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AR과 포켓몬 GO

by 3기박성수기자 posted Jul 19, 2016 Views 1608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Untitled-1.png

[이미지=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박성수기자ⓒ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요즘 국내외적으로 포켓몬 GO에 대해 뜨거운 열기를 띠고 있다. 여기서 AR이라는 기술이 사용된다는데, 오늘은 이런 AR이 무엇이며, 이것이 어떻게 포켓몬 GO에 대해 적용된 원리, 그에 따른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AR이란 무엇일까? AR은 일명 우리말로 풀이하면 증강 현실이라고 한다. 여기서 잠깐 지식백과를 살펴보면 '실세계에 3차원의 가상물체를 겹쳐서 보여주는 기술을 활용해 현실과 가상환경을 융합하는 복합형 가상 현실.'이라고 한다. 여기서 혹시나 이해하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간단히 예를 들면, 스마트폰에 카메라로 앞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AR은 여기서 더 나아가 앞에는 분명히 없는 3차원의 물체가 스마트폰 안에서는 보인다는 것이다. 일명 그림의 떡이라는 비유로 맞아떨어질지도 모르겠다.


  포켓몬 GO는 이러한 AR을 이용해서 간단히 특정 위치에 가상의 포켓몬을 두어서 게이머들이 스마트폰 내의 포켓몬볼로 잡는 그러한 게임이다. 이런 간단하게 생긴 게임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유로는 여러 요인이 있다. 일단 이 게임이 어딘가로 모험한다는 간단한 것에서 출발해 이리저리 거리를 돌아다니며 사회성, 주변 환경에 대한 관심, 소비 유도, 창의성 등까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 우리나라의 상황은 어떨까? 현재 우리나라는 포켓몬 GO의 2차 출시국에 포함되고 있지 않다. 그 이유로 들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구글 지도의 반출을 허용하지 않는 우리나라의 정책 때문이다. 이는 구글이 우리나라의 군사기지 등을 모자이크 처리하거나 국내에 서버를 들여와 세금을 내면 국내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이유에도 불구하고 이에 동의하지 않은 구글의 꼼수가 있다거나 우리나라의 과도한 규제라는 말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속초 등 일부 지역은 플레이가 가능하다. 이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나이앤틱의 구획 지도와 관련이 있다. 닌텐도는 포켓몬 GO를 출시할 당시 한국을 서비스 제외국으로 설정되었다. 이를 마름모꼴로 구분한 지도가 있는데, 여기서 속초 부근을 북한과 함께 'NR15-ALPHA-12' 구역으로 묶여 있는데, 이 지역에는 포켓몬 GO가 실행되는 지역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서해 5도 전역, 울릉도 전역에서 플레이가 가능한 이유가 되기도 한다.


