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꾸준히 흥행하는 2인극 뮤지컬, 그 매력이 무엇일까? (feat. 쓰릴미, 키다리 아저씨)

by 4기오희연기자 posted Aug 09, 2017 Views 1793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언제부턴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어느새인가 극장가에 '2인극'으로 진행되는 뮤지컬이 조용히, 그리고 꾸준히 상승세를 타고 있는 추세이다. 작품이 수출된 나라 중 한국에서 가장 큰 흥행 성적을 거뒀다는 뮤지컬 '헤드윅' 역시 모노드라마 형식이긴 하나 2인극이라고 볼 수 있고, 엄청나게 두터운 마니아층을 형성하며 매 시즌마다 매진 행렬을 이어가고 있는 쓰릴미 역시 2인극이다. 과연 2인극이 가진 매력이 무엇이길래 이렇게 뮤지컬 마니아층에서 유독 큰 인기를 얻는 것일까? 애석하게도 일반 관객들은 2인극이 가진 매력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데, 그 매력을 파헤치기 위해 필자가 관람한 '쓰릴미'와 '키다리 아저씨'라는 두 작품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15823444_1303293386402073_2260078936927211149_n-horz.jpg

[이미지 제공 = 달컴퍼니 /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일단 두 작품의 특징부터 살펴보도록 하자. 올해 10주년을 맞아 성황리에 공연되었던 뮤지컬 '쓰릴미'는 2007년 초연된 이후로 무려 9 시즌이나 공연을 올릴 정도로 꾸준한 흥행 성적을 거뒀던 작품이다. 동성애, 살인 등 국내 정서에 맞지 않을 수 있는 자극적인 소재를 다뤘다는 이유로 초연이 개막되기 전에는 흥행 성적에 대한 우려가 많았지만, 정작 뚜껑을 열어놓고 보니 중소극장 뮤지컬의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공연계에 큰 변화를 이끈 작품임이 틀림없다. 많은 뮤지컬 마니아들의 의견에 따르면한 공연을 몇 차례씩 관람하는 일명 '회전문 관객'이 본격적으로 급증하게 된 계기도 '쓰릴미'이고, 로맨틱 코미디가 주를 이루던 중소극장 뮤지컬계에 실험적인 작품이 많이 들어서기 시작한 것도 '쓰릴미'가 흥행하고 난 뒤부터라고 한다. 오케스트라 없이 피아노 한 대로 넘버 전 곡이 연주되고 단 두 명의 남자 배우가 팽팽하게 감정을 주고받는 것이 바로 이 작품의 매력이다.

17966310_1412510748813669_3087331121700963623_o.jpg

▲일명 '꽃뉴페어'로 인기를 얻은 정동화-정욱진 배우

[이미지 제공 = 달컴퍼니 /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마니아층이 쓰릴미에 열광하는 또 다른 이유는 배우들 간의 합을 보는 재미라고도 할 수 있다. 두 명만 출연하는 극이다 보니 캐스트 조합별로 이뤄진 '페어(일을 함께 하거나 특별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쌍, 두 사람)'를 모두 관람하기 위해 극장을 다시 찾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작품을 관람하는 데 고려하는 요인 중 하나인 '배우'는 특히 한국 뮤지컬 시장에서는 더욱 그 비중이 크기 때문인지 이렇게 페어를 고려하여 재관람하는 경우가 유독 많은 것으로 보인다. '쓰릴미' 같은 경우 적은 회차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회차가 다 고정 페어로 이뤄진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예를 들면 '최재웅-김무열', '정동화-정욱진' 이런 식으로 페어가 고정되어 있음) 페어별로 그 매력을 비교하면서 관람하는 재미는 아주 쏠쏠하다.


