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경제강대국 미국, 알고 보면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

by 21기류채연기자 posted Nov 29, 2021 Views 1504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코로나 시국 이전 우리 가족은 해외여행을 많이 다니곤 했다. 그중 내 마음을 뺏은 도시는 단언컨대 뉴욕이었으니 화려한 건물들로 둘러싸인 타임스퀘어를 명품 가방과 패셔너블한 옷을 입고 당당하게 걸어 다니던 뉴욕커들의 모습이 아직도 잊혀지 않는다. 이 매력적인 도시에 사로잡힌 나는 미국이란 국가 자체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고 미국에 대해 찾아보던 중 놀라운 사실들을 알 수 있었다. 많이들 경제강대국이라 부르는 미국은 전 세계에서 11번째로 부유한 나라인 동시에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였다. 이 사실을 알게 된 나는 “그게 가능한 일인가?”하고 생각했다. 미국이 가장 부유하면서도 가난한 나라라 불리는 이유를 알아보자.

 

미국 지도 사진.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1기 류채연기자]


첫 번째 이유는 미국이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빈부격차가 있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빈부격차란 부유한 사람과 가난한 사람의 경제적 차이를 의미한다. 미국 내에서도 남부지역과 그 외 지역 간의 빈부격차가 극심하다. 몇십 년 전부터 이는 미국의 가장 큰 문제와 골칫덩어리였다. 안타깝게도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빈부격차는 나날이 심해졌다. 1986년엔 국민의 하류층 90%가 부의 33%를 갖고 있었다. 하지만 2016년, 그들은 23%의 부를 가지고 있었다. 반면, 같은 기간 동안 1%의 최상류층은 자기 재산을 30~40% 증진했다. 또한, CIA World Factbook 가 진행한 빈부격차에서 미국은 전체 150개국 중 자메이카, 페루, 카메룬 등 개발도상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40등을 했다. ‘Insider’는 미국의 상황을 보고 서부 주들은 인구 밀도가 낮아 빈부격차가 적은 반면 대부분의 빈부격차는 인구가 많은 남부 주들에서 발견되었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는 남부에 거주하고 있는 국민은 저소득층에서 고소득층으로 생활 수준을 높지 않아 하는 반면에 서부에 거주하고 있는 국민 사이에선 그런 경향이 보이기 때문에 빈부격차가 심하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정치 지리학자 리차드 모릴의 분석에 따르면 남부지역엔 소수 집단의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반면 서부 지역에는 게르만족과 스칸디나비안의 인구가 많기 때문에 극심한 빈부격차가 나타난다고 한다. 또, 여성들은 남성들에 비해 가난하다고 한다. povertyusa.org의 조사에 따르면 12.9%의 여성이 가난에 살고 있을 때 10.9%의 남성만이 가난을 경험하고 있다고 한다. 이 같은 현상은 취업률과 연관되어 있다고도 볼 수 있다. 63.9%의 여성만 상근 근무를 하는 반면 76.8%의 남성들이 상근 근무를 하고 있다. 즉, 빈부격차와 가난은 성 불평등 문제와도 연관이 있다. 


미국이 이미 세계 경제 강대국임에도 불구하고 빈부격차에 신경 쓰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빈부격차가 미국의 기술 발전, 세계화, 노조 감소, 최저임금의 가치 붕괴를 막고 있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 요소 중 “위대한 개츠비 곡선"이 사회의 가장 큰 걱정이다. “위대한 개츠비 곡선”은 한 세대에서 부의 집중과 다음 세대의 경제적 단계 이동 능력 사이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잘 보여준다. 사회가 ‘위대한 개츠비 곡선'에 불안해하는 이유는 가난한 사람들의 교육과 건강 상태가 낮기 때문이다. 이런 빈곤층이 건강보험에 접근할 수 없는 황당한 현실로 인해 건강 문제, 행동 문제, 인지 문제로 이어진다. 의료 서비스를 사용하지 못해 오는 불이익은 여기서 끝나지 않고, 학교에 적응하는 능력을 악화시킬뿐더러 성인이 되어 안정적인 직업을 얻는 것을 불가피하게 만들어 대대손손 빈곤의 순환에 빠지게 한다. 게다가, 혜택받지 못한 아이들은 불충분한 교육을 받지만, 부자들은 사립학교에서 교육받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가난한 아이들은 고등학교와 대학교에 진학하고 싶지 않아 하고, 그들의 교육 부족은 더 나아가 후손들의 교육 또한 제한 시켜 세대를 거듭할수록 빈곤은 계속될 것이다. 즉, 빈부격차는 세대가 지날수록 심해지며 평등의 기회가 거의 없다는 얘기다. 이러한 암울한 현실은 부모가 재산, 보석류, 명성을 물려받는 미국의 한 편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UN은 UN 지속가능발전목표 1번, 빈곤 통해 그들의 목표는 2030년까지 빈곤을 종식하고 경제적 자원과 기본 서비스, 소유권과 금융 서비스에 대한 동등한 권리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현재 미국의 불평등 상황과 경향을 보면 목표에 도달하고 동등한 권리를 주는 것이 불가능해 보인다. 


