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갑작스런 천재지변...세계 항공사들의 대처는?

by 3기박지우기자 posted Feb 23, 2016 Views 1904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 제주도 폭설사태와 같은 천재지변으로 인해 완벽한 여행을 꿈꾸던 많은 관광객이 공항에 발이 묶였다. 공항 곳곳에 종이상자를 펴고 잠을 자고 있는 사람도 볼 수 있다예상치 못한 상황에 놓인 대한항공과 대한항공 등은 숙소 제공과 보상금 지급은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항공사들은 문자와 홈페이지로 상황을 알리는 등 안내를 하고 있지만 큰 불편을 겪은 승객들은 항공사의 무책임한 대처에 격한 항의를 하고 있다.



공항.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박지우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이런 경우에 외국의 항공사들은 어떤 대처를 할까?


비행기.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박지우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미국 항공사 델타에 따르면 미국 항공사에는 미국 연방법에 의거한 보상조항이 존재한다. 보상조항에 따르면 1~2시간 지연 시 편도요금의 200%(최대 650달러) 를 보상해주고 2시간 이상 지연 시 편도요금의 400%(최대 1,300 달러)를 보상해준다고 한다. 국제선의 경우도 지연 시간의 기준만 조금 다를 뿐 보상 비용은 비슷하다. 이와 같이 미주의 경우는 합리적인 지연과 결항에 대한 보상이 자세하게 설명되어있고, 저비용항공사도 동일하게 강제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2013년에는 5시간 탑승객의 발 묶은 미국항공사에 1 5천만원의 벌금을 부과한 사례도 있다.



유럽의 국가들 역시 미주의 항공사들처럼 보상규정을 가지고 있다. EU의 보상 규정은 고객의 입장에서 가장 합리적이고 강력한 규정으로 알려져 있다. 영국의 항공사 브리티시에어에 따르면 항공사는 지연이나 결항 시에 구체적인 승객의 권리에 대하여 모두 통보해야 하며 보상이 없을 시에는 승객은 EU 컴플레인 폼에 작성하여 항공사에 제출할 수 있다. 저비용 항공사도 예외는 아니다. 예를 들면 2010년 아이슬란드에서 화산이 폭발해 일주일 동안 공항이 폐쇄된 적이 있었다. 이 때 영국 같은 경우에는 해군군함을 이용해 자국민을 프랑스, 스페인, 독일로 이동시켰다고 한다. 또한 외국항공사들은 유럽으로 가기로 예정 되어있던 우리나라 승객들을 섭외한 국내호텔로 안내해주었다고 한다.


프랑스의 에어프랑스항공사도 항공편이 3시간 이상 지연될 경우에 승객에게 수표나 은행 이체를 통해 보상금을 지급하거나 승객이 동의하는 경우 보상 쿠폰으로 지불하기도 한다.다.


네덜란드의 항공사들도 우리나라 항공사와는 다른 대처를 한다. 네덜란드 항공사인 KLM에 따르면 항공편이 취소되거나 3시간 이상 지연될 경우, 천재지변과 같은 특별한 상황이 일어났을 경우에 승객은 충분한 보상을 요청할 수 있다.


