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이주 노동자 노동착취로 개최될 2022 카타르 월드컵

by 4기노태인기자 posted Oct 24, 2016 Views 1823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22년 월드컵을 앞두고 도하에 건설 중인 칼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현장에서 이주민 건설노동자들이 제도적인 인권침해에 시달리고 있으며, 일부는 강제노동에 내몰리는 경우도 있다고 국제앰네스티가 신규 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보고서 <아름다운 경기의 추한 단면: 2022년 월드컵 개최지 카타르에서 벌어지는 노동 착취>는 끔찍한 처우를 받는 이주노동자들에게 충격적인 무관심으로 일관하는 국제축구연맹(FIFA)을 강력히 비판하고 있다. 월드컵 건설현장 노동자 수는 향후 2년 내에 거의 열 배가 급증할 것으로 추정된다.

2022년 FIFA 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된 카타르가 지난 5년 동안 월드컵 경기장 건설노동자의 노동착취 문제에 대해 정부가 대대적인 개혁에 착수하지 못하면서 여전히 이주노동자의 노동착취가 만연해 있어 충격을 주고 있다. 이주건설노동자 대부분이 경악할 정도의 열악한 환경 속에서 노동하고 있다는 사실이 대대적으로 공개되었음에도, 카타르 정부는 만성적인 노동착취를 끝내기 위해 거의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고 있다.

국제엠네스티의 다른 보고서 <최소한의 약속, 거의 없는 성과: 2022 월드컵을 앞둔 카타르의 이주노동자 인권침해>에서는 국제앰네스티가 선정한 이주노동자 인권 문제 9가지에 대해 카타르 정부의 대응을 평가했지만 몇몇 문제에 대해서만 제한적인 수준의 진전이 이루어졌고, 나머지 문제들에 대해서는 아무런 성과도 내지 못했다.

카타르 정부의 노동개혁은 고질적으로 지연되어 왔고, 이것이 인권 침해로 계속 이어져 왔다. 카타르 정부가 제시한 개혁안은 수많은 노동자들이 고용주에게 휘둘리게 만드는 핵심적인 문제를 다루지 못하는 것이었으며, 이마저도 시행이 미뤄지고 있다.


카타르.gif

국제앰네스티 2015/2016연례보고서 2015년 1년 동안의 전 세계 160개국의 인권 상황을 담고있다. 하지만 카타르 정부는 이주노동자의 인권은 물론 노동착취에 대해 개혁의 의지가 없어보인다. 사진은 카타르의 이주노동자인권 현황이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노태인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22년 카타르를 방문하게 될 모든 축구팬들과 축구스타들은 이주노동자들의 피와 땀, 눈물로 얼룩진 축제를 즐기고 있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 물어 봐야 할 것 같다. 이처럼 유감스러운 현실에는 국제축구연맹(FIFA) 역시 책임이 있다. FIFA는 카타르에서 노동인권이 문제가 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카타르 정부 및 사업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해, 노동착취로 쌓아 올린 월드컵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국제앰네스티는 월드컵 개최지로 선정된 이후부터 카타르 이주노동자들의 노동환경을 조사했으며 여러 차례의 현장 방문 조사를 실시했다. 꾸준히 발표한 보고서에서는 이주노동인권의 핵심 사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카타르 정부는 그 중 몇 몇 항목에서 심각하게 미흡한 수준이었다.

국제앰네스티는 만연한 이주민 노동착취 실태를 공개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인권침해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려는 노력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022년 카타르 월드컵까지 1년 더 가까워져가고 있고 노동현자의 변화가 이루어지기까지 남은 시간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다. 앞으로 이주노동자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예정인 만큼 시급히 인권 개혁을 해야 할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더욱 절실하다. 하지만 카타르 정부는 노동 착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는커녕, 인권침해를 뿌리뽑기 보다 덮어버리기를 바라는 것이 아닌지 의문을 일으키고 있다. 일례로 카타르에서 이주노동자들의 노동 환경에 대해 조사하던 기자와 인권활동가들은 정부로부터 구금과 심문을 당할 위기에 처했다. 각각 이주노동자 착취 실태를 조사하던 독일 방송사 WDR과 영국 BBC의 기자들이 구금되었다.

