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클릭 금지! '택배 주소지 재확인'

by 4기최영인기자 posted Jan 22, 2017 Views 2147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새해의 첫날을 기념하는 우리 민족 고유의 명절인 설날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이와 함께 설 연휴를 앞두고 한껏 분주한 국내 소비자들의 개인 신용카드정보를 노린 택배업체 사칭 스미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Photo Blur_Jan212017_185128.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최영인기자]



 스미싱은 문자메세지(SMS)와 피싱(fishing)의 합성어로 스마트폰의 문자 기능을 이용한 휴대폰 해킹을 의미하는데, 이는 스마트폰으로는 문자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음을 악용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소비자를 택배수령 주소 변경 등의 이유로 가짜 사이트에 접속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그 스마트폰에 악성코드가 내장되어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스마트폰은 감염되어 공인인증서 정보나 개인 신용카드정보를 빼 오는 것까지 가능해지는 것이다.


 신뢰 있는 기관이나 업체로 속여, 눌러서 확인하지 않을 수 없게 하여 더 문제가 되고 있는 스미싱. 이에 대처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먼저, 알 수 없는 번호로부터 링크가 첨부된 문자가 왔을 때는 의심부터 해보아야 한다. 스미싱의 형태와 종류는 날이 갈수록 더 다양해지고 있다는 건 사실이지만 결국 타 스마트폰을 악성코드에 감염시키겠다는 본질적인 목적인 같으므로 이러한 행동만으로도 어느 정도 피해는 예방할 수 있다. 만약 아는 번호로 왔다 하더라도 그 출처가 불분명하다면 누르지 말고 바로 지우는 것이 좋다.


 또한, 스마트폰에서 '알 수 없는 출처(미인증) 앱 설치' 기능을 해제하고 스미싱 차단 앱이나 모바일 백신 앱을 설치해야 한다. 실제로 스미싱에 속아 URL을 눌러 접속까지 했음에도 불구하고 미인증 앱 설치 기능을 해제해 둔 덕분에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에 깔리지 않아 피해를 막은 사례가 다수 있으며 스미싱 차단 앱은 수시로 문자를 걸러주기 때문에 스미싱 예방에는 탁월한 방법이다.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한 이후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해주어 스마트폰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