미국의 빈부격차의 여파는 계속되고 있다. 빈부격차로 인해 상류층은 더욱 부유해지고 있고 하류층은 점차 빈곤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하류층은 점점 낮은 수준의 교육만 받고 많은 건강 문제를 겪게 된다. 이런 상황은 세대를 거쳐 갈수록 가난의 상황은 점점 악화하고 있고 이런 현상이 지속된다면 미국은 결코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달성할 수 없을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21기 류채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7576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8418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99010
두 마리 토끼 잡는 에너지 충전소 file 2017.02.28 최지민 17312
길었던 겨울 지나 봄 맞은 인공지능, 한국은 아직도 영하 5도 file 2017.02.28 장영욱 26274
학생을 위한 정책, 학생으로부터의 정책 1 file 2017.02.28 유성훈 14758
전국학생 나라사랑 토론대회: 청소년이 말하는 한국 file 2017.02.28 최지민 21546
빅이슈, 당신이 읽는 순간 세상이 바뀝니다 4 file 2017.02.28 곽지현 17694
조선 최고의 식목왕, 정조 4 file 2017.02.28 최지민 15972
나무 뿌리의 습격 1 file 2017.02.28 최지민 19793
'그루밍족' 이어 등장한 '남성 뷰티 유튜버', 앞으로의 활약 기대돼… 4 file 2017.02.28 박서연 17282
시대의 어둠 속 작은 ‘등불’이 되었던 저항시인, 윤동주 2 file 2017.03.01 최은희 16736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2 file 2017.03.01 박효주 16381
조선의 그린벨트, 성저십리 2 file 2017.03.01 최지민 19658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 세상에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다! 1 file 2017.03.01 이윤희 18060
"날자! 날자! 더 높이" 광주아동복지협회, 아동 문화예술 축제 열어 2 file 2017.03.01 이서현 15317
책나눔터가 뭔지 알아? 4 file 2017.03.01 김경민 15877
즐기세요! 도전하세요! 상상하세요! 꿈을 펼치세요! 3 file 2017.03.01 유림 14828
'포켓몬 고'안전불감증, 이대로 괜찮은가 7 file 2017.03.01 성유진 16094
3·1절 맞아 대형태극기 게양... 대한독립만세 외치자! 12 file 2017.03.01 조묘희 16856
이색 도서관, 의정부 과학도서관을 소개합니다. 6 file 2017.03.01 임성은 16897
눈부신 발전, 그 뒤편의 아픔을 추억하다…일본 고베 항 지진 피해 메모리얼 파크 1 file 2017.03.02 조지원 19732
소아암 환아들에게 자신감을 기부해주세요. 7 file 2017.03.02 박미소 17912
[서대문, 1919 그날의 함성! 2017] file 2017.03.02 이서은 14718
제6회 어린 연어 보내기 생태체험 행사 1 2017.03.02 정승훈 14615
아~ 3.1절 서대문형무소를 태극기로 물들이다! 1 file 2017.03.03 김지민 17591
학생을 시민으로, 학교를 시민사회로! file 2017.03.03 김미현 13734
만해 한용운의 혼을 담다, 전국만해백일장 3 file 2017.03.03 오시연 15153
천사가 될 수 있는 가장 따뜻하고 든든한 방법? 10 2017.03.03 하영서 17357
치명적인 바이러스의 진화, 인류의 선택은? 2017.03.04 신온유 19299
포켓몬 GO, 흥행 유지에 성곡할 수 있을까? 2 file 2017.03.04 최유석 14641
무한도전 7주간 결방 예능계 새 바람 불까? file 2017.03.04 이아현 15582
"친구들이 저를 어떻게 생각할지 걱정돼요..." 6 file 2017.03.04 신예진 15022
[MBN Y Forum] 불가능을 잊고 즐겼던 2017 MBN Y Forum 2 file 2017.03.04 박수연 16096
'저와 친구가 되어 주실래요?'- 제주 강정마을 (제주 해군기지) 1 file 2017.03.04 김예진 18113
동해(East sea)를 세계지도로, '우리가 대한민국!'-반크 청년 공공외교대사 4기 발대식 2017.03.05 신승주 15975
대구 시민들의 외침, '시민열정, 희망으로 피어나다!' 2017.03.05 오지은 15209
대한 독립의 함성, 부산 동구에서 울려 퍼지다 file 2017.03.05 유승빈 14633
1인 미디어 수익 기부, 이런 BJ도 있어요! 4 file 2017.03.05 정서희 21760
I Marymond You;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하나의 움직임 3 file 2017.03.05 김가빈 19753
뮤지컬계의 전설적인 배우들 한국으로 월드투어 오다 4 file 2017.03.05 옥승영 15866
안용복 장군 도일선 전시관 개관식 2 file 2017.03.05 양다운 15582
GIST 전성찬 교수,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준침습성 뇌 전기 자극' 효과 입증 2 file 2017.03.05 임오령 17228
청소년의 정치에 대한 관심도:대한민국청소년의회에서 만나다! 4 2017.03.06 최정원 16054
폐건물이 청춘들의 아지트로 탈바꿈하다 ‘청춘 창고’ 3 file 2017.03.06 이소명 28911
시청자와 소통하는 방송, '1인 미디어' 5 file 2017.03.06 안자은 20146
세상을 바꾸는 도전, 영 메이커! 2 file 2017.03.07 이윤정 18157
밤이 밝은 도시 홍콩 (관광 취재) 2 file 2017.03.08 남현우 17905
Dingo 세상의 온도, 한국의 겨울에 핫 팩이 되다 8 file 2017.03.08 김혜원 22433
핵발전소! 이제 그만! 5 file 2017.03.09 오지석 14574
사람들의 냉랭한 인간관계, 더불어 일어나는 소통문제 3 file 2017.03.09 김나림 148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