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자국보다 전범국에 더 헌신적인 나라

by 3기이유수기자 posted Jul 23, 2016 Views 1554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6년 7월 12일, 일본 자위대 창설 62주년 기념행사가 열렸다. 바로 서울 한복판 힐튼호텔에서. 호텔 앞은 경찰들과 시위대의 대치가 이어지고 있다. 자위대가 무엇이기에 대한민국 국민들이 이토록 분노하는 것일까?


위안부소녀상2.jpeg

 [이미지 촬영= 대한민국 청소년기자단 3기 이유수ⓒ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자위대: 일본이 1954년 일본의 치안유지를 위해 창설한 조직]

  일본은 제 2차 세계대전의 패전국으로서 1945년 10월 2일부터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이 발효된 1952년 4월 28일까지 6년 반 동안 더글러스 맥아더 원수가 지휘하는 연합국 최고사령부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일본은 공식적인 군대를 보유할 수가 없다. 하지만 1950년 1월 1일, 맥아더 원수는 일본의 자위권 존재를 인정하는 성명에 따라 일본 자위대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그렇게 자위대가 만들어진지도 62년이 지났다. 처음에는 단지 자국을 보호하기위한 목적으로 창설되었지만 이후 UN에 자위대를 파견시키고 지금에 이르러서는 공식적인 군대로 인정해달라고 촉구하고 있다. 심지어 아베 총리는 자위대를 ‘우리 군대’라 표현하며 숨겼던 발톱을 드러내고 있다.

  작년 ‘위안부 협상 타결’이 된지도 반년이 지났다. 일본에 대한 분노는 하늘을 찌를 듯하다. 그 가운데 일본 대사관에서 이와 같은 기념행사를 대한민국에서 개최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그 이전에도 신라호텔에서 60주년 행사를 진행하려했으나 국민들의 반발로 신라호텔을 대관을 취소했다. 이에 대해 62주년 행사를 위해 대관을 승인한 힐튼 호텔에 그 책임을 묻지 아니할 수 없다.

