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하와이에서 실제 우주복 입고 체험한 '가상 화성 생활

by 4기노태인기자 posted Aug 24, 2016 Views 166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472033355174.jpeg

미국인 우주비행사 마크 와트니가 화성에서 표류하여 생존하는 모습을 그린 소설 마션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노태인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영화 ‘마션’의 주인공처럼 진짜 화성이 아닌 가짜 화성에서의 척박하고 고립된 생활을 가정한 채 1년을 지낸 과학자들이 있다. 바로 우리가 사는 땅 '지구'에서 '화성'의 생활을 체험한 것인데 프랑스 우주생물학자, 독일 물리학자와 비행사, 미국 건축가, 의사, 토양학자 등 국적과 전공이 모두 다른 6명은 지난해 8월 28일부터 화성 생활을 가정한 1년 일정의 고립 훈련에 들어갔다. 이들은 미국 하와이주 마우나로아 화산에 설치한 실험돔 ‘화성’에서 1년간의 훈련을 마치고 이제 귀환을 앞두고 있다.

이들은 하와이 마우나로아 화산 해발 2499m(8200피트)에 설치한 지름 11m, 높이 6m 돔 안에서 생활하면서 우주복을 입고서만 밖에 나갈 수 있었다. 돔 내부의 과학자들 방에는 간이침대와 책상이 있고 인터넷 사용은 제한됐다. 식량은 가루 치즈나 참치 통조림 등 건조식품 정도였으며 주변에 동물이나 식물도 없었다. 마우나로아는 고도가 높은 탓에 토양에서 식물이 거의 자랄 수 없어 물이 없는 화성 토양과 환경이 비슷하다. 이번 훈련에 앞서 이곳에서 4개월, 8개월짜리 화성 시뮬레이션이 이뤄진 바 있다.

과학자 6명은 지난해 8월 말부터 화성과 비슷한 환경을 갖춘 이곳에서 적응 훈련을 해왔고, 최소한의 식량으로 생활하면서 LED 조명으로 토마토를 키우는 데도 성공했다.

과학자들은 장기간 지구를 떠나 있을 때 신체와 감정의 변화를 점검하고 화성에서 인간이 어떻게 적응할지를 연구했다. 폐기물 처리도 지구에서와는 달리 특별하게 진행됐다. 우주어로 불리는 러시아어 학습시간도 있었다. 과학자들은 한 달에 2∼3차례 ‘화성일기’를 블로그에 연재하면서 “여기에는 휴대전화도, 의료보험 카드도, 자동차 소음도 없다”며 “금본위제 대신 태양본위제가 이뤄지는 곳”이라고 적었다. 이 글은 이메일만으로 전파됐다. 심지어 전달되는 데 20분이 걸렸다. 화성에서 지구까지 전파가 이동하는 시간을 적용한 것이다.