  이런 AR의 흐름 속에서 하나의 명작이 된 포켓몬 GO로 국내, 국외적으로 큰 관심이 일이났다. 이에 발맞춤하기 위해서 우리나라도 무조건적인 한국형 AR 게임 양산이 아닌 장기적으로 그에 대한 연구와 그에 대한 지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IT과학부=박성수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8344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9988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07220
무너져가는 블루레이 시장, 이래선 안 된다. file 2017.10.16 손종욱 16123
'포켓몬 고'안전불감증, 이대로 괜찮은가 7 file 2017.03.01 성유진 16125
두산베어스 또 한번 정상에 서다 1 file 2016.11.04 김나림 16126
아름다운 '스칸디나비아반도'로의 여행! 1편- 핀란드 2017.09.01 김성미 16127
전주하면 비빔! 전주비빔밥축제에 가다 1 file 2018.11.02 김수인 16127
2018 코리아 크리스마스 페어, 일산 킨텍스 개최... file 2018.12.24 신해수 16128
'맛있으면 0칼로리!' 2017 서울 디저트 페어-초코전 열려 14 file 2017.02.14 유현지 16131
(현장취재) National Assembly 알고보면 국민에게 가까운, 대한민국 국회에 대해 알아보자. file 2017.02.25 박재범 16131
함께 만들어가는 하모니, 노래하는 바람개비 2017.09.26 안세은 16132
2018 평창올림픽, 경기에 대한 해외 반응은? file 2018.03.05 김세현 16132
다문화의 바람, 맘프 file 2018.04.05 김세영 16138
어린이들의 날! 다양한 체험과 함께하다 1 file 2016.05.12 황지연 16140
부활하는 한국 축구.. 벤투호에 거는 기대 1 file 2018.10.01 이준영 16141
'SAVE THE CHILDREN' 3 file 2016.08.04 한지수 16146
소프트웨어, 체험하면서 배워요! '2018 광주SW 체험축전' file 2018.11.12 손민경 16147
코로나19가 불러온 음악적 힐링, 크로스오버 그룹 포레스텔라 file 2021.03.03 김민영 16147
라라랜드를 걷어찬 엠마왓슨의 복귀작 미녀와야수 1 file 2017.03.24 김민재 16149
2018 평창 동계올림픽 - 스키점프에 관한 거의 모든 것 2018.03.02 김종원 16153
일제의 탄압을 이겨낸 민족의 목소리 file 2016.06.12 전지우 16157
역사 속으로, 동래읍성 역사축제 file 2018.10.18 유채영 16158
국제청소년교류캠프... 이번 강원도 평창에서 열리다. file 2017.10.30 김예진 16160
수면·명상 앱 코끼리, 10월 세계 정신건강의 달 ‘감정 일기 쓰기’ 캠페인 진행 file 2022.10.24 이지원 16161
최북단 동해바다와 금강산이 함께 숨 쉬는 곳, 고성 통일 전망타워 방문기 file 2019.03.08 진시우 16164
청소년이 청소년에게, 2016수원화성방문의 해 file 2017.02.25 양수빈 16165
왜 우리에겐 페미니스트 선생님이 필요할까. 3 2017.09.20 박수지 16165
독도를 위한 반크의 움직임, 디지털 독도 외교대사 발대식 ! 1 file 2016.04.11 황지연 16166
`2018 화순 국화향연`이 펼쳐지다 file 2018.11.29 조햇살 16167
광주 트라우마센터 치유의 인문학 시인 박준, "슬픔은 자랑이 될 수 있다" 1 file 2017.09.25 이세림 16168
100m 안에만 3군데… 그 이유는? 9 file 2017.02.25 정세은 16169
할머니의 마음에도 광복이 올까요? 2 file 2017.10.09 최효설 16170
10대의 화이트데이는 '별 의미없는 날…'이다? file 2017.03.17 권나규 16171
성추문의 케이시 애플렉, 우리는 그저 그를 축하해야 하는가? 1 file 2017.02.27 한지나 16172
얼마 남지 않은 프로야구 개막, D-2 file 2018.03.23 최민주 16174
WWDC 2017 애플 또 다른 변화 file 2017.06.06 한윤성 16175
겨울궁전으로 본 러시아의 역사 file 2018.04.02 장세은 16179
프로야구, 최악의 위기를 맞이하다 1 2016.11.14 김지현 16181
게임과 만화마니아들은 다모여라~!. "코믹월드" 7 file 2017.02.21 전현동 16182
“RISE”, 워싱턴 대학에서 개최한 설날 축제 2 file 2017.02.20 이민정 16183
마음의 양식, 독서 1 file 2018.12.07 서인하 16183
우리가 직접 부모를 고르는 시대, ‘페인트’ 2 file 2019.10.29 송이림 16187
나눔의 가치를 알리는 청소년들, 남양주시 청소년 자원봉사 홍보단! 1 file 2017.02.22 정현지 16188
뜨거운 감자 ‘연예인 SNS’, 제한 필요한가? 7 file 2017.04.10 김현정 16189
내 상사가 유튜버라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2 file 2020.06.15 류혜성 16190
5.18의 정신, 하나로 달리는 마라톤 file 2016.05.22 3기김유진기자 16191
나를 알려라 : PR 문화 3 file 2016.03.06 이민재 16192
우리의 아픈 역사가 있는 곳, 서대문형무소를 다녀오다 6 file 2017.02.23 한유진 16194
변화를 위하여 내딛는 첫걸음, QISSMUN file 2019.04.30 박정현 16194
캄프 누에서 열린 골 잔치 4 file 2017.01.15 최민규 161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