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의료기술, 생명윤리의식' 둘의 관계, 의료계열직업 희망학생들이 고려해야할까?

by 4기진시은기자 posted May 25, 2017 Views 182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영국, 프랑스, 벨기에, 스위스, 룩셈부르크, 태국, 캐나다, 일본, 호주

앞에 나열되어있는 국가들의 공통점은 안락사를 부분적으로 허용한다는 것이다.


의료기술발전과 생명윤리는 언제나 같이 나아가야 할 동료이다.

이에 대한 예시로 안락사에 대한 찬반 논란이 있다.


의료계열 직업(의사, 간호사, 구급대원) 종사자들은 언제나 윤리의식을 지녀 환자를 돌봐야 한다.

그렇다면, 미래직업으로 의료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도 이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지니고 있어야 할까?


이러한 질문에 대해 가치관을 확고히 하고 자기 생각을 정리하기 해야 한다는 입장인 고등학교 1,2학년으로 이루어진 '안다미로 보건 동아리'의 안락사에 대한 찬반 논쟁이 있었다.


과연 '의료기술과 윤리의식' 이 관계의 대표적인 예시인 안락사에 대한 그들의 생각은 어떠할까


8a207bb04a87fe81ac946355786158b4.jpg

[이미지 촬영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진시은기자]


비경쟁식 토론으로 진행된 찬반 논쟁은 안락사라는 다소 무거운 주제에 대해 쉽게 접근하고자

'Me Before You'를 시청한 후 시작되었다.

생명윤리와 관련하여 생명의 존엄성, 현실성을 고려하여 경제적 부담과 장기 기부, 자살행위 등의 쟁점이 생기었고 동아리원들이 찬성, 반대, 중립으로 나뉘어 자유롭게 토론을 진행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학생들이 동일한 입장의 이야기와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과의 대화를 통해 자신이 꿈꿔왔던 직업이 생명과 연계된 만큼 기술적, 경제적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같은 인격체로서 존중을 해야 할 것을 다시 다짐했다고 한다.


또한 이 활동을 통해 1학년 정ㅇㅇ학생은 정의도 정확히 알게 되고 개인의 가치관이 다르고, 많은 지식을 쌓고 있을수록 반박하는 데에 있어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소감을 남겼다.


