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지구의 반란, 도대체 어디까지인가?

by 4기김예지기자 posted Apr 25, 2016 Views 1622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4월 17일 에콰도르 강진, 4월 20일 일본 5.5의 지진소식...

모두 불의 고리라고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한 곳이다. 대지진의 조짐일까?

일본하면 떠오르는 것이 지진인만큼 이제까지의 피해도 엄청난데 특히 2011년에 일어난 대지진은 진도9라는 숫자를 기록하였으며 직접적인 사망자만 해도 18182명이나 된다. 당시 여진이 무려 275번 일어났는데 이번 5.5의 지진이 그 여진 중 하나가 아닐까 생각된다.146159583518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김예지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

이번 지진으로 더 큰 피해를 본 에콰도르 로사자라테역시 7.8이라는 강진이 발생했다는 사실을 미국 지질조사국 USGS는 발표했다. 애초에 7.4라고 밝혔다가 향후에 7.8로 고쳤다고 한다.


또한 하와이에 있는 태평양쓰나미경보센터(PTWC)역시 반경 300km 안에 위험한 쓰나미가 발생할 수 있다며 지진해일 경보를 발령했다.


에콰도르 지진으로 수도 키토에서는 약 40초동안이나 건물이 흔들릴 정도의 강한 진동이 있었다고 전한다. 주택1채와 도로 1곳이 붕괴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지진직후 전지가 끊어졌다는 현진 주민들의 증언도 있었다.

아직 정확한 피해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최소 41명이라고 한다.