이들을 구금하고 위협함으로써 이주노동자들의 노동 실태를 기록하지 못하게 하려는 것은 정부가 카타르에서 인권을 침해받고 있는 수만 명의 끔찍한 현실을 다루기보다, 국가적 이미지에 더 신경쓰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FIFA는 월드컵 본선 기간을 전례 없이 여름에서 겨울로 변경하면서까지 카타르 월드컵이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간헐적으로 발표하는 공식 성명 외에는 카타르 정부가 이주노동자들의 인권을 보장하도록 어떻게 압박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분명하고 구체적인 안건을 설정하지 않고 있다. 카타르 월드컵의 성공적인 개최 여부가 인권 존중 여하에 따라 결정될 것임을 분명히 하지 않지만 현재 당면한 인권문제를 빠져나가지는 못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노태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6387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3729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81248
광주 기아 챔피언스필드에 가보다 2 file 2017.09.07 장세인 16219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하늘마당, 빛과 그림자 file 2017.06.25 이세림 21625
광정동청소년문화의집, '코딩과 인공지능' 주제로 스마트한 생활과학교실 운영 file 2022.07.13 이지원 11534
광운대 아이스하키팀, 96년 만에 환호성 질러 2 file 2017.02.19 김연수 19034
광복절, 안성에서 그들을 기억하다 1 file 2018.08.27 안정섭 16023
광복의 환희와 되찾은 조국의 상징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을 방문해보는 것은 어떨까? 1 file 2019.01.08 이채린 15696
광복72주년???빗속에서 열린 겨례의 '2017 서대문독립민주축제' 2017.08.30 문성환 15511
광복 72주년 기념 해방 거리 재현 행사 '사람의 나라' file 2017.08.17 박규리 13908
광복 70주년을 맞아 진행된 눈물의 행사들. 그리고 그 행사들의 주인공 위안부 할머니들. 2 file 2015.08.27 정주현 27210
광명동굴의 ‘미디어 아트로 보는 세계명화전’. 성황리에 막을 내리다. 2 file 2017.05.21 최미성 16642
관중 입장이 재개된 프로야구 현재 상황 file 2020.10.26 나주현 13028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작은 한걸음 file 2017.03.25 김경은 16516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7226
관객을 뜨겁게 울린 영화1987 현대인들에게 메시지를 전하다? 2 file 2018.01.24 이해인 25143
과학적이고 아름답다! 스페인의 알함브라 궁전 file 2018.01.30 곽승용 20278
과학이 쉽게 다가가는 공간 '서울시립과학관' 1 file 2017.09.19 표예진 19877
과학의 관점을 바꿔주는 제16회 수원정보과학축제에 다녀오다 1 file 2019.10.23 유석훈 17415
과학을 향한 학생들의 도전, 2017 제주청소년과학탐구대회 file 2017.04.28 신온유 15949
과학을 즐길 수 있는 '제 21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개최 file 2017.08.13 김영서 13496
과학에서 '혁명'이란 무엇인가 file 2018.05.18 신온유 21262
과학에 대해서 궁금하면?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file 2017.10.25 이예준 16806
과학문화 한마당! 체험 한마당! file 2017.04.21 오지석 14788
과학? 축제의 중심이 되다! file 2017.06.12 오지석 16484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7180
과천에서의 문화체험 file 2014.10.18 오선진 33087
과천시, 미세먼지 대응 시민실천 수칙 선포식 열어 file 2017.05.25 공혜은 18066
과천과학관 방문기 1 2017.11.24 안정민 22418
과천 누리마 축제의 현장으로 2017.11.24 고은빈 14866
과연 내가 살찌는 이유가 고기에게만 있을까? file 2017.12.04 유하늘 15368
과도한 트로트 열풍 이대로 괜찮은가? 2021.01.15 홍재원 14937
과거축구와 현대축구의 만남, 풋볼 팬타지움 2018.10.19 서성준 15777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예술인들, 무예 24기 file 2021.04.23 최민서 12699
과거와 현대의 공존, 오사카 여행기 file 2017.02.25 주은채 15932
과거와 현대를 잇는 도심 속 산책, 타이베이 여행 4 2018.05.04 김선주 25124
공휴일 아닌 기념일, 그 의미는 알고있니? file 2017.07.25 장서윤 15925
공항동, 도시재생으로 다시 날 수 있을까? file 2020.11.09 김서영 13513
공포의 자동차 ‘급발진’ 그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4 file 2015.02.07 김현우 34531
공포의 이안류, 갑자기 떠내려가... 5 file 2017.08.06 송가현 22137
공정무역이란? 2017.11.02 최인혜 17269
공정무역, 과연 안전하고 공정한가? file 2021.02.23 원규리 14097
공인인증서는 가고 시작된 민간인증서들의 시대 file 2020.12.28 이채은 13453
공원커피,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2022 카페 소스페소’ 커피 캠페인 진행 file 2022.12.06 이지원 8497
공연 '소년대로' 오는 16일까지 대학로서 공연 file 2023.04.12 박도현 7804
공스타그램, 이젠 공부도 SNS로! 7 file 2017.03.12 이지우 20496
공상 영화의 현실화, ‘하이퍼루프’ file 2021.03.26 김규빈 14652
공모전부터 전시까지 다채로운 코바코의 공익광고축제 file 2016.11.21 박지혜 31953
공룡 대멸종, 그 원인은 무엇일까? file 2018.06.21 최수영 74028
공동의 리듬, 공동의 몸; '공동체'를 만나다 file 2017.10.16 박채연 181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