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3.1운동 100주년, 해외의 항일 독립운동의 흔적을 쫓아서 '이준 열사 기념관'

by 10기장선우기자 posted Mar 12, 2019 Views 1537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931, 3.1운동의 100주년 되는 날이다. 지금으로부터 불과 100년 전, 이 땅의 사람들은 조국의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일어났다. 독립운동의 정신을 기리는 날을 맞아 대한제국의 주권을 되찾기 위해 노력한 외교관들의 흔적이 담긴 해외 독립 유적지, 네덜란드 헤이그에 위치한 이준 열사 기념관을 소개한다.  

 

이준 열사 기념관은 1907년 헤이그 특사 일행이 제2차 만국평화회의에 참석을 위해 머물렀던 De Jong(드용) 호텔 건물로, 광복 40년을 맞아 사단법인 이준 아카데미는 국가 보훈처 등의 후원을 받아 199585일 개관하게 되었다. 8개의 전시실로 나누어져 있으며 2층에는 헤이그 특사 파견배경과 활동, 이준 열사, 3층에는 유럽지역의 구국운동, 이위종, 이상설 열사들에 대한 전시로 배치돼 있다.

 

19세기는 열강의 식민지배로 인해 전 세계가 강자들의 이해관계에 얽혀있는 제국주의 시대였다. 그 당시 대한제국의 황제 고종 역시 일본의 이권침탈에 대한 위협을 느끼고 있었고, 1900년 이후 열강의 중재를 통해 독립국으로 남기 위해 계속해서 러시아와 미국에 특사를 파견해왔다. 그러나 일본은 19057월 미국과 가쓰라·태프트 밀약을 밀약을 체결해 필리핀에 대한 지배권을, 8월에는 영국과 2차 영·일 동맹 동맹을 맺어 인도의 지배권을 인정하며 열강으로부터 자국의 한국 지배권을 인정받는다. 이로써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라는 것은 이미 국제관계에서 암묵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사실이었다.

 

그해 11, 한국은 을사늑약의 체결로 인해 외교권을 일본에게 빼앗기게 된다. 고종은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19076월에 열리는 제 2차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를 파견한다. 만국평화회의는 식민지 쟁탈전으로 인한 늘어난 군비 축소와 평화유지책을 협의를 위해 44개국의 대표가 참가하는 국제적 회의였다. 일본을 견제하려던 러시아가 이 회의의 주최국이었기에 대한제국은 초청국이 될 수 있었고, 고종은 비밀리에 이준을 특사로 임명한다.

 

고종의 만국평화회의 특사로 임명된 이준은 만주에서 항일운동 중이던 이상설과 만나 함께 러시아에 도착해 이위종과 합류한다. 평리원 검사 출신의 이준은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법적으로 반박하는 역할을, 이상설은 을사늑약 체결 당시 회의의 실무 관료로서 그 부당함의 증언을, 이위종은 러시아 공사의 아들로서 외국어에 능통했으므로 통역을 담당했다. 그들은 회의 주최국인 러시아의 황제를 만나길 원했지만, 일본이 러시아에 대한 만주의 소유권을 인정한다는 내용의 러·일 비밀 협상으로 인해 러시아는 한국에 등을 돌리게 되고 만남은 무산되고 만다. 결국 그들은 러시아로부터 도착한 전문을 미리 받은 만국평화회의 의장도 만날 수 없게 되고, 초청국이 아니라는 이유로 참석을 거부당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인은 장외에서 탄원서를 발표하며, 일본의 만행으로 인한 한국의 상황을 전 세계 외신에게 보도한다. 평화회의보, 뉴욕헤럴드 등 여러 신문이 이를 대서특필하고, 이는 한국의 위기 상황을 알리는데 큰 기여를 한다. 그러나 결국 이는 일본의 고종을 강제퇴위 시키는 구실이 되었고, 19077월 이준은 호텔 방(현재 이준 열사 기념관)에서 목숨을 끊게 된다. 헤이그 특사에서 돌아온 이상설은 그 후에도 세계에 조선의 현실을 알리려 애쓰다 병사했으며, 이위종은 러시아에서의 항일전투에서 활동했다고 전해진다.

 

이준 열사 기념관은 평일 10:30~17:00, 토요일 11:00~16:00까지 운영된다.


