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복지를 통해 부의 불균형을 해결한다?

by 3기장은지기자 posted Oct 24, 2016 Views 1764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들 중 하나로 나타나는 부의 불균형은 점점 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실행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우리나라의 부의 대물림은 OECD 국가들 중에서도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노동 강도 대비 적은 보상도 부의 불균형을 야기하는 문제들 중 하나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복지이다. 복지는 좋은 건강, 윤택한 생활, 안락한 환경들이 어우러진 행복을 누릴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사회복지학에서는 높은 삶의 질이 보장되는 것을 뜻한다. 구빈 정책, 노동자 권익 보호와 같은 특정 집단에 대한 지원뿐 아니라 국민에게 사회 복지를 제공하는 것을 체제의 가장 중요한 기능 가운데 하나로 삼는 국가를 복지 국가라고 한다.


보편적 복지란 소득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민에게 복지 혜택을 제공하는 복지 형태이다. 별도의 행정 비용이 필요하지 않다는 범에서 효율성이 높다. 대신, 보편적 복지는 합리적인 직접세, 누진세제, 소득세, 법인세 제도가 확립되어야 가능한 복지 체제이다.


선별적 복지란 복지 혜택을 바라는 국민에게 복지 혜택을 제공하는 복지 방법론으로, 그 궁극적 목표는 소득수준이 낮은 국민에게는 높은 복지 혜택을, 소득수준이 높은 국민에게는 낮은 수준의 복지 혜택을 주자는 입장으로 대변된다. 주로 보수주의, 신자유주의자들이 주장하는 복지 방법이다.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복지사례들 중 하나는 바로 무상급식 문제이다. 무상급식의 시행과 중단을 둘러싼 논란이 이렇게 뜨거운 이유는 무상급식 문제가 바로 보편적 복지, 선별적 복지 문제와 얽혀있기 때문이다. 무상급식을 주장하는 것은 자격이나 요구가 있으면 모든 국민에게 복지 혜택을 제공하는 형식이므로 보편적 복지에 해당한다. 보편적 복지는 소득 수준 등 복지혜택을 누리기 위한 조건을 따로 두지 않고 시행하기 때문에 복지 혜택을 누리는 연력과 같은 기본적 조건만 충족하면 누구든 복지혜택을 누릴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보편적 복지는 선별적 복지와는 다르게 낙인효과가 없다.



noname01.jpg

[이미지 제공=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3기 장은지 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전면 무상 급식을 하면 돈이 많이 들어간다. 지원이 전혀 필요 없는 부잣집 아이들까지 공짜로 먹이느라고 정작 필요한 일에 돈을 쓰지 못할뿐더러, 가난한 집의 학생들에게 돌아갈 혜택마저 줄어든다. 그러니 전면 무상 급식은 잘못된 생각이다.”