돔에서 화성 생활을 경험한 과학자들은 오는 26일 1년간의 훈련 일정을 모두 마치고 지구 현실 세계로 돌아와 신선한 공기와 음식을 맛볼 수 있게 된다. 프로젝트 책임연구원인 킴 빈스테드는 "이번 시뮬레이션은 러시아 지역에서 2011년 520일간 진행한 실험 이후 두 번째로 긴 화성 적응훈련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과학자들 상태는 괜찮다"며 "이들은 돔 밖으로 나가면 바다에 뛰어들겠다고 떠들고 있다고 전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노태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5994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706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0103
딥 러닝, 알파고의 천재적인 실력의 비밀? 4 file 2017.02.20 강상윤 16754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6759
잠자는 청소년의 의식을 깨운다! '청소년 자원봉사 여름학교 -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file 2017.08.21 김현서 16759
문화예술 NGO ‘길스토리’ 대표 배우 ‘김남길’ file 2021.03.24 문소정 16760
학교안 정크푸드, 그린푸드로 4 2017.07.16 김영은 16762
서대문독립민주축제,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곳 1 file 2019.08.19 노주영 16762
동백의 딸들, 성화 봉송에 참여하다 file 2017.11.07 이유진 16768
우리나라의 의생활에 남아있는 일제 잔재 file 2021.12.03 김민정 16770
다른 세상에 사는 두 소녀의 이야기,< 세계를 건너 너에게 갈게> file 2018.03.29 김수민 16773
이주민들의 희망센터, 로뎀 1 file 2017.03.19 김다은 16774
주민들간에 소통의 벽을 허물어준 평화동네 작은 음악회 2 file 2017.07.13 최희주 16774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과 오사카시의 만남, 전국 더 리얼 at 오사카성 1 file 2017.02.23 석채아 16777
덕후, 새로운 문화를 만들다! file 2017.10.02 이지우 16783
생태교란종 "붉은귀거북" 무더기 발견 file 2020.05.11 김은준 16783
화성 효 마라톤 대회 그열정의 현장 속으로 file 2016.05.29 신수현 16785
콘서트 가면 '사생팬' 이라고요? 더 이상은 NO! 5 file 2016.05.05 김현주 16787
청소년의 '피, 땀, 눈물'은 어디로 갔을까 [청소년 아르바이트] 2 file 2017.04.24 이채은 16789
[가볍게 떠나요] 방학 맞아 학생들끼리 떠나기 좋은 지하철 데이트 코스 추천 1 file 2018.12.27 정하현 16791
색다른 서울 근현대사 탐방하기 file 2019.07.25 최민주 16791
한국에서 접하는 이슬람, '한국이슬람교 부산성원' file 2017.05.14 허재영 16793
창원 시민들의 화합의 장 '제15회 창원야철마라톤대회' file 2019.04.18 민서윤 16794
달콤함의 향연, '슈가플래닛'에 다녀오다! file 2018.12.17 송지윤 16797
1919년 3월 1일 , 그날의 함성이 우리에게 닿는 날 file 2016.03.21 한지혜 16799
2018 평창동계올림픽 기념 특별전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한국·일본·중국' 열려... file 2018.03.01 류태원 16801
전무후무한 3관왕, 요네자와 월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file 2018.07.26 6기박상현기자 16805
한미장학재단 동부지역 수여식 2016.10.16 조은아 16806
중국의 추석, 중추절 file 2017.10.23 이진하 16806
미디어를 테이크아웃 하라 file 2017.09.27 고은서 16807
카이스트가 해냈다! 이제 집에서 신경치료 하자! file 2018.11.16 백광렬 16809
게임으로 배우는 유전자의 원리! file 2020.11.13 박선주 16810
국악과 시의 만남, 달콤한 시럽(詩LOVE) 1 file 2016.03.25 하혜주 16811
시인 정지용의 '제32회 옥천 지용제' file 2019.05.27 양유빈 16811
점 하나의 기적, 블랙 닷 캠페인 9 file 2017.02.16 김효원 16812
평화의 소녀상의 거제 나들이 2 file 2018.01.29 최다영 16812
인간이라면, 잊어서는 안 되는 일, 위안부 file 2016.08.25 전지우 16815
무더위도 잊게 만드는 뜨거운 과학 열기 속으로 1 file 2017.08.25 이지호 16815
신사임당, 그녀는 누구인가 1 file 2017.02.27 박혜민 16816
수화가 아니라 수어라고? - 조금은 특별한 봉사활동 file 2017.10.24 홍정연 16816
임산부 뺏지를 아시나요 2 file 2016.04.28 이서연 16817
대한민국 그 자체, 아름다웠던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 5 file 2018.02.12 서태란 16817
'희움일본군위안부역사관'에 다녀오다. 2 file 2016.03.13 권은다 16818
“나도 성악가” 부천 소사에서 펼쳐지는 가곡교실 4 file 2017.02.16 김준희 16818
울산 태화강, 예쁨예쁨한 '한복입은 봄 페스티벌' 4 file 2017.05.15 4기임소연기자 16825
야구장, 부족한 관중 의식으로 몸살 앓아 file 2017.04.16 김유경 16826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file 2021.07.12 김윤서 16827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6828
학생들이 스스로 만들어나가는 독서토론 문화, '읽다, 나누다, 느끼다' file 2017.09.11 오우택 16829
2018년 우리들의 트렌드, 소확행 file 2018.05.23 정현택 168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