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Summer Time

by 4기 조은아 기자 posted Nov 07, 2016 Views 165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Summer Time


11월 6일에 Summer Time(서머타임)의 해제로 한 시간이 늦춰졌다. 서머타임이란 여름과 겨울에 해가 뜨는 시간이 달라 밝을 때 효율적으로 시간을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다. 해가 일찍 뜨는 여름철에는 한 시간을 앞당기고 겨울이 다가오면 다시 한 시간을 늦춘다. 따라서 서머타임을 일광절약 시간제라고도 부른다.


현재에는 영국, 독일, 오스트리아 등을 비롯한 유럽의 나라들은 3월의 마지막 일요일부터 10월의 마지막 일요일까지 표준 시각을 한 시간 앞당긴다. 이는 유럽연합이 해가 뜨는 시간을 잘 활용해 전기를 아끼고 경제의 발전을 위해 도입한 제도이다. 마찬가지로 북아메리카의 미국과 캐나다는 4월의 첫 번째 일요일부터 10월의 마지막 일요일까지 서머타임을 실행한다. 오세아니아 대륙과 남아메리카의 몇몇 나라들 또한 이 제도를 따른다.



Screen Shot 2016-11-06 at 5.10.30 PM.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조은아 기자, c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전 세계 곳곳에서 따르는 제도라면 한국은 왜 서머타임을 실행하지 않을까? 사실 한국 또한 서머타임을 따랐던 역사가 있다. 50~60년대에 잠시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였으나 한국의 문화와는 맞지 않아 폐지되었다. 많은 사람이 일광절약 시간제에 대해 알지 못했을 뿐더러 쿠데타로 인해 정권이 교체되며 사라져 버렸다. 비록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만들어진 제도이지만 한국의 정서에는 맞지 않았다. 농민들은 닭의 울음소리를 하루의 시작으로 삼았고 해가 지면 하루의 일과를 마치는 생활을 살아와서 해가 떠있을 때 저녁을 맞이하는 삶에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역사가 있어서 한국과 아시아의 국가들은 서머타임을 실행하지 않는다.


한국은 서머타임을 따르지 않기 때문에 외국과 시차가 한 시간 더 늘어난다. 따라서 해외로 여행을 하고자 하는 국민은 이점을 유의해 여행 계획을 잘 짜기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조은아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7905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5794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402941
한국경제신문, 상경대 희망 고교생 위한 캠프 개최 2 file 2017.08.02 유채원 15934
자극적인 콘텐츠 속 블루오션, '무자극 컨텐츠 연구소' file 2017.08.01 김재윤 46117
청소년들을 위한 경제 프로그램: 매일경제 TEST 대비 교육과정 file 2017.08.01 이민정 15110
'나중은 없다, 지금 우리가 바꾼다!', 서울광장을 물들인 무지개 깃발 file 2017.08.01 김단비 15933
베스트셀러 제조기 이기주 작가 팬사인회 개최하다. file 2017.08.01 손예은 20716
제주를 담은 '제16회 제주 삼양검은모래 해변 축제' 개최! file 2017.08.01 나민혁 18002
지역 주민 모두를 하나로 뭉치게 만든 ‘오송 한마음 축제’ file 2017.08.01 박정은 15333
제트기류에 대한 모든것! file 2017.07.31 권하민 20789
제3회 한국학포럼, "한국의 매력에 빠져봐~" 1 2017.07.31 김현재 14284
점점 현실화되는 전기차 시대 2017.07.31 이종현 13651
우리의 삶, 철학, 미의식을 담은 그림 민화 file 2017.07.31 석채아 15184
아이들의 천국, 낙양물사랑공원 워터파크 무료 개장! file 2017.07.31 임성은 15848
도시가 더 더운 이유는? 3 file 2017.07.30 김서영 21662
여름을 위한 취미, 컬러링 북 2 file 2017.07.30 임해윤 15570
청소년 아이돌 팬덤 문화의 양면성 2017.07.29 정혜원 48735
‘안심 비상벨’ 설치에도 여전히 불안한 남녀 공용화장실 file 2017.07.28 박현규 16618
청소년 지역해설사는 나야나! - 수원시 청소년 지역해설사 교실 현장을 가다 2017.07.28 정지윤 14896
연꽃이 필 무렵 file 2017.07.27 강예린 14843
학생들을 감동시킨 '필적 확인용' 문구 file 2017.07.27 김수민 33297
지구온난화에 대한 궁금증? 2017.07.27 임승연 15774
발전할수록 어려운 문제를 내는 인공지능 file 2017.07.27 장예진 16460
이번 동계올림픽은 평창, 바로 나야나! 2017.07.27 김규리 17384
심각한 동물 학대 file 2017.07.26 황수민 14136
'청소년 자원봉사학교' 개최 file 2017.07.26 김준희 13641
G.M.O.식품 얼마나 알고 먹나요? 4 file 2017.07.26 이주형 17558
돌아온 안방마님 양의지, 팀에 끼치는 영향은? 2 file 2017.07.26 최민주 15246
인천항 안의 인문학 속으로 file 2017.07.26 유한나 26672
실제 같은 화학 실험 "BEAKER" file 2017.07.26 전제석 17994
인류의 위대한 재산 file 2017.07.26 김하은 13941
핸드메이드코리아, 겨울에 다시 만나요! file 2017.07.26 박미소 15050
네이버 디자이너 윈도, 패션의 세계로... file 2017.07.26 성유진 15595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하는 1. 2. 3 어울림 파크 골프 대회 성황리에 끝마쳐 2017.07.26 정인영 15159
전통시장에 활기를 불어넣다 ‘청년몰’ 1 file 2017.07.25 이한빈 14571
니콜라 테슬라, 거의 모든 것을 발명한 남자 file 2017.07.25 김도연 19647
경쟁하지 않는 토론, 1318 청소년 토론한마당 file 2017.07.25 양현진 15113
국지성 호우, 대체 무엇일까 file 2017.07.25 김가영 15751
갈 곳 잃은 학생인권, 그 방향을 묻는다 1 file 2017.07.25 안옥주 16457
유익한 과학 캠프 file 2017.07.25 차유진 14235
둘리의 부활? 우리 마을에서 만난 공룡 친구들 file 2017.07.25 이가영 13384
대청도 지질 공원 인증 추진... 요새화 사업 본질적 복원 필요 file 2017.07.25 경어진 15302
원주 역사 박물관으로 오세요~ 2017.07.25 차유진 15896
텀블러,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다? file 2017.07.25 이지우 32884
우리의 삶을 혁신적이게 이끄는 구글의 AI 기술들! file 2017.07.25 김지훈 30459
페트병의 악몽을 깨다. '오호' file 2017.07.25 김민정 15267
시원한 휴식, 남일대 해수욕장에서 어때? file 2017.07.25 공혜은 19386
아이돌학교? 안 예뻐도 돼요! 1 file 2017.07.25 정서희 15948
무더위를 날려버릴 불꽃들의 향연 file 2017.07.25 주은채 14801
송파구 올림픽공원서 청소년 봉사동아리 연합축제 '루리 잔치' 열려 file 2017.07.25 박지현 150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