'불의 고리'는 환태평양 지진대에 속해있으며 지각이 불안정해 전세계 지진의 90%가 발생하는 곳이다. 태평양을 둘러싸고 있는 고리 모양이기 때문에 불의 고리라고 하는 이름을 붙였다고 하며 칠레, 미국 , 알류산 열도, 쿠릴 열도, 일본, 타이완, 말레이 제도, 뉴질랜드, 남극의 일부가 이 환태평양 조산대에 포함된다고 알려져있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대지진이 일어나 피해를 본 사례는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는데 매우 다행이라고 생각하며 매일매일을 자연재해의 공포속에서 살아가야한다는 것자체가 공포라고 생각한다. 앞으로는 이런 대지진으로 죄없는 사람들이 피해를 입는 경우가 없었으면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김예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윤동욱기자 2016.04.27 12:59
    지진은 일반시민에게는 정말 두려운 재앙입니다. 빠른 회복 기원합니다.
  • ?
    6기김나림기자 2016.05.12 18:36
    요즘 지진으로 인한 피해가 참 많은 것 같은데 우리도 안심할 수는 없으니 조심하였으면 좋겠네요
  • ?
    3기김윤정기자 2016.05.22 11:59
    그래도 우리나라는 자주 일어나지 않아서 그나마 다행인 것 같아요. 다른 나라들도 피해가 발생하지 않아야할텐데 말이죠.. ㅠㅠ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이소민기자 2016.05.24 23:56
    정말 자연의 힘은 대단한 것 같아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4593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344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28836
마스크의 대란 어디까지인가 2020.03.18 김도연 8505
초대형 선박 좌초로 마비된 수에즈 운하 file 2021.03.29 박수영 8512
수에즈 운하 열렸지만 문제는 여전히 file 2021.04.02 김민주 8519
임대료없어 폐업 위기, 소상공업자들의 위험 file 2021.02.01 최은영 8521
샘 오취리, ‘preach' 성희롱 댓글 뒤늦게 논란 file 2020.08.31 유시온 8532
등교개학 이후, 학교 VS 코로나-19 2020.06.16 홍승우 8538
헝다그룹, 유동성 위기 극복 기대난 file 2021.09.29 윤초원 8542
미중 무역전쟁, 승패없는 싸움의 끝은? file 2020.01.02 임수빈 8545
코로나19 백신, 팬데믹 해결의 열쇠가 되나 1 file 2020.11.24 임성경 8545
여러 민주화 시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손가락의 영향력과 힘 2021.04.29 김경현 8547
심각한 경제위기에 직면한 일본.. 이대로 선진국 반열에서 탈락하나? file 2022.02.08 이성훈 8547
야심 차게 내놓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 과연 효과는? file 2020.11.24 김아연 8548
코로나19가 불러온 고통 1 file 2020.03.16 최서윤 8550
2016년 ‘위안부 손배소’, 이용수 할머니 증언을 끝으로 4년 만에 드디어 막 내린다 2020.09.16 이채은 8570
논란의 중심인 국적법, 도대체 뭐길래? file 2021.05.24 서호영 8570
반도체 수급의 어려움, 차량 업계도 직면했다 file 2021.07.26 우규현 8576
마스크 대란을 잡기 위해 내놓은 정부의 대책 file 2020.03.12 신지홍 8580
의대생 증원에 따른 파업과 약대 학부전환, 입시에 '나비효과' 줄까? 1 file 2020.08.21 차준우 8585
저가항공사들의 반란? 1 2020.06.01 이혁재 8589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8592
25일 코로나 확진자 현황 file 2021.05.27 박정은 8593
트럼프, 바이든에 협조하지만 대선 결과 승복은 ‘아직’ 1 file 2020.11.27 김서현 8595
끝나지 않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언제쯤? 2020.08.31 김정원 8610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1.05.24 심승희 8610
원격수업을 주제로 한국 - 아랍에미리트 원격회담...전 세계로 퍼지는 온라인개학 file 2020.04.27 정태민 8631
코로나 아직 끝나지 않았다, 생활 속 거리두기 함께 하기 file 2020.05.12 임효주 8635
주한 외국인 증가율 file 2019.12.27 김희서 8645
미국 최초의 흑인 여성 부통령 후보, '카말라 해리스' file 2020.08.31 전순영 8645
온라인 수업의 부작용, 'VDT 증후근' 2020.08.31 오윤성 8647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바이러스, 그 근원지는 어디? file 2020.05.20 김가희 8655
백신, 안전한가? 1 file 2020.10.22 홍채린 8658
코로나를 통한 사재기와 우리의 태도 file 2020.03.30 이수연 8663
이란교민 전세기 귀국 2 file 2020.03.25 신동민 8664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에 놓인 홍콩 1 file 2020.05.26 신지윤 8669
'전태일 정신 계승' 전국노동자대회 그리고 전태일 3법 1 2020.11.19 이정찬 8674
우후죽순 터지는 인사 실패와 망언들, 급락하는 윤석열의 지지율 file 2021.12.27 윤성현 8676
코로나 백신, 가능할까? 1 file 2020.11.13 이채영 8679
일본과 우리의 코로나19 대응 차이 2020.06.01 이다진 8680
매미나방, 이대로 두어도 괜찮을까? 1 file 2020.08.24 송윤슬 8683
‘이 시국’의 한국 경제를 극복할 방안, ‘한국판 뉴딜’을 알아보자 file 2020.08.28 김나영 8685
마스크 사재기를 잠재운 마스크 5부제 1 file 2020.04.02 남유진 8687
프랑스 "2시간 30분 이내 거리 항공기 금지" 기후법 통과 2021.07.08 현나은 8692
집중호우의 다른 이름 ‘기후변화’ file 2020.08.31 최지원 8694
美 애틀랜타 총격 사건... “내 사람들을 죽이지 마세요” 2 file 2021.03.30 임이레 8703
고3 학생들과 함께한 이번 선거 file 2020.05.04 손혜빈 8709
"말을 안 들어서..." 10살 조카 A 양을 고문한 이모 부부, 살인죄 적용 1 file 2021.03.05 한예진 8717
푸른나무재단, '마음 톡톡 페스티벌'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실시 file 2022.06.02 이지원 8717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소소하지만 확실한 노력' file 2020.05.26 박아연 87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