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볼펜도 만드는 중국... 위협적인 존재?

by 4기김희수기자 posted Jan 25, 2017 Views 1837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170125_183525615.jpg

[이미지제공=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 4기 김희수 기자 촬영 사진]


학생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필기구 중에 하나, 볼펜. 그렇다면 그 많은 볼펜들을 제조하는 제조업 강국은 어느 나라일까? 바로 중국이다. 제조사만 3천여 곳에 달하며 한 해에 중국에서 생산되는 볼펜의 개수는 무려 4백억 개 이다. 하지만 이전까지의 중국에서는 볼펜 제조의 주요 핵심부품 제조 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볼펜 볼에 사용되는 스테인리스강은 전면 일본에서 수입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1년 전 리커창 국무총리는 "세계 최대 철강 생산국이 볼펜 하나 못 만드는가?" 라고 한탄했다. 하지만 최근 중국에서 볼펜의 핵심부품 제조 기술의 국산화를 성공하면서 중국 전체가 떠들썩해졌다. 우주선도 만드는 중국이 볼펜 하나에 들썩 거린다는 것이 다소 의아할 수 있지만, 이는 단순한 볼펜이 아닌 중국 제조업 혁신을 나타내는 하나의 상징물이 된 것이다.

 

중국의 산업이 양적 수준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질적 차원의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은 더 이상 의심할 수 없는 여지가 되어버렸다. ‘중국 2025’가 이를 말해준다. ‘중국 2025’는 질적인 면에서의 제조 강국이 되기 위한 전략이다. 특히 인터넷과 제조업을 연결시킨 제조업 강화가 목적이다. 향후 30년간 10년 단위로 3단계에 걸쳐 발전하는 것이 전략의 핵심이다.

 

그렇다면 중국 2025’의 주된 혁신 목표는 무엇일까?

 

1단계 (2015~2025)는 미국, 독일, 일본, 영국, 한국 등과 같은 글로벌 제조 강국으로 도약하는 것이다. 양적인 측면에서 달성한 세계 최대의 제조 대국에서 나아가 품질, 기술, 이윤과 같은 질적 고도화를 이루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스마트화, 노동생산성 제고, 주요 업종의 에너지 소모율 및 오염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2단계(2026~2035)는 글로벌 제조 강국 내 중간수준을 확립하는 것이고,

 

3단계(2036~2045)는 주요 산업에서 선진적인 경쟁력을 갖춤으로써 세계 시장을 혁신적으로 선도하려는 것이 목표이다.

 

혁신 계획 중국 2025’가 성공할지 실패할지는 알 수 없는 상황이지만, 현 상황으로썬 긍정적인 입장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중국의 성장이 다른 일부 국가들에게는 마냥 반가운 소식만은 아니다.

최근 미국이 중국의 행보를 우려하는 보고서를 미국 백악관 산화 자문 위원회에서 발표하였다

이 보고서에서는 중국의 무서운 성장이 미국 기업의 입지를 약화시키고 국가안보까지 위협할 수 있어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중국이 해외 업체들의 자국 시장 진출 조건으로 기술이전을 요구하거나, 파격적인 가격제시,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독려하는 정부의 보조금 지원이 위협요소라고 뽑혔다.

 

이에 보고서에서는 "미국도 정부 차원에서 퀀텀 컴퓨팅이나 생체 칩 같은 문 샷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법인세 및 행정 절차를 간소화해줘야 한다"는 의견을 전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80년대 일본의 산업 발전 당시 미국이 반도체 워킹 그룹과 유사한 자문단을 구성한 상황과 비슷하며, 그만큼 미국에게 지금의 중국의 성장은 위협적인 존재라고 말할 수 있다.

 