이처럼 다른 나라의 항공사들은 우리나라보다 천재지변에 대해서 승객을 위한 대처를 하고 있다. 대한민국이 발전에 한 발짝 더 다가가기 위해서는 항공사가 문제에 대해 어떠한 방식으로 대처하는지에 관한 것도 소홀히 하면 안 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박지우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전재영기자 2016.02.23 22:37
    다른나라 항공사들은 천재지변이 일어날 것에 대비하여 미리 대비해놓는 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항공사가 본받아야 될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도 하루빨리 다른나라의 항공사들처럼 천재지변에 미리 대처방안을 마련해놓았으면 좋겠어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6기김나림기자 2016.02.24 20:05
    다른 기사들을 보니까 다른 나라 공항 및 항공사에서는 메르스 같은 바이러스, 자연재해에 잘 예방하고 있던데 우리나라는 그런 게 아직 부족한 것 같아 아쉬워요 우리나라도 이런가에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빨리 만들었으면 좋겠어요!
  • ?
    3기김민지기자(국제) 2016.02.24 21:46
    항공사들이 천재지변뿐만 아니라 질병, 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철저한 관리를 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
    4기 조은아 기자 2016.02.25 10:41
    선진국들의 준비성을 본받았으면 좋겠어요. 많은 관광객들에게 한국에 대한 안 좋은 인상을 심어줄 수 도 있고 국민들은 충분한 보상을 받을 자격이 있으니까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김윤정기자 2016.02.25 18:34
    다른나라는 미리 대비해놓는다니, 놀랍기도 하지만 어쩌면 당연한 것 같네요. 우리나라도 하루빨리 천재지변에 대비해놓았으면 좋겠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목예랑기자 2016.02.28 13:46
    우리나라 항공사들도 다른 나라 항공사들을 본받아 천재지변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대비책을 세워놓으면 좋겠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구성모기자 2016.03.11 21:11
    이런 문제가 새겼을 때 보다 합리적이게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책이 마련되었으면 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4812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562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32149
‘2020 삼성행복대상’ 수상자 발표..김하늘 학생 등 청소년 5명 수상 file 2020.11.11 디지털이슈팀 9322
카멀라 해리스, 美 최초의 여성 부통령으로 당선 2 file 2020.11.09 임이레 9669
영국의 코로나 거리두기 3단계 선포, 과연 우리나라와는 어떻게 다를까? 3 file 2020.11.05 염보라 16487
아파트 값과 전세값 앞으로는? 1 file 2020.11.05 박범수 9785
복잡한 미국의 대선 방식, 어떻게 진행되고 왜 그럴까? file 2020.11.04 김진현 14164
바이든을 지지한 "너희가 멍청한 거야", 전 민주당 소속 여성 리더가 말하다 1 file 2020.11.03 김태환 12140
미 대선 마지막 토론… 트럼프, 김정은과 “특별한 관계”…바이든, “비핵화 위해 김정은 만날 것” file 2020.11.02 공성빈 11261
독감 백신, 대체 어떤 종류가 있길래? 4 2020.11.02 김태은 14018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 78세의 나이로 별세 1 2020.11.02 조은우 9047
1년째 계속되는 산불, 결국 뿌린 대로 거두는 일? 1 2020.10.29 김하영 9421
독감백신 사망자 점차 증가 1 file 2020.10.29 박정은 8406
'의료계 총파업', 밥그릇 챙기기인가 정당한 투쟁인가 file 2020.10.29 유서연 8477
문재인 대통령, 유명희 지지 총력전 1 file 2020.10.28 명수지 7965
대선 전 마지막 TV 토론, 코로나19 대응 관련 주제로 팽팽히 맞선 트럼프-바이든 file 2020.10.27 박수영 7869
예방인가? 위협인가? file 2020.10.27 길현희 9061
인천국제공항 드론 사건 1 file 2020.10.26 이혁재 10389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1 file 2020.10.26 윤지영 8485
불법 신상 유포 웹사이트 발목 잡는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file 2020.10.26 나영빈 11114
백신, 안전한가? 1 file 2020.10.22 홍채린 8664
내년 3월부터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 그 함의는 무엇인가? file 2020.10.22 정지후 9086
최종적 무죄 판결, 이재명 파기환송심 무죄 file 2020.10.21 전준표 13344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2 file 2020.10.21 차예원 11365
다시 돌아보는 일본불매운동, 과연 성과는 어느 정도일까? 4 file 2020.10.16 정예람 15806
12월 13일 조두순 출소...청소년들의 공포감 6 file 2020.10.15 김지윤 10922
美 대통령 트럼프 코로나19 확진... "곧 돌아올 것" 2020.10.14 임이레 7880
불법이 난무하는 도로, 범인은 전동 킥보드? 1 2020.10.12 이삭 8432
아프리카 말리의 장기집권 대통령 무사 트라오레 사망... 향년 83세 2020.10.08 박재훈 8053
마스크의 생산량 추이와 전망 1 file 2020.10.05 김남주 10962
농산물이 일으킨 수출의 문 file 2020.10.05 김남주 9090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된 요즘...마스크 때문에 싸우는 나라가 있다? 1 2020.09.29 진예강 9731
코로나19, 동물도 피해 갈 수 없는 재앙 file 2020.09.28 최은영 8748
전 세계를 뒤흔든 코로나바이러스가 조작됐다? file 2020.09.28 방지현 9006
대낮에 주황빛 하늘? 미 서부를 강타한 최악의 산불 file 2020.09.28 김시온 8806
구글 클래스 접속 오류... 학생부터 교사까지 '일동 당황' file 2020.09.28 황수빈 12789
해양 쓰레기 증가, 바다도 아프다 2020.09.28 이수미 10178
독감백신 종이상자로 유통 file 2020.09.28 윤지영 8466
지구가 인간에게 날리는 마지막 경고인듯한 2020년, 해결방안은? file 2020.09.25 박경배 14585
미국 대법관이자 미국 여성 인권 운동의 상징인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별세 file 2020.09.25 임재한 10553
다가오는 추석,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file 2020.09.25 김민지 9553
8년 만의 일본 총리 교체, 한일관계 변화 올까? file 2020.09.25 김진성 11030
피해액만 200억 원! 필라델피아, L.A. 등의 한인 상점 약탈 file 2020.09.23 심승희 10934
중국 비상 코로나19에 이어 중국에서 브루셀라병 대규모 확진 file 2020.09.23 오경언 8796
한국 첫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1차 선거 통과 file 2020.09.23 차예원 12113
'아베 시즌 2', '외교 문외한'... 그래도 지지율 74% '자수성가 총리' file 2020.09.23 신하균 9955
트럼프의 대선 연기 주장, 반응은 싸늘? file 2020.09.22 임재한 9337
화재는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른다 1 file 2020.09.22 정주은 11578
코로나19의 한복판에 선 디즈니월드의 재개장 file 2020.09.21 염보라 12130
원자폭탄, 그 시작은 아인슈타인? 1 file 2020.09.21 서수민 199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