  그 자세한 속내는 일본만이 알고 있다. 계속해서 대한민국의 심장인 서울에서 많은 국민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제 2차 세계대전 전범국’이라는 타이틀과 관련된 행사를 진행해나간다면 국내에서 일본에 대한 평가는 얼마나 더 하락될지 모른다. 또한 외교적으로 봤을 때도 대한민국 정부는 국민의 생각과 일본과의 관계 사이에서 더욱 고전할 것이 분명하다. 하루빨리 정부에서도 일본의 이 같은 행위에 대한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 = 3기이유수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964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7386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93928
도심 속 환경으로, 서울환경영화제(SEFF) file 2018.05.31 박선영 21502
쓸 만한 인간 '배우 박정민' 1 file 2018.02.27 강서빈 21505
국내 바다가 지겹다면 대마도 미우다 해변으로! 1 file 2017.09.05 이지원 21518
'버블파이터 9차 챔피언스컵',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에서 열리다 file 2016.07.25 김경은 21519
일상생활에 활용되는 과학 원리, 내부 저항값 측정으로 확인하는 배터리의 상태 2020.11.02 신찬우 21519
가을과 코스모스, 연천군 코스모스 축제 file 2017.10.19 이다은 21551
혼저옵서예~ 힐링의 섬 '제주', 우리 함께 떠나보자! file 2017.08.30 박정민 21560
[기획] 사회적 경제는 왜 필요한가? file 2018.04.16 김민우 21561
탈북 여대생 박연미, 전 세계를 대상으로 북한의 실상을 드러내다 file 2019.06.19 이승하 21561
카카오프렌즈 뮤지엄에 가다 9 file 2017.01.15 임수연 21575
3년 만에 찾아온 개기 월식 4 file 2018.01.26 최윤정 21578
軍과 함께하는 '2017 원주 다이내믹 댄싱카니발' 개막 1 2017.10.09 김혜원 21599
'어른이'들을 위한 한강 놀이터 2 file 2017.08.27 강유진 21607
진로에 고민이 많은 10대를 위한 꿈수레 전공체험박람회 8 file 2017.02.04 이현지 21621
“아임 파인 땡큐 앤 유?” 영어가 배우고 싶은 도깨비 할매, <아이 캔 스피크> file 2017.11.09 박세진 21628
우리 아이들의 미래, 이젠 노란 신호등이 지킨다. file 2017.09.01 안소희 21629
일명 '픽미 세대'의 살아남기 경쟁 속 희망 '청년창업 지원정책' 11 file 2017.02.21 이현주 21648
3·1절을 맞은 온양온천전통시장의 풍경 2 file 2016.03.02 이지영 21652
함께 만든 100년 함께 만드는 미래 file 2019.03.13 이서진 21655
'내 꿈을 소리쳐!' - 제8차 청소년 연설대전, 막을 올리다 file 2017.07.25 홍정민 21684
세계 난민의 날- 세계 난민 현황 1 file 2016.06.22 노태인 21690
땅 파서 버는 돈, 비트코인 file 2017.04.03 장혜련 21690
모드리치, 호날두·메시 시대의 막을 내리다. file 2018.10.01 전도헌 21705
1인 미디어 수익 기부, 이런 BJ도 있어요! 4 file 2017.03.05 정서희 21709
달콤한 초콜릿의 유혹... 이겨낼 수 있을까? 14 file 2016.02.15 신경민 21723
교육 기술의 모든 것을 한곳에서! 2017교육박람회(EDUTEC) 9 file 2017.01.21 노유진 21729
현대자동차 ‘코나 일렉트릭’ 출시, 전기차의 장단점은? 3 file 2018.04.25 김성백 21755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갯벌 속으로 ‘2019 고창갯벌축제’ file 2019.06.25 조햇살 21777
"문복아 췍길만 걷자", "어차피 우승은 장문복" 화제의 인물 장문복 1 file 2017.03.22 김다정 21788
몽골, 이토록 아름다운데 한 번쯤은 가봐야 하지 않겠어? 2 2020.01.22 조하은 21789
개소리를 알아듣는 방법, 카밍 시그널 file 2017.08.27 김수현 21814
서울역사지킴이, 새싹들에게 일월오봉도를 알리다 4 file 2017.01.24 박수연 21853
베트남 사파를 아시나요? file 2020.01.14 정다솜 21853
집 앞의 숨은 촬영 명소, 부산 동구 12 file 2016.02.24 이민지 21866
우리가 축제를 만든다고! <제5회 이천시청소년연합축제> file 2019.05.16 현승필 21881
농업선진국을 향한 도약, 스마트팜(smart farm) file 2017.03.18 오지현 21882
공포의 이안류, 갑자기 떠내려가... 5 file 2017.08.06 송가현 21884
사회 풍자의 정석, 동물농장을 읽다. file 2017.04.14 박소이 21894
일본 오사카 성의 화려함 뒤에 감춰져 있는 우리는 모르는 역사 file 2018.12.03 이수영 21905
새로운 팬덤 문화의 시작, '아미피디아' 4 file 2019.04.03 김여진 21920
일본군‘위안부’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담은 ‘마리몬드’ 5 file 2017.01.23 강예원 21931
[일본 관서지방 여행기] pt 3 교토 (2) 2 file 2017.02.22 박소이 21932
도자기 속에 숨겨진 '독', 이제는 밝히겠다. 2018.04.05 유민울 21957
한국 외교의 발자취가 담긴 외교사료관에서 외교관의 꿈을 키워보자! file 2019.02.11 이채빈 21964
'패드립', 도대체 왜? file 2016.07.31 박채원 21972
과천과학관 방문기 1 2017.11.24 안정민 21980
누적 관객 수 94만 명 돌파 영화 '증인'과 함께 보는 자폐에 대한 오해 그리고 배려 5 file 2019.02.20 하지혜 21980
제63회 백제문화제, 공주와 부여에서 열려 file 2017.10.31 백지연 219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