KakaoTalk_20161024_003905270.jpg

[이미지 제공=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3기 장은지 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전면 무상급식 실시를 반대하는 입장의 사람들의 말이다. 교실 증축이나 저소득층 자녀 지원을 위한 예산을 줄여야만 전면 무상 급식 실시가 가능할까? 각 가정에서도 한정된 소득을 가지고 어떻게 쪼개 쓸까를 고민할 때 정말 중요한 일, 꼭 필요한 일에 먼저 돈을 배정하고 남는 돈으로 그보다 덜 필요한 일에 쓰는 것이 상식이다. 정부 예산도 이러한 상식에서 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3기 장은지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7875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4754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64417
불법이 난무하는 도로, 범인은 전동 킥보드? 1 2020.10.12 이삭 8488
불법 신상 유포 웹사이트 발목 잡는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file 2020.10.26 나영빈 11227
불매운동, 자주적 화합의 계기 될 수 있을까 1 file 2019.10.15 박문정 11308
불매로 기업의 처벌을, 불매운동 2 file 2016.05.22 김혜빈 16428
불거지는 미국과 이란의 국제 관계...경제적 영향 끼칠것 4 file 2020.01.16 김수진 9692
불거지고 있는 인터넷 실명제 논쟁... 해결책은? 3 file 2019.11.18 박수빈 13665
북한인권법은 미국의 정치적 카드? 2 file 2017.05.23 김윤혁 11441
북한의 폭진, 멈출 수는 없을까 3 2017.10.17 권서현 12727
북한의 연이은 도발 1 2019.08.26 윤대호 10245
북한의 미사일발사? 자국 안보를 위한 사드? 모두 사실입니까? 13 file 2016.02.23 이강민 17968
북한의 도발과 중국의 태도 file 2017.09.26 박형근 9833
북한의 도발과 수그러들지 않는 긴장감 2 file 2017.08.17 김나림 10057
북한은 왜 핵무기를 버리는가 2 file 2018.05.28 황수환 10592
북한과의 통일, 과연 좋은 방향인가? 3 file 2017.08.12 이소미 10768
북한, 6차 핵실험 1 file 2017.09.06 최현정 10975
북한 장거리 미사일 '광명성 4호' 발사 성공 11 file 2016.02.14 구성모 18960
북미회담의 결과는 어떻게 될까 1 file 2018.06.05 양희원 9896
북미정상회담 결과에 미소짓는 시진핑 file 2018.06.18 박현규 10604
북극해를 둘러싼 갈등 file 2018.07.30 김지은 18504
북 핵실험장, 남 취재진만 접수 받고 풍계리로 1 file 2018.05.24 노원준 10624
부정선거와 선거 불복...혼돈의 볼리비아 2019.12.26 신주한 9399
부산시 교육청 학생인권조례 제정 임박 file 2017.10.02 박상혁 12703
부산구치소 이전 설명회, 시민들의 반발로 무산 1 file 2017.02.19 손수정 17369
부산 한바다중학교, 증축공사현장에서 화재, 재학생들의 애도 물결 6 file 2017.02.13 김혜진 24767
부산 평화의 소녀상 부산교통공사 '불법 부착물 떼라' file 2017.02.12 조희진 16226
부산 지하철, 연 2천억원 발생하는 적자 감소를 위해 약 1천여명의 구조조정 바람이 불 것 2 file 2017.02.02 최문봉 16778
부산 위안부 소녀상, 홀로 앉아있는 소녀를 지키는 다른 소녀가 있다. 7 file 2017.01.22 최문봉 19294
부산 여중생 폭행사건 여파로 '청소년 보호법 폐지' 처벌 강화 청원 2만명 넘어 file 2017.09.04 디지털이슈팀 14732
부르키나파소의 총리와 내각, 사임하다 1 file 2019.02.13 이솔 11366
부르카(Burka) 착용 금지법, 이제는 우리나라에서도 생각해봐야 할 법률 8 file 2019.04.25 박서연 35563
부동산 투기, 대한민국 거주 외국인에게도 일어나는 문제 file 2021.05.27 이수미 7410
봄바람과 함께 떠나는 문학기행 file 2015.05.25 정영우 24775
볼펜도 만드는 중국... 위협적인 존재? 6 file 2017.01.25 김희수 18378
복지를 통해 부의 불균형을 해결한다? file 2016.10.24 장은지 17649
복잡한 미국의 대선 방식, 어떻게 진행되고 왜 그럴까? file 2020.11.04 김진현 14332
보행자의 안전을 지키는 LED 조명등 2 file 2018.05.04 박소윤 10612
보톡스-독을 치료로, 치료를 미용으로 4 file 2018.08.24 여다은 10282
보이지 않는 칼날 2 file 2018.03.26 김다연 11442
보이지 않는 재앙, '미세먼지' 1 file 2019.02.25 김현정 11588
보이지 않는 임산부 1 file 2018.12.26 황규현 10144
보이지 않는 살상무기 말 2014.07.31 최정주 24565
보이지 않는 공포 몰래카메라 3 file 2018.07.02 김영환 18697
보이저 2호, 태양권 계면 벗어나다 file 2018.12.24 김태은 11159
병봉급 인상, 병사들 어디에 쓸까? file 2018.03.27 윤보석 12051
병든 위생, 여성의 안전이 위협받고있다. file 2017.08.29 김영은 10867
변화해야 할 대학교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10 file 2016.02.22 박나영 17223
변화하는 아프리카, 세네갈 풍력발전소 출시 file 2020.03.04 정윤지 9037
변화하는 보수만이 살아남는다 file 2017.03.05 이우철 147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