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김영란법을 낳은 '벤츠 여검사 사건' 다시보기

by 3기정치부김도윤 posted May 23, 2016 Views 1913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60522_225321.jpg


김영란법을 낳은 벤츠검사녀 사건다시보기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에 관한 법률, 일명 김영란법의 시행까지 앞으로 약 4개월이 남아있다. 그동안 수많은 고위공무원들의 뇌물 수수와 부정부패에 분노하던 국민들이 조금은 안심하게 해주는 법임이 분명하지만 그동안 그토록 발제되지 않았던 법이 국회까지 통과한 것 또한 의문이다. 김영란 법이 국회를 통과해 법으로 제정될 수 잇었던 이유중 하나는 김영란 법의 탄생 배경에 있다.


벤츠여검사 사건은 내연관계인 변호사로부터 수천만원의 금품을 받은 여검사가 변호사의 사건청탁을 들어줌으로서 불거진 사건이다. 벤츠,샤넬백등 대략 6000만원 상당의 금품이 오갔지만 대법원의 최종 판결은 무죄였다. 금품을 준 시기는 약 3년 전인 2007년부터이고 사건청탁을 부탁한 것은 2010년이다. 이 두 시간사이의 거리가 있기 때문에 청탁이라고 부기는 어렵다 라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이었다. 그러나 이 결과에 법조인을 비롯해 많은 국민들이 의아해했다. 그이유중 하나로 사건 이전 대법원이 만든 포괄적 뇌물죄 때문이다. 정식 법으로 채택된 것은 아니지만 이미 확립된 판례인 포괄적 뇌물죄란 쉽게 말해 고위 공직자의 주변사람이 뇌물 수수를 한 것으로, 공직자 본인이 이를 인지 하고 있었고, 이를 묵인하였다면 성립되는 판례이다. 그런데 이번 재판에서 대법원이 그것을 깨버린 것이다. 더욱 문제시 되는 것은 내연관계에 있던 변호사는 비슷한 사건으로 같은 시기에 집행유예에 해당하는 처벌을 받았는데 왜 유독 여검사 사건에만 이렇게 자비롭냐라는 것또한 의문이다.

여러 사건에 의해 사법부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가 땅에 떨어졌다. 나라의 제 1 기둥인 사법정의가 깨진 나라가 나아갈 길이 과연 안전하고 옳을지 의문이다.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3기 정치부 김도윤]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온라인뉴스팀 2016.05.23 14:00
    (댓글) 3기조민성기자

