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기자수첩] '검정 고무신' 작가의 죽음이 사회에 남긴 것

by 22기김진원기자 posted Apr 12, 2023 Views 78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이우영 작가 사진.jpg[이미지 촬영=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2기 김진원 기자]


지난 3월 11일, 만화 '검정 고무신'의 그림 작가였던  이우영 작가가 인천시 강화군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되었다. 겨우 향년 51세였다.


경찰은 사건을 자살로 종결 지었고, 유가족의 뜻으로 부검은 하지 않았다. 유가족이 밝힌 바에 따르면 살아 생전  이우영 작가는 '검정 고무신' 저작권 소송으로 인하여 많은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한다. 그에겐 그동안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2007년 엠파스에서 '검정 고무신' 연재를 마친 후 형설앤 대표가 故 이우영 & 이우진 형제와 이영일(필명 도래미) 글 작가에게 접근하여 사업화를 제안하였다. 


형설앤 대표는 기영이, 기철이를 포함한 검정 고무신의 주요 9개 캐릭터의 저작권 지분을 양도 해 달라 말한 후 돈도 주지 않고 故 이우영 & 이우진 형제에게 28%, 도래미 작가에게 8%를 얻어 총 36%의 저작권을 양도 받았다. 그 후 2011년, 형설앤 측은 도래미 작가에게 2000만 원을 주고 17%를 추가로 양도를 받아 53%의 저작권 지분을 갖게 되었다.


2007년 ~ 2010년 사이 여러 계약을 맺으며 포괄적인 IP 활동 권한을 형설앤 측이 획득하여 작가들은 더욱 불리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이떄 체결된 계약들이 사실상 사업에 대한 모든 계약을 포괄하는데, 여러 조항들 중엔 '저작권 침해 시 손해 배상을 받을 권리', '작가가 계약 위반 시 3배의 위약금을 물기' 등 여러 불공정 조항들이 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던 2019년,  이우영 작가에게 고소장이 날아왔다. 검정 고무신 캐릭터를 허락 없이 그려 저작권을 위반하였단 이유였다. 그렇게 故 이우영 작가는 피의자 신분으로 재판에 서게 되었다.


소송은 2019년 전후로 진행되었다. 형설앤 측에서는 계약이 과도함은 인정하나 불법은 아니며 그 당시 2008년의 관행에 따라 맺은 계약이므로 현재 표준 계약서와 비교할 수 없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여기서 형설앤 측에서 주장하는 불법은 아니라는 주장은 합리적인 계약을 뜻하는 게 아닌 협박과 같은 범죄 행위가 있는지, 불법적인 계약 내용이 있는지를 본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정보의 우위를 점하고 있는 형설앤 측이 훨씬 유리하다는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


