '기부부스' 1 file 2017.02.25 성주영 17983
새롭게 떠오르는 흑린, 세계가 주목하는 이유는? 1 file 2017.02.25 이유림 16677
느티나무 도서관의 베이스 캠프, 동천역 열린 도서관 file 2017.02.25 김유경 15702
동작구청 중고생 교복 나눔장터 행사 1 file 2017.02.25 김주영 18739
드라마'도깨비'에 담긴 한국 설화 1 2017.02.25 김성은 25253
‘고등래퍼’ 좋은 시선이 될 수 있을까? 14 file 2017.02.25 안수현 20076
'꿈의 학교 카이, 꿈을 찍어 전시하다' file 2017.02.25 민원영 154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