    김영란법의 배경을 처음 알았네요.
    일단 통과는 되었다만 앞으로 어떻게 적용될지는 두고볼일이겠죠.
    사법부가 대체 왜 여검사 사건에 저런 판결을 내렸을까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5118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831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36329
이태원 클럽 코로나, 언론인이 맞닥뜨릴 딜레마 2020.05.14 오유민 9126
이집트 수에즈 운하 사고 1 file 2021.03.30 최연후 12001
이집트 대통령 17년만에 방한 2 file 2016.03.18 이아로 16958
이주노동자에 대한 청소년 인식 개선 시급 file 2018.11.26 여인열 13583
이종 간 이식 성공, '이종장기이식' 괜찮을까 2020.05.12 윤소영 9671
이제야 끝난 장마, 기후변화에 경각심을 가질 때 file 2020.09.07 박영주 8510
이제는 편안해질 수 있을까요 file 2017.04.17 안유빈 11265
이제는 종이컵이 아닌 리유저블컵 1 file 2019.07.31 방민경 15598
이제는 말할 수 있다. 3 file 2018.08.02 심윤지 11283
이제 더 이상 안전한 생리대는 없다 file 2017.10.10 허수빈 11518
이재명-김동연 → 윤석열-안철수, 막바지 판도 흔드는 단일화 변수 file 2022.03.04 김희수 9119
이재명 與 후보, 위성정당 방지법 추진할 것 1 file 2021.11.17 고대현 14715
이외수작가의 "화냥기". 문학적 표현인가, 시대착오적 사고인가? file 2018.10.16 김단아 11934
이시종 충북지사 “청주 서문시장 삼겹살 거리 활성화될 것” file 2018.03.06 허기범 12661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1.05.24 심승희 8618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열흘 만에 휴전 합의 맺어 file 2021.05.24 고은성 7282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11일 만에 휴전으로 멈춰 file 2021.05.25 민호윤 8437
이스라엘 한국과 화이자 70만 회분 교환 협약 맺어 file 2021.07.07 고은성 9875
이세돌, 4국 백 불계로 대승... ... 하지만 대두되는 AI 윤리 관련문제 11 file 2016.03.13 박정호 19042
이상화 현실의 모순 9시등교, 최대 수혜자는 학생 2014.09.20 신정은 22952
이별 후 과도한 집착과 가스라이팅... 이제는 형사처벌까지? file 2022.02.25 김명현 9640
이번 설날 연휴, 고속도로 정체가 발생한 이유는? 1 file 2019.02.20 권민성 12847
이례적인 공약...문재인 동물을 말하다 1 file 2017.02.24 정무의 20528
이란교민 전세기 귀국 2 file 2020.03.25 신동민 8682
이란, 핵 합의 복귀 밝혀, 이란과 미국 간 악연의 시발점은 어디인가? file 2021.11.08 권강준 10706
이란, 이라크 이르빌 향해 미사일 공격 file 2022.03.16 권강준 7646
이념 전쟁... 이제는 교육 현장에서도 일어나 4 file 2017.02.17 화지원 16110
이게 선진국 일본의 코로나19 대처방식이라고? 2 file 2020.04.21 이예빈 11350
이 노래는 언젠가 고향땅에 닿을 겁니다. file 2018.01.17 여승헌 11643
이 게시물은 블라인드 처리된 게시물입니다. 2017.08.29 이유한 10502
이 ‘데자뷰’의 끝을 다시 써보려 해 5 file 2016.09.16 조민성 15221
의학적 홀로코스트, 코로나19 위기에 빠진 한국을 구해줄 K 방역 1 file 2021.01.18 김나희 10042
의정부시에서 열린 세월호 4주기 추모제 file 2018.04.20 홍민기 11664
의정부 고교생 장 파열 폭행 사건... 과연 진실은? 1 file 2019.02.26 최수혁 13396
의료기기법, 누구를 위한 법인가? file 2018.02.22 홍수빈 12177
의료 서비스의 특징이자 맹점, 공급자 유인 수요 file 2018.11.22 허재영 23371
의도적인 트럼프의 발언? 1 file 2020.03.06 권수현 8422
의대생 증원에 따른 파업과 약대 학부전환, 입시에 '나비효과' 줄까? 1 file 2020.08.21 차준우 8594
응원하는 구단이 이기면 이자 오른다...'신한은행 프로야구 적금' 눈길 file 2023.04.11 정해빈 5636
음주운전과 윤창호법 1 file 2019.01.07 조아현 10641
음원차트 순위 꼭 있어야 하나? 1 file 2020.01.02 전혜은 9576
은여울 역사동아리, 서대문형무소에 가다 1 file 2015.05.24 이세령 29677
윤석열, 전두환 전 대통령 옹호에 이은 '개 사과' 논란에 이 지사 "한국판 홀로코스트 법 제정해야" file 2021.11.04 이도형 8197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대통령 집무실과 관저는 어디로 정했나? file 2022.04.26 강준서 7717
윤석열 대통령 당선에 대한 각국의 반응은? file 2022.03.21 이유진 10426
윤기원 선수의 의문의 죽음, 자살인가 타살인가 10 file 2016.02.21 한세빈 19429
윤 후보, 홍대거리를 순찰하며 현 경찰제도에 대해 논의 file 2021.12.08 이승열 11704
유행처럼 퍼지는 우울, 무기력....혹시 ‘코로나 블루’ 아니야? file 2020.04.27 정예진 97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