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전세계를 덮친 최강 한파???그 원인은 지구온난화?

by 4기장현경기자 posted Feb 02, 2017 Views 1759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 엄청난 한파가 세계를 덮쳤다. 한국에서는 남부지역을 제외한 곳에서 눈과 한파가 기승을 부렸다. 강력한 한파는 한국에만 오는 것이 아니었다. 세계 각국에서도 피해가 속출했는데, 미국에서는 눈과 강한 바람이 동남부 지역을 강타했으며, 유럽과 러시아에서는 혹한이 지속되면서 폐렴과 동상 피해, 사망자도 속출했다. 이뿐만 아니라 중국 충칭에서도 20년 만에 눈이 내려 화제가 되었다. 지구촌을 덮은 강한 한파, 그 원인은 다름 아닌 지구온난화였다.


2월 기사 이미지.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장현경기자]



 최근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북극의 빙하가 녹고 있다. 또 지구온난화로 인해 이상기후 현상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올겨울의 한파도 이상기후에 포함된다. 북극의 빙하가 녹으며 에너지를 방출하고 극지방의 거대한 공기 흐름인 극 소용돌이(polar vortex)까지 영향을 주게 된다. 극 소용돌이란 극지방의 대류권 상층부터 성층권까지에 걸쳐 형성되는 강한 소용돌이로 극권(polar circle) 전역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거대하다. 극 소용돌이로 인해 극권의 찬 공기와 낮은 위도의 따뜻한 공기가 분명하게 나누어지게 된다.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나누어진 경계를 따라 제트 기류(Jet stream)라는 강한 바람이 돌면서 극 소용돌이의 찬 공기를 극에 머물게 한다. 제트기류는 찬 공기와 더운 공기의 온도차로 생기는 흐름이므로 북극의 온도가 낮으면 낮을수록 세력이 강해져 찬 공기를 극에 머물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지구온난화로 인해 북극 상층의 온도가 따뜻해지면서 낮은 위도의 따뜻한 공기와 경계가 불분명해진다. 따라서 북극 주위를 빠르게 돌며 한파를 가둬두던 제트 기류의 세력이 약해지면서 한반도가 속한 중위도까지 내려오게 되었고, 북극 한파가 직접 한반도 상공은 물론 세계를 덮쳤다.