이준열사기념관 내부.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장선우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0기 장선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00328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3547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41284
코스프레, 이색적인 모두의 문화로 자리매김하다. file 2018.03.03 김진영 16494
코로나지만 워터파크에 갈 수 있다? 5 file 2020.07.28 민아영 17948
코로나와 한국사회, 대학생의 시선으로 본다면? file 2020.11.27 양서현 14089
코로나에 빼앗긴 벚꽃 구경, 온라인으로 즐기자 file 2021.04.06 권민주 11721
코로나시대의 예술을 만나다 file 2020.08.18 조수민 12097
코로나바이러스의 이면 file 2020.05.04 주미지 14472
코로나바이러스가 만들어 낸 재앙, 층간 소음 2020.11.12 이수미 13107
코로나바이러스가 가져온 새로운 변화, OTT 서비스 file 2020.05.04 유해나 16441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가 바꾼 영화관의 풍경, 앞으로는? 4 file 2020.08.14 이준표 13867
코로나로 인해 뒤바뀐 우리의 문화 file 2020.09.01 김정안 13074
코로나로 멈춰버린 지금, 집에서 문화생활을 다시 찾다 2020.09.16 이준표 13659
코로나가 세계 스포츠에 미치는 영향 2 file 2020.06.01 서지완 17685
코로나가 불러온 스포츠계 사상 초유의 사태 file 2020.03.18 김민결 14154
코로나가 만든 신조어 1 file 2021.02.01 임은선 16299
코로나19의 위협엔 비대면 봉사활동 (신생아 모자뜨기) file 2020.10.23 신아인 13521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은 OTT서비스 1 file 2020.03.23 이서연 15438
코로나19에 맞서는 다양한 방법 '집콕' file 2021.02.25 김수연 11912
코로나19를 예측했다? 재조명받는 영화 <컨테이젼> 1 file 2020.10.06 이소은 15763
코로나19를 극복하는 템플스테이, 색다른 문화즐기기 file 2021.04.28 윤희주 11541
코로나19로 인해 해수욕장 풍경도 바뀐다 1 file 2020.06.29 이승연 13227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우리 사회의 영화관의 모습 file 2021.02.26 유정수 12913
코로나19로 인한 전세계 스포츠의 마비 1 file 2020.03.31 이정원 14148
코로나19로 인한 재난 문자의 증가..."재난 문자가 재난이에요" 4 file 2020.08.25 송한비 16823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생중계 아이돌 팬미팅 1 file 2020.09.14 최다인 13518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file 2021.07.12 김윤서 17075
코로나19로 변한 덕질 문화, 온라인 콘서트에 대해 알아보자 2020.10.29 김경현 14050
코로나19로 바뀐 문화생활 file 2021.02.24 이소현 13197
코로나19도 막지 못한 봄꽃 축제 3 file 2020.03.30 천수정 12518
코로나19가 우리에게 준 숙제… 분리수거, 재활용 file 2020.11.09 허다솔 16262
코로나19가 불러온 음악적 힐링, 크로스오버 그룹 포레스텔라 file 2021.03.03 김민영 16179
코로나19가 불러온 연예계의 비상 file 2020.09.07 홍지원 14720
코로나19가 불러온 '원격 수업' 계속 될까? file 2021.03.02 김민희 11150
코로나19가 몰고 온 비대면(Untact) 문화 file 2020.04.17 김지윤 12866
코로나19가 만들어낸 팬 콘텐츠, 방방콘 1 file 2020.04.27 정서윤 14262
코로나19가 가져다준 ‘안방 관극,’ 뮤지컬 생중계 1 file 2020.05.02 송다연 14447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8.27 길현희 12692
코로나19, 장애인들에겐 가시 1 2021.01.04 이수미 12796
코로나19 확산, 극장->안방, 뒤바뀐 문화생활 2 file 2020.04.13 정현석 13244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코로나 블루, 우울함에 대처하는 과학적 방법 2 file 2020.09.18 김다연 15932
코로나19 여파 속, 안전하게 도서관 즐기기 7 file 2020.04.10 하늘 15665
코로나19 시대의 슬기로운 독서 생활, 전자 도서관 1 file 2020.03.30 박민아 13887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등장, 로봇 카페 2 2020.09.28 김해승 12826
코로나19 시대의 K-POP의 새 문화 '온라인 콘서트' file 2020.10.30 노연우 16157
코로나19 속 재개봉 열풍 중인 극장가 file 2021.03.19 홍재원 16271
코로나19 사태에도 동아리 목표를 보여준 씨밀레의 ‘온라인 캠페인’ file 2020.03.25 조윤혜 24849
코로나19 사라져도 과연 우리는 이전과 같은 일상을 살 수 있는가 file 2021.03.15 권태웅 15709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학교에선 어떤 노력을 할까? file 2020.12.09 양윤아 14813
코로나19 걱정이 없는 세계, '모여봐요 동물의 숲' 9 file 2020.03.27 하건희 177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