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친환경포장기술시험연구원, 제품 포장재질 및 과대포장 검사 전문기관으로 지정

by 이지원기자 posted Aug 22, 2022 Views 66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846348765_20220818151023_9924198007.jpg
[이미지 제공=친환경포장기술시험연구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친환경포장기술시험연구원(KIEP)은 환경부(장관 한화진)가 8월 2일 연구원을 ‘제품의 포장재질·포장법에 관한 검사 전문기관’으로 지정 고시했고 19일 밝혔다.

친환경포장기술시험연구원은 포장 분야의 환경 문제와 정책에 관련된 시험 및 검사를 목적으로 설립된 전문기관이다. 올 5월 국가기술표준원 산하 한국인정기구(KOLAS)에서 ‘공인검사기관’ 인정을 취득한 바가 있다.

연구원은 이번에 환경부 지정 검사 전문기관이 됨에 따라 KST 1303 포장공간비율 및 환경부령 제933호의 제품포장규칙의 검사 항목에 대한 KOLAS 인정을 취득한 국내 유일의 검사 기관이 됐다.

다가오는 추석 명절에 백화점, 대형 할인점 등에서 판매되는 선물 세트의 과대포장은 생산자·소비자 비용 부담을 증가시키고 환경 오염, 자원 낭비 등을 유발한다. 정부는 이런 과대포장에 따른 포장재 폐기물 발생을 억제하고, 재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단속(검사 명령) 및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다.

친환경포장기술시험연구원 담당자는 “2024년부터 택배(수송)용 골판지 상자의 50% 이하 공간비율 규제가 시작되고, 과대포장 사전 검사제가 도입되면 검사 기간 지연 등이 발생할 수 있다”며 “과대포장 검사는 포장재 폐기물 원천 감량화 측면에서도 효과가 있기 때문에 꾸준히 시행돼야 한다. 빠르고 정확한 검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친환경포장기술시험연구원은 제조사들의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한 적정포장 및 상품성,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포장 개발에 관한 기술 지도와 컨설팅 등을 지속 시행할 계획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이지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4719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489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30946
갑작스런 천재지변...세계 항공사들의 대처는? 7 file 2016.02.23 박지우 19044
'대륙의 실수', 중국 직구족의 번성 1 file 2016.04.19 김도현 19045
더이상 한반도는 안전하지 않다, 계속되는 여진, 지진대피요령은? 3 file 2016.10.30 김영현 19095
GOS 게이트 톺아보기 file 2022.03.28 이준호 19095
우리가 기억해야 할 그 날의 용기 4 file 2017.09.01 이다빈 19105
2016년 제1기 중앙청소년참여위원회 위촉식 및 오리엔테이션 1 file 2016.03.24 김지민 19109
100만의 촛불, 대한민국을 밝히다 1 file 2016.11.25 윤지영 19115
김영란법을 낳은 '벤츠 여검사 사건' 다시보기 1 file 2016.05.23 김도윤 19123
인터넷 신문의 과도한 광고 22 file 2016.02.24 문채하 19136
동물 학대와 동물 유기, 해결책이 필요할 때 1 file 2019.03.08 강서희 19149
안전을 위한 스크린도어가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12 file 2016.02.22 장은지 19150
젠트리피케이션, 주거지에서 상업지로... 도시 활성화 vs 주민들의 피해 2 file 2018.05.14 김민경 19164
백만 촛불의 간절한 외침 1 file 2016.11.24 박민서 19169
"법을 악용하는 청소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들끓는 소년법 폐지 요구 3 file 2017.09.12 박선형 19188
[사설] '돌아보는 대한민국 4년'_'작성자가 자리를 비웠습니다' 7 file 2017.01.23 이주형 19194
승리의 촛불, 광장을 메우다 20차 촛불집회 4 file 2017.03.23 박소윤 19222
부산 위안부 소녀상, 홀로 앉아있는 소녀를 지키는 다른 소녀가 있다. 7 file 2017.01.22 최문봉 19227
경제학이多 - 경제학의 흐름 2 file 2018.11.23 김민우 19241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 “나눔의 집” 탐방 1 file 2016.03.24 서소연 19251
돈에 있는 바이러스를 씻어내기 위해서는 세탁기에 돈을 돌려야 한다? 3 file 2020.08.24 이채원 19281
'포켓몬 고', '속초는 스톱' 12 file 2017.01.25 이주형 19285
일본 수출 규제와 한국의 불매운동 5 2019.07.19 양지훈 19314
혼용무도(昏庸無道)인 대한민국, 필리버스터는 왜 등장했는가? 2 file 2016.03.01 최지환 19316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9322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351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357
청소년들의 음주 문제 '심각' 5 file 2016.03.19 한지수 19364
증가하는 1월 졸업식의 필요성 6 file 2016.03.06 3기윤종서기자 19374
박근혜 대통령 '세월호7시간' 동안의 행적 25 file 2017.01.11 주건 19380
심각한 간접흡연의 피해들 2014.07.27 정진우 19381
인천공항 노숙자들은 와이셔츠를 입고 다닌다? file 2019.07.31 김도현 19388
내가 다니는 학교에 확진자가 나온다면? 6 file 2020.12.24 김진현 19389
필리버스터와 테러방지법, 그것이 알고싶다. 3 file 2016.03.24 김도윤 19397
하나된 한반도, 눈부신 경제성장 6 file 2018.05.23 박예림 19400
특검의 히든카드 '국회청문회위증죄', 이젠 진실을 밝힐 때가 왔다 19 file 2017.01.15 김다인 19402
고려대, 대학생들의 대자보가 시작되다 6 file 2016.02.27 황지연 19412
교과교실제, 누구를 위한 교과교실인가 4 file 2016.05.25 김관영 19412
저희는 대한민국 학생, 아니 대한민국 시민입니다. 8 file 2017.01.24 안옥주 19424
윤기원 선수의 의문의 죽음, 자살인가 타살인가 10 file 2016.02.21 한세빈 19425
20대 국회의 변화! 1 file 2016.04.17 구성모 19433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451
도를 넘는 북한의 도발, 국민들은 안전한가? 2 file 2017.09.19 윤익현 19457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462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9504
실생활의 많은 부분 기여한 21세기의 기술, '나노기술' 1 2019.02.07 송지윤 19507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513
선화예고를 불안에 떨게 한 의문의 남자의 '성폭행 예고장'......결국 3일 오후 체포되다. 6 file 2017.02.06 박환희 19517
필수 한국사, 과연 옳은 결정일까? 11 file 2016.02.20 정민규 195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