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농정원, 코로나19 전후 명절 선물 트렌드 변화 분석 결과 발표

by 이지원기자 posted Aug 31, 2022 Views 693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3731496761_20220830111818_7648132423.jpg
[이미지 제공=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하 농정원)이 코로나19 전후 ‘명절 선물’ 트렌드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분석은 코로나19의 엔데믹 이후 첫 명절인 추석을 맞아 코로나19가 한국인의 명절 선물 트렌드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2019년 1월 1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 온라인 뉴스, 커뮤니티, 블로그, 카페,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에 게재된 227만건 이상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분석 결과, 최근 4년간 명절 선물 트렌드 키워드는 ‘비대면’, ‘프리미엄’, ‘다양성’이었다.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명절 선물은 온라인으로 구매하고, 택배로 배송하는 방식으로 변화했다. 이는 이동 자제 권고 등 방역 조치가 적용됨에 따라 직접 고향을 방문하는 대신 비대면으로 명절 선물을 전달하는 경향이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또 사회적 거리 두기로 고향에 갈 수 없게 되자 선물로 성의를 표시하기 위해 프리미엄 선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최근에는 300만원 한우 세트, 자동차 가격과 맞먹는 와인 세트 등 기존 프리미엄 선물을 뛰어넘는 초(超)프리미엄 선물 세트가 이목을 끌기도 했다.


3731496761_20220830111822_2948960710.jpg
[이미지 제공=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코로나19는 명절 선물의 다양성을 보여주기도 했다. 그간 선물용으로 거의 고려되지 않았던 방역용품이 새로운 관심 품목으로 등장하고,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가전제품, 주류 등 가정에서 즐길 수 있는 품목과 비대면으로 선물할 수 있는 기프티콘 등의 언급량이 증가했다.

*코로나19 이후 정보량 증가 품목(%) : 방역·위생(184.9), 가전(60.7), 주류(36.4), 기프티콘(27.5), 커피·음료(19.6), 농산물(14.7)

코로나19 여파에도 전통적 명절 선물인 ‘농산물’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이 가운데 ‘과일’은 농산물 언급량에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3731496761_20220830111825_8254109409.jpg
[이미지 제공=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특히 사과, 배, 곶감, 대추 등 제수용 국산 과일이 상위권을 형성했으며 한라봉, 포도(거봉, 샤인 머스켓 등), 망고 등 이색 과일도 명절 선물용으로 많이 언급됐다.

이는 제사 음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실용적 측면과 가격대가 높은 이색 과일을 선물해 성의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분석에 대한 상세 내용은 농정원이 매월 발행하는 농업·농촌 이슈 트렌드 보고서 ‘FATI (Farm Trend&Issue)’ 3호에 담았으며, 농정원 누리집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이지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4556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309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28289
우리의 촛불은 꺼지지 않는다. 제 17차 촛불 집회 열려 1 file 2017.03.01 안준혁 16440
우리의 적은 코로나19인가, 서로에 대한 혐오와 차별인가 file 2020.05.25 장은서 8901
우리의 일상을 바꿔놓은 코로나19, 백신이 나왔다? 1 file 2020.08.18 권혁빈 7960
우리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는 주범, 미세먼지를 알아보자 2 file 2018.05.23 배민정 10508
우리의 땅 제주 이대로 가도 될까? 1 file 2015.05.25 박다혜 23552
우리의 교과서에 '위안부'가 사라진다 18 2016.02.28 하지희 19955
우리생활속의 법 '우리는 아르바이트가 가능할까?' 1 file 2016.07.18 김현승 17817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가...언론의 무서움을 말하다 2 file 2018.07.26 김지연 11042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발생으로 인한 사회적 영향 및 대책 file 2016.06.25 조해원 17795
우리나라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나라다? file 2016.09.24 최시헌 17311
우리나라 먹거리의 잔혹사 첫 번째, 우지파동 3 2017.09.04 오동민 16886
우리나라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해외 사례로는 무엇이 있을까? 2 file 2019.04.24 최민영 20807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어떻게 될 것인가? 1 file 2017.08.17 김나영 12295
우리나라 가계부채 명목 GDP 대비 106.5%…가계경제 비상등 켜지나 file 2022.01.18 윤초원 10922
우리가 한번쯤 생각해봐야 할 문제, 고독사 2020.02.19 이수미 11216
우리가 즐겨하는 게임, 과연 바람직하게 하는 방법은? 2 file 2018.05.16 석근호 11484
우리가 절대로 잊지 말아야 할 세월호 1 file 2017.04.09 양희원 11624
우리가 얼마나 소중한지, 당신은 알고 있나요? 2 file 2018.02.26 임희선 12641
우리가 쓰는 화장품에 가려진 동물실험 3 2020.03.23 신재연 11982
우리가 쓰는 하나의 색안경, '빈곤 포르노' 1 file 2018.12.17 이지우 12451
우리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부의 불평등 2 file 2017.05.16 양현서 12758
우리가 류샤오보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 3 file 2017.07.18 박우빈 11730
우리가 기억해야 할 그 날의 용기 4 file 2017.09.01 이다빈 19100
우리가 기억해야 할 국제기구. 세계의 평화를 지키는 국제연합(UN) 1 file 2017.10.25 이수연 14440
우리가 GMO식품을 매일 먹고 있다고? file 2019.03.29 이연우 20461
우리 사회의 문제, 평균 결혼 연령 상승의 원인은? file 2019.05.07 서민영 20545
우리 사회 이대로 안전한가? 1 file 2017.09.04 김하늘 10965
우리 모두 잊지 말아요... 8월 14일 그 날을... 4 file 2017.08.23 김채현 10304
우리 개는 안 물어요, 안전해요! 1 file 2017.10.30 김나림 12715
용인 백현고 소음의 주범 1 file 2016.04.24 김수미 17564
용가리 과자먹고...위에 구멍 생겨... 4 2017.08.17 고은경 11272
욕망과 자유 사이 '리얼돌'에 관하여... 2021.01.27 노혁진 8157
요즘 뜨고 있는 비트코인...도대체 뭘까? file 2017.12.18 임채민 21080
요동치는 '불의고리',우리나라는 안전할까? 5 file 2016.04.26 황어진 21759
외래종(外來種)의 세계화,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2.26 조원준 11408
외국어 간판이 ‘갑’, 쫓겨난 한글 간판 8 file 2016.03.19 반나경 38832
외고 자사고 폐지, 과연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는? 3 2017.06.27 고은빈 12275
외감법 개정, 때로는 엄격하게 때로는 자유롭게 file 2017.05.25 홍은서 10760
왜 이렇게 덥지? 3 file 2018.07.30 고다은 12446
왜 우리는 알고 있는데도 실천하지 않는가 2 2018.07.25 임서정 11345
왜 대한민국은 트럼프 대통령에 반감을 가지게 되었는가 2018.03.01 박세준 11302
왜 그것은 말할 수 없는 비밀이 되었는가? 2 2018.01.29 김민소 9801
완전히 베일 벗은 국정교과서, 과연? 2 file 2017.02.13 권지현 15804
와하! 난민 신청 여성 이주민들의 오아시스 같은 공간 file 2019.09.23 최윤영 12255
올해만 벌써 다섯 번째…사라져가는 아이들 8 file 2016.03.26 신민정 16402
올해만 7차례 지나간 것은 무엇인가 1 file 2019.11.15 김선우 10562
올해 최강 한파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 들. 10 file 2017.01.19 최예현 17252
올해 다사다난했던 영국 사건들 1 file 2017.06.27 이태호 106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