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농정원, 코로나19 전후 명절 선물 트렌드 변화 분석 결과 발표

by 이지원기자 posted Aug 31, 2022 Views 693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3731496761_20220830111818_7648132423.jpg
[이미지 제공=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하 농정원)이 코로나19 전후 ‘명절 선물’ 트렌드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분석은 코로나19의 엔데믹 이후 첫 명절인 추석을 맞아 코로나19가 한국인의 명절 선물 트렌드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2019년 1월 1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 온라인 뉴스, 커뮤니티, 블로그, 카페,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에 게재된 227만건 이상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분석 결과, 최근 4년간 명절 선물 트렌드 키워드는 ‘비대면’, ‘프리미엄’, ‘다양성’이었다.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명절 선물은 온라인으로 구매하고, 택배로 배송하는 방식으로 변화했다. 이는 이동 자제 권고 등 방역 조치가 적용됨에 따라 직접 고향을 방문하는 대신 비대면으로 명절 선물을 전달하는 경향이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또 사회적 거리 두기로 고향에 갈 수 없게 되자 선물로 성의를 표시하기 위해 프리미엄 선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최근에는 300만원 한우 세트, 자동차 가격과 맞먹는 와인 세트 등 기존 프리미엄 선물을 뛰어넘는 초(超)프리미엄 선물 세트가 이목을 끌기도 했다.


3731496761_20220830111822_2948960710.jpg
[이미지 제공=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코로나19는 명절 선물의 다양성을 보여주기도 했다. 그간 선물용으로 거의 고려되지 않았던 방역용품이 새로운 관심 품목으로 등장하고,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가전제품, 주류 등 가정에서 즐길 수 있는 품목과 비대면으로 선물할 수 있는 기프티콘 등의 언급량이 증가했다.

*코로나19 이후 정보량 증가 품목(%) : 방역·위생(184.9), 가전(60.7), 주류(36.4), 기프티콘(27.5), 커피·음료(19.6), 농산물(14.7)

코로나19 여파에도 전통적 명절 선물인 ‘농산물’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이 가운데 ‘과일’은 농산물 언급량에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3731496761_20220830111825_8254109409.jpg
[이미지 제공=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특히 사과, 배, 곶감, 대추 등 제수용 국산 과일이 상위권을 형성했으며 한라봉, 포도(거봉, 샤인 머스켓 등), 망고 등 이색 과일도 명절 선물용으로 많이 언급됐다.

이는 제사 음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실용적 측면과 가격대가 높은 이색 과일을 선물해 성의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분석에 대한 상세 내용은 농정원이 매월 발행하는 농업·농촌 이슈 트렌드 보고서 ‘FATI (Farm Trend&Issue)’ 3호에 담았으며, 농정원 누리집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이지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4548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301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28161
다음, 카카오톡에 이어 이제는 네이버까지... file 2019.06.26 이채린 12140
전자파의 엄청난 영향 file 2019.06.25 오윤주 13744
신생아 낙상사고 후 3년간 사실 은폐... 의료윤리는 어디로? 2019.06.24 한웅희 15209
말 한마디 없이 광고의 의도를 전달한다고? 2019.06.24 김여진 13690
홍콩 국민들을 하나로 모은 범죄인 인도법 file 2019.06.21 이서준 17344
업사이클링?, 업사이클링 인지 정도에 대해... file 2019.06.17 김가희 21267
"우리는 동물 실험을 반대합니다!' 영국 국민들의 바뀌는 태도, 한국이 배워야 할 자세 file 2019.06.14 이채린 16607
독도는 협상 조건이다? file 2019.06.13 맹호 13335
소셜그래프, 청소년 도박 중독의 시작 file 2019.06.13 양재성 17049
마카롱에 숨겨진 비밀 1 file 2019.06.12 이주희 14631
그람 염색, 세균을 눈으로 직접 확인해보자 file 2019.06.12 양지윤 29302
환경을 파괴하는 아보카도? file 2019.06.10 김예진 14881
패스트푸드는 이제 안녕, 오늘부터는 슬로푸드 file 2019.06.07 이채은 13693
퀴어 퍼레이드 그 스무 번째 도약, 평등을 향한 도전! 서울 도심 물들인 무지개 file 2019.06.07 정운희 15284
꿈꾸는 광고, 드림 애즈 Dream Ads 2019.06.07 봉하연 12302
코에 빨대가 꽂혀있는 거북이가 발견된 그 이후, 지금 file 2019.06.07 박서연 18658
다뉴브강 유람선 침몰 사고 file 2019.06.07 최예주 10803
치사율 100% '아프리카돼지열병' file 2019.06.07 이지수 11709
5G 그것이 알고 싶다 1 file 2019.06.05 봉정근 12385
스타링크 프로젝트 시작되... 스타링크 위성 60기 발사 성공 file 2019.06.05 김병국 10849
중국에선 벌써 열풍! 우리는? file 2019.06.05 최민경 13433
무개념 팬들의 SNS 테러에 얼룩지는 축구계 1 file 2019.06.05 이준영 11440
‘학폭 미투’ 지울 수 없는 기억, 돌이킬 수 없는 과거 file 2019.06.04 장예주 10147
중국의 일대일로, 그들의 야망이 드러나다 file 2019.06.03 김도윤 9557
언론의 힘, 그리고 언론의 빛과 어둠 file 2019.06.03 박은서 11857
정말 물가는 월급 빼고 다 상승하는 것일까? 1 file 2019.06.03 송수진 10744
과학, 왜 어렵게 느껴질까? file 2019.05.31 박현준 11241
청소년 불법 사이버 도박 2 file 2019.05.31 박지예 10979
버스 파업,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19.05.31 방민경 9321
뉴욕타임스 전직기자 앤드류 새먼이 전하는 "한국이 매력적인 이유" 2019.05.31 공지현 10537
오프라인 쇼핑몰의 위기.. 사실 온라인 쇼핑몰 매출 상승 때문이 아니다? file 2019.05.31 김도현 17785
Snapmaker 2.0 , 킥스타터에서 3D프린터의 틀을 깨다 2019.05.30 박진서 12683
날로 커지는 중국의 영향력, 중국어 자격증 HSK 전격 해부 file 2019.05.30 장윤서 14346
인천 동구의 경제,, 이대로 무너지는가 file 2019.05.30 이가영 9556
5·18민주화운동과 희생자를 기리며 file 2019.05.29 박고은 9152
덴마크 - 한국 수교 60주년 file 2019.05.29 남윤서 10354
대구시민의 관심이 집중된 신청사 건립, 대체 무엇일까? 1 file 2019.05.29 김민정 9960
헌법재판소,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file 2019.05.28 김민준 12826
길거리 흡연, 그만 하세요! file 2019.05.27 유재훈 14675
27년 만에 깨어난 사람도 있다! 안락사는 허용되어야 할까? file 2019.05.27 배연비 25156
아직도 갈 길이 먼 시리아 난민 문제 file 2019.05.27 백지수 11165
'이천 수간 사건' 국민청원 게시 file 2019.05.27 허서인 13007
美 워싱턴주, 시신을 흙으로 만드는 법안 통과 1 file 2019.05.24 이현 13348
백두산이 폭발한다? file 2019.05.24 백지은 11159
학교가 가르치는 흡연 2 file 2019.05.24 김현지 16422
피로 물든 광주, 진실은 어디에? file 2019.05.24 안서경 12067
수단의 대통령, 30년만에 물러나다 file 2019.05.23 이솔 10795
노인 자살, 도대체 왜? file 2019.05.23 진찬희 123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