17952911_1415533918511352_9051012027885129434_n.jpg

[이미지 제공 = 달컴퍼니 /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달 컴퍼니에서 2016년에 선보인 혼성 2인극 뮤지컬 '키다리 아저씨'. 이 작품은 세계 뮤지컬 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시상식이라고 할 수 있는 영국의 올리비에상과 미국의 토니상에서 각각 연출상을 받은 존 케어드, 그리고 그와 뮤지컬 '제인 에어'에서 호흡을 맞춘 바 있는 작곡가 폴 고든이 합심하여 제작한 따뜻한 감성 뮤지컬이다. 미국 초연 당시 각종 호평을 얻은 뒤 공연의 성지인 브로드웨이에 입성하기도 전에 일본에서 러브콜을 받아 일본 뮤지컬계에 전례 없는 흥행 기록을 세운 저력이 있었는데, 한국에서도 작품이 관객들과 잘 통했는지 작년 7월 19일 DCF대명문화공장 1관 비발디파크홀에서 개막한 초연은 한국 뮤지컬계에서 보기 드문 혼성 2인극인 데다가 초연인데도 불구하고 판매점유율 12.6%로 인터파크 티켓 뮤지컬 랭킹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실은 초연 개막 전 '월요 쇼케이스'를 통해 관객들에게 작품을 먼저 선보였는데, 스타 캐스팅도 없고 작품 자체가 널리 알려지지 않은 상태임에도 작품이 기대된다는 호평이 자자했던 바 있다.


18664658_1453804521350958_5315189030582024434_n.jpg

▲2017년 공연 당시 제루샤 역의 유리아, 제르비스 역의 강동호

[이미지 제공 = 달컴퍼니 /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뮤지컬 '키다리 아저씨'의 가장 큰 흥행 요인은 무엇일까? 필자는 그 매력이 '담백함'에서 나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뮤지컬 시장이 급속도로 확대되면서 나오는 상업성을 띠는 뮤지컬, 그리고 겉으로는 화려하나 정작 작품이 담고 있는 의미는 흐지부지한 대극장 뮤지컬들이 잇따라 개막하면서 관객들에게 진정 어린 감동과 기쁨을 선사하지 못하는 경우가 때때로 생기는데, 이에 따라 오히려 관객들은 이렇게 억지로 감정을 꾸미려 하지 않고 자연스레 감동을 전달하는 극을 더 많이 찾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뮤지컬 '키다리 아저씨'는 제루샤가 제르비스에게 편지를 쓰면서 독백 연기를 하는 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제루샤는 극이 진행되는 내내 제르비스를 향해 쓰는 편지를 대사로 표현하는데 제르비스가 공연 내내 한 무대 안에 있는데도 정작 이야기를 전달하는 시선은 제르비스가 아닌 관객들을 향해 있다. 이 작품은 극에 등장하는 두 사람이 편지를 통해 서로 교감하면서 성숙해져 가는 과정을 이야기로 전달받는 식이라 그런지 원작 소설을 그대로 구연동화 듣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하는데 이러한 진행 방식은 편지를 받아 읽는 제르비스의 반응을 직접적으로 보고, 제루샤의 감정과 생각을 직접적으로 알게 되기 때문에 관객과 호흡하는 느낌이 강하게 들어서 '쓰릴미'와는 다른 방향으로 집중하게 만드는 힘이 있는 듯하다.


 필자가 재밌게 관람한 2인극 뮤지컬의 두 편의 특징을 살펴보면서 확실히 알게 된 매력을 크게 네 가지로 정의해보자면 이러하다.


1. 극 전체를 이끄는 단 두 명의 배우에게만 집중함으로써 부각되는 흡입력

2. 각각의 페어가 지닌 다양한 매력을 보는 재미(feat. 회전문)