 만약 이미 스미싱 피해를 본 상태라면 118(사이버 민원센터)에 신고하여 사후 대처방법을 안내받아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최영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전은지기자 2017.01.22 15:35
    나날이 스미싱 수법의 지능이 점점 높아지네요, 잡기도 힘드니 스미싱이 더욱 늘어나서 피해자들 또한 늘어나는 것 같아요. 잡으려고 해도 대부분 IP가 중국에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잡을 수가 없다더군요... 스스로가 조심해서 피하거나 경찰청 앱 등을 사용해서 피하는 것만이 답이라고 하니... 범인을 잡을 수 있는 다른 정책이나 해결책이 빨리 생겼으면 좋겠네요
  • ?
    4기김채원기자 2017.01.23 01:25
    세상 무섭네요... 이런 범죄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안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어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강예원기자 2017.01.23 15:12
    기사 잘 읽었습니다.
    나중에 이런 범죄도 잡을 수 있는 경찰이 되도록 노력하게끔 생각을 할 수 있던 기사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4기강예원기자 2017.01.23 15:13
    기사 잘 읽었습니다.
    나중에 이런 범죄도 잡을 수 있는 경찰이 되도록 노력하게끔 생각을 할 수 있던 기사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4기황수미기자 2017.01.23 16:35
    아직 이런 문자를 받아본 적은 없지만 받게 된다면 굉장히 당황스러울 것 같아요.. 무심코 누를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이렇게 기사로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네요ㅎㅎㅎ
  • ?
    4기이현기자 2017.01.23 18:22
    이런 범죄가 빨리 사라져야 할텐데 걱정이네요....ㅠㅠ 문자하나도 조심해야 되겠어요..!!
    기사 잘보고 가요~ㅎㅎ
  • ?
    4기김가은 2017.01.24 10:01
    마침 저도 어제 이런 문자를 받았는데 아무것도 모르고 링크 들어갈 뻔 했네요ㅠ 좋은 기사 잘 보고 갑니다!
  • ?
    4기김가은 2017.01.24 10:01
    마침 저도 어제 이런 문자를 받았는데 아무것도 모르고 링크 들어갈 뻔 했네요ㅠ 좋은 기사 잘 보고 갑니다!
  • ?
    4기김민준기자 2017.01.24 11:56
    특히 곧 설연휴여서 혼동되는 문자가 많이 올텐데, 설연휴에 스미싱 피해가 일어나지 않았으면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기사에 나와있는 대처방법을 준비해두는 것 또한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좋은 기사 작성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4기박미소기자 2017.01.24 14:39
    곧 가족, 친지들을 만날 설인데 그걸 악용하는 사람들이 있다니 충격적이네요. 피해도 엄청날텐데.. 스스로 먼저 조심해야겠어요. 기사에 나온 것처럼 스매싱 차단 앱이나 모바일 백신 앱을 깔아야 겠네요.
    좋은 기사 정말 잘 보고 갑니다. :-)
  • ?
    4기김혜진기자 2017.02.05 01:43
    갈수록 스미싱 피해가 늘어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주변분들에게도 스미싱피해와 대처방법을 알려야겠어요! 스미싱을 잡을 수 있는 해결책, 기술등이 생겼으면 좋겠고 스미싱을 피하기 위해 문자를 받게 된다면 조심하고 주의해야할 것 같아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6290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3072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49981
일본,먼나라 이웃나라 5 file 2016.03.25 김예지 16476
3월 9일 부분일식 관찰 2 file 2016.03.25 문채하 17237
갈수록 난민혐오 심해져. 2 file 2016.03.25 임유희 15257
근로자의날, 일제식 표현이라고? 2 file 2016.03.25 김윤지 17143
문이과 통합교육과정에 따른 문제점 2 file 2016.03.25 조해원 57729
지구를 살리는 60분, 어스 아워 캠페인 1 file 2016.03.25 김영현 21978
미국 대선은 트럼트와 반트럼프 2 file 2016.03.25 황지원 14811
지카 바이러스 확산 대응 방법은? 2 file 2016.03.25 노태인 17716
눈 감을 수 없는 아이들, 눈 감아서 안되는 우리들 2 file 2016.03.25 이봄 15593
국내를 넘어 아시아에 신드롬을 일으킨 드라마 '태양의 후예' 4 file 2016.03.25 임선경 16412
[3.1절 97주년 기념] 3.1절은 쉬는 날? 1 file 2016.03.25 김미래 17714
세월호 사건 2주기 D-23,여러분의 기억속에서는 안녕하십니까 1 file 2016.03.25 임지호 19850
패스트푸드점에서도 지켜지지 않고 있는 도덕성 1 file 2016.03.25 장한나 18311
노점상, 생계를 위한 불법? 1 file 2016.03.24 김현승 18453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 “나눔의 집” 탐방 1 file 2016.03.24 서소연 19290
벽화, 주민들을 괴롭히고 있진 않습니까? 2 file 2016.03.24 이하린 17145
어린이청소년참여위원회 발대식 2 file 2016.03.24 김태윤 16319
2016년 제1기 중앙청소년참여위원회 위촉식 및 오리엔테이션 1 file 2016.03.24 김지민 19135
테러, 우경화를 가속시키다 2 file 2016.03.24 조민성 18874
노랑나비, 위안부 할머님들을 위해 날다. 1 file 2016.03.24 강민지 20855
필리버스터와 테러방지법, 그것이 알고싶다. 3 file 2016.03.24 김도윤 19414
일본 정부, 역사 왜곡을 향한 발걸음 1 file 2016.03.24 박소윤 18326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공유 경제' 1 file 2016.03.24 김태경 16964
등교시 단정한 교복.. 저희에겐 너무 답답해요 4 file 2016.03.24 박나영 20371
주인 없는 길고양이들.. 밥은 언제 먹나요? 5 file 2016.03.24 김보현 20478
장애인의 권리, 이제는 함께 지켜줘야 할 때 1 file 2016.03.24 전예린 16807
지하주차장 LED전등교체공사의 경제적 효과 2 file 2016.03.24 박건 24436
가좌역 유치가 절실한 저희 목소리를 들어주세요 2 file 2016.03.24 정향민 19736
[이달의 세계인] 알파고의 아버지, 데미스 하사비스. 그는 누구인가? 12 file 2016.03.23 정가영 18271
화성에 원숭이를? 3 file 2016.03.22 백미정 25680
청소년들의 고카페인 음료 오남용 실태 8 2016.03.21 이현진 23829
1년에 단 1시간, 지구의 휴식시간 7 file 2016.03.20 전지우 18298
청년 실업률 사상 최고치 기록, 취업못한 56만명… 8 file 2016.03.20 김지윤 23845
대한민국에 다시 돌아온 바둑 열풍 7 file 2016.03.20 유지혜 18125
독도를 위해 할 수 있는 일 3 file 2016.03.20 정아영 45699
주민들의 불청객이 되버린 관광버스 4 file 2016.03.20 김관영 18586
화이트 데이 상술...소비계획 세워야 6 file 2016.03.20 이은아 19970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5655
알아야 할 권리와 잊혀야 할 권리 3 file 2016.03.19 김영경 17601
정부와 부산시는 당장 영화인들을 향한 횡포를 멈추십시오 2 file 2016.03.19 이강민 16091
인공지능의 발전, 사회에 '득'일까 '독'일까 8 file 2016.03.19 김나연 23394
청소년들의 음주 문제 '심각' 5 file 2016.03.19 한지수 19394
외국어 간판이 ‘갑’, 쫓겨난 한글 간판 8 file 2016.03.19 반나경 38874
이집트 대통령 17년만에 방한 2 file 2016.03.18 이아로 16969
여성가족부, 제1기 중앙청소년참여위원회 출범 4 file 2016.03.18 장태화 18707
국가 안보와 개인정보 보호, 무엇이 우선인가 3 file 2016.03.18 박가영 17722
천안시, 선거구 획정안에 ‘게리맨더링’ 의혹 2 file 2016.03.17 이우철 18970
국경일 태극기 게양실태가 심각하다 5 file 2016.03.17 신수빈 262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