총 10명이서 진행된 소규모의 토론만 보더라도 의료기술이 아무리 발전하여도 생명의 존엄성을 잃어서는 안 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IT과학부 = 진시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8557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7065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414211
샤오미, 3월 27일 신제품 라인업 다수 발표 1 2020.04.01 김정환 26037
해피 할로윈! 롯데월드와 에버랜드, 야심차게 준비한 '할로윈 페스티벌' file 2016.09.25 김경은 26015
청소년이 그려내는 통일의 미래가 펼쳐진다 2017.08.22 윤예진 26004
제7회 전국상업경진대회 시상식, 부산 대표단 참석 file 2017.10.10 신지윤 25937
논란과 화제의 중심. Mnet '고등래퍼' 4 file 2017.02.27 최진혜 25909
당신이 모르고 있었던 우리나라 어버이날의 유래 2 file 2017.05.05 이세영 25838
대한민국이 묻는다-완전히 새로운 나라, 문재인이 답하다 10 file 2017.02.11 이나영 25820
바른말 고운말, 아름다워지는 청소년 언어문화 2014.07.27 정인영 25793
직접 써본 네이버 ‘스마트렌즈’, 과연 스마트할까? file 2017.07.21 정진미 25764
좋아하는 사람과 카톡하면 몇 분 안에 답장할까? 5 2017.07.06 장민경 25754
서울 꽃구경 핫플레이스는 어디일까? 5 file 2016.04.07 이다혜 25741
도를 넘어선 길거리 쓰레기.. 해결책은? 2 file 2017.08.13 이승우 25677
월드컵으로 경제 한걸음 – 러시아 월드컵과 파레토 최적문 1 file 2018.06.21 김민우 25671
대안학교 학생들이 모였다! 대안학생연대 2017.10.13 장재호 25647
돌아보는 '설날'.... 연휴의 연장선 아닌 온정 나누는 우리의 고운 명절 5 file 2016.02.25 안성주 25637
일본 해외 체험 연수 - [제 1일 차] 오사카에 발을 딛다 1 file 2016.04.05 김준하 25564
봄 가득 희망 가득 '삼척 맹방유채꽃축제' file 2019.04.12 박지영 25544
코엑스에서 만나는 전국 방방곡곡 여행지 2 file 2017.02.17 김지아 25526
구글, 차기 안드로이드 블루투스 고음질 'LDAC' 코덱 기본 탑재! file 2017.05.22 김지훈 25500
약물의 투여 방법, 어떤 차이가 있을까? file 2021.06.28 김정희 25490
예비 고1, 아무도 알아주지 않은 작지만 거대한 그들의 상처 3 file 2020.12.24 문청현 25454
감탄문과 감탄사 -무슨 의미인지는 아시나요? file 2014.08.10 최지인 25424
길거리에서의 흡연, 개선 방법은? 1 file 2017.09.27 어윤서 25422
폐쇄된 놀이공원, 활력을 되찾다! file 2016.03.21 박지혜 25421
드라마'도깨비'에 담긴 한국 설화 1 2017.02.25 김성은 25404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 오긴 오잖아? 2017.03.25 장민수 25400
한의학의 이모저모) 컬러푸드와 음양오행 2016.06.05 신이진 25370
랜덤채팅, 채팅 앱 속 유흥업소 5 file 2017.02.25 박유은 25350
K-FOOD를 통해 한국을 알리는 (주필)문화외교 선두주자 백종란 요리 연구사 4 file 2018.10.18 유채현 25325
'첨성대·동궁과 월지' 등 경주 문화유적지, 한국관광 100선에 선정 file 2017.02.28 박지홍 25296
코로나19 사태에도 동아리 목표를 보여준 씨밀레의 ‘온라인 캠페인’ file 2020.03.25 조윤혜 25250
화창한 가을, 대전 문화원의 날 file 2014.10.23 정진우 25248
[곰이 문 화과자] ' 3월 ' 문화행사 A to Z 2 file 2016.03.13 박서연 25226
우리 속의 경제! 돈을 쓰고 돈을 모은다, 립스틱 효과와 카페라테 효과 1 file 2017.02.24 김지원 25217
투표는 만 19세 이상만 가능하다? 청소년들, 소중한 한 표를 던져보자! 2 file 2017.05.09 홍정민 25213
청소년증? 학생증? 18 file 2017.02.20 김애란 25212
수학여행 보고서 file 2016.05.28 이서연 25212
학교 별 '대신 전해드립니다' 페이스북 페이지 인기 file 2016.03.22 조하은 25203
과거와 현대를 잇는 도심 속 산책, 타이베이 여행 4 2018.05.04 김선주 25198
관객을 뜨겁게 울린 영화1987 현대인들에게 메시지를 전하다? 2 file 2018.01.24 이해인 25171
반크 한국 문화유산 홍보대사, '직지' 전 세계에 알려요. 4 file 2018.03.23 윤지선 25147
게으른 공부습관, 스터디 플래너로 바꿔보자! 10 file 2017.09.01 김다정 25080
'태양의 후예' 시청률 30% 돌파 직전, 무엇이 그토록 열광하게 만드는가 2 file 2016.03.24 김경은 25073
지금은 인공지능 시대! 4차 산업혁명 시장의 트렌드, SCG가 분석하다. 2 file 2017.04.19 서경서 25072
연세대학교, YMUN 2017을 성공적으로 마치다 6 file 2017.01.25 최이윤 25045
'아덴만 여명작전' 6주년 기념식 부산서 열려 13 file 2017.01.20 서상겸 24994
예전과 달라진 오늘날의 추석 1 file 2016.09.25 김나연 24937
대만 인기 퀴어 영화 <네 마음에 새겨진 이름>, 넷플릭스로 찾아온다 file 2020.12.04 김예슬 249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