3. 배우마다 다른 작품 해석을 통해 같은 공연도 다른 시각으로 보게 되는 재미

4. 극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직접적으로 호흡하는 듯한 느낌


 현재 국내에 개막 예정인 2인극 뮤지컬은 스테디셀러 락 뮤지컬 '헤드윅'뿐이다. 앞으로 더욱 다양한 2인극 뮤지컬이 국내에 소개되길 바라며, 또한 중소극장 뮤지컬도 더욱 활성화되길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4기 오희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정서현기자 2017.08.10 22:49
    평소에 뮤지컬 좋아하는데 2인극 뮤지컬은 처음 들어보는 것 같아요! 두 뮤지컬 모두 기회가 된다면 보고싶네요 !!
  • ?
    4기오희연기자 2017.08.22 23:25
    둘 다 정말 매력있는 작품이에요! 다른 2인극 뮤지컬을 먼저 접해보고 싶으시다면 '헤드윅'을 추천드립니다!ㅎㅎ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9193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2036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21264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하늘마당, 빛과 그림자 file 2017.06.25 이세림 21534
광정동청소년문화의집, '코딩과 인공지능' 주제로 스마트한 생활과학교실 운영 file 2022.07.13 이지원 11423
광운대 아이스하키팀, 96년 만에 환호성 질러 2 file 2017.02.19 김연수 18977
광복절, 안성에서 그들을 기억하다 1 file 2018.08.27 안정섭 15943
광복의 환희와 되찾은 조국의 상징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을 방문해보는 것은 어떨까? 1 file 2019.01.08 이채린 15608
광복72주년???빗속에서 열린 겨례의 '2017 서대문독립민주축제' 2017.08.30 문성환 15297
광복 72주년 기념 해방 거리 재현 행사 '사람의 나라' file 2017.08.17 박규리 13818
광복 70주년을 맞아 진행된 눈물의 행사들. 그리고 그 행사들의 주인공 위안부 할머니들. 2 file 2015.08.27 정주현 27076
광명동굴의 ‘미디어 아트로 보는 세계명화전’. 성황리에 막을 내리다. 2 file 2017.05.21 최미성 16578
관중 입장이 재개된 프로야구 현재 상황 file 2020.10.26 나주현 12952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작은 한걸음 file 2017.03.25 김경은 16452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7141
관객을 뜨겁게 울린 영화1987 현대인들에게 메시지를 전하다? 2 file 2018.01.24 이해인 25039
과학적이고 아름답다! 스페인의 알함브라 궁전 file 2018.01.30 곽승용 20170
과학이 쉽게 다가가는 공간 '서울시립과학관' 1 file 2017.09.19 표예진 19649
과학의 관점을 바꿔주는 제16회 수원정보과학축제에 다녀오다 1 file 2019.10.23 유석훈 17309
과학을 향한 학생들의 도전, 2017 제주청소년과학탐구대회 file 2017.04.28 신온유 15839
과학을 즐길 수 있는 '제 21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개최 file 2017.08.13 김영서 13400
과학에서 '혁명'이란 무엇인가 file 2018.05.18 신온유 21023
과학에 대해서 궁금하면?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file 2017.10.25 이예준 16684
과학문화 한마당! 체험 한마당! file 2017.04.21 오지석 14721
과학? 축제의 중심이 되다! file 2017.06.12 오지석 16407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7115
과천에서의 문화체험 file 2014.10.18 오선진 32986
과천시, 미세먼지 대응 시민실천 수칙 선포식 열어 file 2017.05.25 공혜은 17962
과천과학관 방문기 1 2017.11.24 안정민 22166
과천 누리마 축제의 현장으로 2017.11.24 고은빈 14769
과연 내가 살찌는 이유가 고기에게만 있을까? file 2017.12.04 유하늘 15268
과도한 트로트 열풍 이대로 괜찮은가? 2021.01.15 홍재원 14844
과거축구와 현대축구의 만남, 풋볼 팬타지움 2018.10.19 서성준 15695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예술인들, 무예 24기 file 2021.04.23 최민서 12620
과거와 현대의 공존, 오사카 여행기 file 2017.02.25 주은채 15873
과거와 현대를 잇는 도심 속 산책, 타이베이 여행 4 2018.05.04 김선주 24882
공휴일 아닌 기념일, 그 의미는 알고있니? file 2017.07.25 장서윤 15849
공항동, 도시재생으로 다시 날 수 있을까? file 2020.11.09 김서영 13426
공포의 자동차 ‘급발진’ 그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4 file 2015.02.07 김현우 34365
공포의 이안류, 갑자기 떠내려가... 5 file 2017.08.06 송가현 22048
공정무역이란? 2017.11.02 최인혜 17155
공정무역, 과연 안전하고 공정한가? file 2021.02.23 원규리 14020
공인인증서는 가고 시작된 민간인증서들의 시대 file 2020.12.28 이채은 13362
공원커피,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2022 카페 소스페소’ 커피 캠페인 진행 file 2022.12.06 이지원 8432
공연 '소년대로' 오는 16일까지 대학로서 공연 file 2023.04.12 박도현 7673
공스타그램, 이젠 공부도 SNS로! 7 file 2017.03.12 이지우 20378
공상 영화의 현실화, ‘하이퍼루프’ file 2021.03.26 김규빈 14581
공모전부터 전시까지 다채로운 코바코의 공익광고축제 file 2016.11.21 박지혜 31862
공룡 대멸종, 그 원인은 무엇일까? file 2018.06.21 최수영 73950
공동의 리듬, 공동의 몸; '공동체'를 만나다 file 2017.10.16 박채연 18060
공공의 적, 미세먼지 1 file 2017.05.25 고아연 150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