지구온난화는 더 가속화되고 있다. 이 상황이 지속될수록 여름에는 폭염, 겨울에는 혹한이 지속될 것이라는 점이 우려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4기 장현경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최다인기자 2017.02.02 23:52
    부쩍 날씨가 추워진 건 기분탓만이 아니였군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임하은기자 2017.02.04 17:55
    지구온난화가 한파의 원인이라니.. 생각지도 못한 상황이네요.. 겨울은 더 추워지고 여름은 더 더워진다면 그것만큼 큰일인 것도 없을 것 같은데ㅠ 생활 속에서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쉬운 방법으로 지구 온난화를 조금이라도 늦춰야겠다는 생각이 드는 좋은 기사네요! 이미지 덕분에 더 이해가 잘 되었던 것 같네요. :)
  • ?
    4기김서영기자 2017.02.05 17:09
    사진 직접 만드신 건가요? 자료를 이용하셔서 보기에도 이해하기도 정말 쉬웠던 같아요 ㅎㅎ기사 잘쓰신것 같아용 ㅎ좋은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이하영기자 2017.02.05 22:06
    제작한 이미지를 통해 이해하기도 쉬웠고, 인상깊었습니다! 좋은기사 잘 읽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18939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6704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86941
힙합계의 치트키 쇼미더머니, 각 시즌별 수혜자는 누구? 1 file 2016.07.30 조수민 19318
힙합 좋아하니? 2016년 하반기 힙합계의 이슈들! file 2016.07.25 신재윤 19009
힐링하는 축제, 유성온천 문화축제 file 2017.05.27 손예은 18112
힐링하기 딱 좋은 곳 '우도' 1 file 2017.08.30 한유진 18406
힐링이 필요해 2017.11.28 이지혜 16925
힐링의 끝판왕, 베트남 달랏의 메링 커피 농장 2 file 2019.02.27 최상선 18514
힐링되는 꽃나들이, 창원 장미축제는 어때? 1 file 2017.05.24 안예현 19138
힐링 여행이 필요하다면, 이웃나라 일본 오카야마. 2 file 2016.09.24 이지수 20935
흰지팡이는 무엇을 의미할까? file 2017.09.19 정은희 17096
흰색 머리카락, 노화가 아니다! 2018.04.02 김동희 18546
희망이란 그이름 당당한 그이름! 청소년과 함께! file 2017.03.14 이지은 17325
희망이란 그 당당한 이름! 청소년과 함께! 2 file 2017.03.15 이지은 17422
희망의 소리, 재능기부봉사로 전해요 2 file 2016.04.09 김선아 20905
희망의 섬 제주에서 8?15 행사를 주최하다. file 2017.10.02 문재연 18614
희망의 빛과 나눔을 실천하는 '내일을 여는 교실 지역아동센터'를 소개합니다. 2017.08.30 노도진 22579
희망을 파는 그들, 꿈다리 컴퍼니. 4 file 2017.02.26 박환희 18274
희망더하기 그 첫번째 이야기- '당신의 희망더하기 캠페인을 아십니까?' file 2016.11.27 최호진 18953
희망꽃이 피어나는 여기는 온고지신 희망 마을, 씨알 봉사단. 6 file 2017.02.12 허지민 19115
희귀의약품 '메카신(Mecasin)' 1 file 2022.03.07 김다혜 11635
흡연 경고 그림 도입으로 감소했던 흡연율 다시 증가, 담배케이스 때문? file 2017.05.24 최예헌 16772
흐름 속에 알찬 지식 의왕 철도산업홍보관 1 file 2016.08.24 박도은 20375
휴일 100배 즐기기 '서울환경영화제'에서! 2018.05.28 김예나 17357
훌쩍 다가온 가을, 제철음식은? file 2016.09.25 최서영 20086
훈훈한 네티즌들의 선행, 백범 김구 선생의 정신을 기리며 2 file 2016.03.19 전지우 18530
후회 없는 사랑, <목련 후기> 2019.05.13 김서연 20387
후쿠오카, 그곳은 어디인가? file 2019.04.29 배경민 17759
후쿠오카, 그 고즈넉함으로 빠져들다 file 2018.02.28 강예빈 15231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일본인의 의견을 묻다 1 file 2020.11.30 오은빈 15657
후각으로 기억을 되돌릴 수 있을까? 4 file 2017.10.13 박현정 19032
효율적인 공부를 위한 준비물부터 유용한 활용법까지! 4 file 2020.03.17 김윤채 16926
효율적인 경제동아리 운영? 바로 연합동아리로! file 2016.04.09 김성현 19104
획기적인 기술 여기 다 모여!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 4 file 2017.02.19 이재현 17564
획기적인 기술 여기 다 모여!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 1 file 2017.02.24 이재현 15629
황금연휴, 고양국제꽃박람회와 함께 봄내음을 즐겨보자! 3 file 2017.05.20 한예진 16383
황금연휴 제대로 알자! file 2017.10.13 김나림 15978
황금알을 낳는 관광, 마이스(MICE) 산업 1 file 2017.04.02 박마리 24633
활활 타오르는 일러스트의 열기, 지금은 일러스트로 소통하는 시대 2 file 2017.08.08 이정민 19054
환절기 감기 보내고 벚꽃 구경하러 가자! file 2016.03.24 안세빈 19029
환전은 무엇일까? file 2019.08.09 송수진 27698
환상적인 야경을 볼 수 있는 방콕 '아시아티크' 2 2019.02.18 안소민 16526
환경파괴를 최소화한 케이블카를 타고 쿠란다마을로 file 2019.09.02 임하늘 17703
환경을 생각하는 텀블러, 리유저블 텀블러 4 file 2019.10.24 박효빈 19531
환경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국제교류[주니어에코엔지니어링 아카데미] 1 file 2017.02.25 정혜윤 19399
환경을 돌아보는 전시...성북 뮤지엄웨이브 '티타임' file 2023.12.31 이지우 6190
환경을 다시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 '서울환경영화제' 1 file 2018.06.11 진현용 17320
환경운동연합 <350 캠페인> file 2017.02.28 양정윤 17192
환경에 대한 새로운 생각,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8.05.29 정하현 16824
환경부, 2018년 생물다양성 청소년 페스티벌 개최 file 2018.12.18 정수민 167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