계약은 '계약 자유의 원칙' 으로 인하여 함부로 국가가 개입할 수 없다. 자신에게 불리한 내용으로 계약이 되어 있어도 자신임을 증명 가능한 서명이나 인감 도장이 있으면 국가가 개입할 수 없단 뜻이다. 이에 대한 창작자를 위한 제도적 보호가 없자 현재 한국 만화가 협회에선 '이우영 작가 사건 대책 위원회'를 구성하여  이우영 작가 사건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22기 김진원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5028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745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34985
학교폭력 줄이자는 목소리 커지는데...교육 현장에선 ‘개콘’ 우려먹기 file 2021.03.23 박지훈 12016
학교의 민낯 - 창살 너머의 아이들 1 file 2017.09.21 이우철 18569
학교에서 거부한 교과서 '국정교과서' 11 2017.02.14 추연종 18003
학교가 가르치는 흡연 2 file 2019.05.24 김현지 16479
하이브, 이수만 지분 인수 완료...SM엔터 최대주주 됐다 file 2023.02.22 디지털이슈팀 6557
하와이, 38분의 공포 4 file 2018.01.22 전영은 11634
하버드 교수의 ‘위안부’ 비하 발언 file 2021.03.09 최연후 9650
하루 속히 밝혀져야 할 세월호의 진실, 당신은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1 file 2017.03.27 김나림 11125
하늘의 별이 된 설리, 우리가 해야할 숙제는? 2 file 2019.11.15 정다은 13517
하늘의 별 따기인 교대 입학..... 임용은 별에 토끼가 있을 확률? 1 2017.08.11 박환희 13183
하늘을 뒤덮은 미세먼지 file 2019.03.15 박보경 11067
하나된 한반도, 눈부신 경제성장 6 file 2018.05.23 박예림 19411
필수 한국사, 과연 옳은 결정일까? 11 file 2016.02.20 정민규 19525
필리핀,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file 2022.01.28 최윤아 8175
필리핀 코로나 상황 속 한국 교민들 file 2021.09.14 최윤아 7954
필리핀 네티즌, 한국을 취소하다? 1 file 2020.09.15 황현서 10316
필리버스터와 테러방지법, 그것이 알고싶다. 3 file 2016.03.24 김도윤 19404
피해액만 200억 원! 필라델피아, L.A. 등의 한인 상점 약탈 file 2020.09.23 심승희 10940
피청구인 박근혜, 靑 을 쫓겨나다. file 2017.03.12 유태훈 12002
피의자 신분 박 전 대통령의 첫 검찰 수사 1 file 2017.03.21 최지오 11894
피스가드너,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제1266회 수요시위를 찾다. 8 file 2017.01.19 이민지 29555
피로 물든 광주, 진실은 어디에? file 2019.05.24 안서경 12109
피고는 '옥시', 국민은 '싹싹' 32 file 2017.01.09 이주형 21608
플레디스 유튜브 계정 통합. 팬들의 의견은? file 2019.01.03 김민서 14095
플라스틱 폐기물에 전 세계가 몸살 file 2019.08.05 유승연 13916
프로야구 응원가 '부활' 할까 file 2019.03.04 오동택 11425
프로스포츠에 뿌리박힌 승부조작 3 file 2016.08.24 박민서 18587
프랑스어 철자법 간소화, 논란 이어져 12 file 2016.02.25 정가영 23354
프랑스 파리와 미국 LA, 2024년과 2028년 하계 올림픽의 무대가 되다! 1 file 2017.08.07 이수연 12134
프랑스 "2시간 30분 이내 거리 항공기 금지" 기후법 통과 2021.07.08 현나은 8718
프라임 사업의 취지와 문제점 3 file 2016.05.15 김혜린 21634
푸른나무재단, '마음 톡톡 페스티벌'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실시 file 2022.06.02 이지원 8727
푸른 하늘에 뜬 노란리본, 세월호를 기억하다. file 2017.03.25 최윤선 11790
표지판 외국어표기 오류 여전 16 file 2016.02.19 노태인 28255
폭우 피해 원인 공방…4대강 사업 vs 태양광 1 file 2020.08.20 김대훈 9669
폭염이 몰고 온 추석경제부담 2 file 2016.09.23 이은아 17346
폭염에도 계속 되는 '위안부' 수요시위 4 2017.08.11 허석민 25862
포항공항- 주민들과의 오랜 갈등 빚어…… 2 file 2016.08.21 권주홍 20816
포항 지진... 피해 상황은 어떤가 2017.11.28 이지혜 13354
포항 지진, 지진이 발생하는 이유? file 2017.11.21 임소현 13965
포항 지진 피해 연이어 속출... 보상은? file 2017.11.21 김주연 12139
포항 지진 결국 원인은 '지열발전소' 2 file 2018.05.31 한유성 15936
포항 5.4 지진으로 보여준 필로티의 위험성 1 file 2017.11.23 김성연 13699
포켓몬GO, 사건사GO? 5 file 2017.02.25 김대홍 17245
폐허가 되어 버린 리우 올림픽, 마냥 동정만 할 수 없는 이유 3 file 2017.02.24 박우빈 17559
폐의약품 올바른 분리배출 방안, 사람들은 알고 있나? 2020.06.29 서지은 11207
폐쇄 위기의 군산 조선소...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시점 1 file 2017.02.19 백수림 16537
평화의 소녀상을 지키는 사람들 1 file 2017.02.28 이태연 160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