4차 혁명 시대에 주역이 될 수 있는 중국의 발전은 앞으로 얼마다 더 성장 할지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4기 김희수]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양현서기자 2017.01.26 02:19
    최근 위협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기술발전과 앞으로의 행보를 이 기사를 통해 알게 되었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김단비기자 2017.01.26 02:44
    예전에는 중국 하면 과거의 모습만을 생각해왔었는데, 급부상하는 모습을 근 몇 년간 지켜보면서 위력에 놀랐습니다. 앞으로 중국이 세계 경제에 미칠 영향이 얼마나 더 커질지 궁금하네요.
  • ?
    4기한한나기자 2017.01.27 21:33
    중국산이라고 하면 괜히 쓰기 꺼려지고 먹기도 꺼려지는데 앞으로는 어떻게 바뀔지 기대되네요
  • ?
    4기정진하기자 2017.01.30 19:11
    이러한 중국의 발전은 제2외국어를 배우는 고등학생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죠. 제 친구도 중국어와 일본어 중에 하나를 택해야 하는데 고심 끝에 중국어로 택했어요. 중국의 성장이 학생들에게도 영향을 주는데 앞으로는 또 어떻게 영향을 줄지 생각하게 되네요.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유주원기자 2017.02.03 12:34
    ㅎㅎ 위 기사를 보며 기술력을 논하기는 좀 그렇지만, 중국은 it분야만 봐도 굉장한 성장을 이루고 있음이 눈으로 보입니다. 제가 얼마전 중국브랜드 샤오미의 미밴드를 사용하면서 느낀점이 있는데, 우월하고 돋보적인 가격경쟁력으로 어느정도 이상의 기술력을 보여줄 수 있을을, 중국브랜드라고해서 무시하고 하는 시대는 이미 지났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저는 이 기사를 읽는 내내 최근 급격한 성장을 보이는 중국에 대한 기대를 갖음과 동시에 대한민국의 기업들 등은 앞으로 국내무대에서만이 아닌, 국제적으로 경쟁력을 지닌 상품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 했습니다.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 ?
    4기김혜진기자 2017.02.12 14:35
    값싼 노동력과 발전하고 있는 기술이 합쳐진다면 정말 중국의 발전이 무궁무진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유태훈기자님의 댓글처럼 샤오미회사에서 확인할 수 있죠. 높은 기술과 싼 가격이 세계사람들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앞으로 중국이 얼만큼 발전할지 궁금해지네요.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7877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4757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64444
불법이 난무하는 도로, 범인은 전동 킥보드? 1 2020.10.12 이삭 8488
불법 신상 유포 웹사이트 발목 잡는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file 2020.10.26 나영빈 11227
불매운동, 자주적 화합의 계기 될 수 있을까 1 file 2019.10.15 박문정 11310
불매로 기업의 처벌을, 불매운동 2 file 2016.05.22 김혜빈 16428
불거지는 미국과 이란의 국제 관계...경제적 영향 끼칠것 4 file 2020.01.16 김수진 9692
불거지고 있는 인터넷 실명제 논쟁... 해결책은? 3 file 2019.11.18 박수빈 13665
북한인권법은 미국의 정치적 카드? 2 file 2017.05.23 김윤혁 11442
북한의 폭진, 멈출 수는 없을까 3 2017.10.17 권서현 12728
북한의 연이은 도발 1 2019.08.26 윤대호 10245
북한의 미사일발사? 자국 안보를 위한 사드? 모두 사실입니까? 13 file 2016.02.23 이강민 17968
북한의 도발과 중국의 태도 file 2017.09.26 박형근 9833
북한의 도발과 수그러들지 않는 긴장감 2 file 2017.08.17 김나림 10057
북한은 왜 핵무기를 버리는가 2 file 2018.05.28 황수환 10593
북한과의 통일, 과연 좋은 방향인가? 3 file 2017.08.12 이소미 10768
북한, 6차 핵실험 1 file 2017.09.06 최현정 10975
북한 장거리 미사일 '광명성 4호' 발사 성공 11 file 2016.02.14 구성모 18960
북미회담의 결과는 어떻게 될까 1 file 2018.06.05 양희원 9896
북미정상회담 결과에 미소짓는 시진핑 file 2018.06.18 박현규 10604
북극해를 둘러싼 갈등 file 2018.07.30 김지은 18504
북 핵실험장, 남 취재진만 접수 받고 풍계리로 1 file 2018.05.24 노원준 10624
부정선거와 선거 불복...혼돈의 볼리비아 2019.12.26 신주한 9400
부산시 교육청 학생인권조례 제정 임박 file 2017.10.02 박상혁 12703
부산구치소 이전 설명회, 시민들의 반발로 무산 1 file 2017.02.19 손수정 17369
부산 한바다중학교, 증축공사현장에서 화재, 재학생들의 애도 물결 6 file 2017.02.13 김혜진 24767
부산 평화의 소녀상 부산교통공사 '불법 부착물 떼라' file 2017.02.12 조희진 16226
부산 지하철, 연 2천억원 발생하는 적자 감소를 위해 약 1천여명의 구조조정 바람이 불 것 2 file 2017.02.02 최문봉 16778
부산 위안부 소녀상, 홀로 앉아있는 소녀를 지키는 다른 소녀가 있다. 7 file 2017.01.22 최문봉 19294
부산 여중생 폭행사건 여파로 '청소년 보호법 폐지' 처벌 강화 청원 2만명 넘어 file 2017.09.04 디지털이슈팀 14732
부르키나파소의 총리와 내각, 사임하다 1 file 2019.02.13 이솔 11366
부르카(Burka) 착용 금지법, 이제는 우리나라에서도 생각해봐야 할 법률 8 file 2019.04.25 박서연 35564
부동산 투기, 대한민국 거주 외국인에게도 일어나는 문제 file 2021.05.27 이수미 7410
봄바람과 함께 떠나는 문학기행 file 2015.05.25 정영우 24777
볼펜도 만드는 중국... 위협적인 존재? 6 file 2017.01.25 김희수 18379
복지를 통해 부의 불균형을 해결한다? file 2016.10.24 장은지 17649
복잡한 미국의 대선 방식, 어떻게 진행되고 왜 그럴까? file 2020.11.04 김진현 14332
보행자의 안전을 지키는 LED 조명등 2 file 2018.05.04 박소윤 10612
보톡스-독을 치료로, 치료를 미용으로 4 file 2018.08.24 여다은 10282
보이지 않는 칼날 2 file 2018.03.26 김다연 11442
보이지 않는 재앙, '미세먼지' 1 file 2019.02.25 김현정 11588
보이지 않는 임산부 1 file 2018.12.26 황규현 10144
보이지 않는 살상무기 말 2014.07.31 최정주 24565
보이지 않는 공포 몰래카메라 3 file 2018.07.02 김영환 18697
보이저 2호, 태양권 계면 벗어나다 file 2018.12.24 김태은 11160
병봉급 인상, 병사들 어디에 쓸까? file 2018.03.27 윤보석 12051
병든 위생, 여성의 안전이 위협받고있다. file 2017.08.29 김영은 10867
변화해야 할 대학교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10 file 2016.02.22 박나영 17223
변화하는 아프리카, 세네갈 풍력발전소 출시 file 2020.03.04 정윤지 9037
변화하는 보수만이 살아남는다 file 2017.03.05 이우철 147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