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경기도 2차 재난지원금 지급 시작, 경기지역화폐카드 사용 시 혜택

by 김수태대학생기자 posted Feb 17, 2021 Views 949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2월 1일 오전 9시부터 경기도 2차 재난지원금 온라인 신청이 시작되었다. 2차 재난지원금은 개인당 10만 원으로 1월 19일 24시 기준으로 경기도에 주소를 둔 모든 경기도 주민이라면 신청이 가능하다. 재난지원금은 경기지역화폐로 받거나 개인의 신용카드로 받을 수 있다. 재난지원금의 경우에는 사용가능 장소가 정해져있는데 경기지역화폐 가맹점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경기지역화폐카드를 원래 사용하고 있던 주민이라면 재난지원금을 사용하기 더 수월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지역화폐 가맹점]

● 주소지 시군의 백화점, 대형마트, 유흥업소를 제외한 연 매출 10억 원 이하 매장

● 전통시장 (연 매출 10억 원 이상이어도 사용 가능) 

● 기타 경기지역화폐카드 사용 가능 가맹점 (경기지역화폐 사이트에서 조회 가능)부천페이.JPG

[이미지 제공=부천시 공식 홈페이지]


경기지역화폐카드는 현재 경기도 내 31곳의 시군 중 29곳에 운영하고 있으며 충전식 체크카드로 사용이 가능하다. 경기지역화폐카드를 사용할 경우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첫 번째로 충전 시 인센티브가 추가 적립이 된다는 점이다. 충전혜택 및 한도는 지역별로 상이하지만, 보통 6~10%의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10%의 인센티브를 가정한다면 50만 원의 금액을 충전할 경우 5만 원이 인센티브로 제공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경기지역화폐카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두 번째 혜택은 연말정산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전통시장의 경우에는 80%의 소득공제가 가능하고 일반상점의 경우에는 60%의 소득공제가 가능하다. 이러한 혜택 외에도 경기지역화폐 우대가맹점의 경우에는 5% 혹은 10%의 추가할인이 되는 경우도 있고 경기도민을 위한 공공 배달 앱인 배달특급에서 최대 15% 할인이 가능한 쿠폰이 제공된다.


코로나19로 인해 지역경제의 상황이 안 좋아지고 소상공인들이 피해를 입고 있는 만큼 정부에서는 내수 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재난지원금과 경기지역화폐 등 다양한 방면에서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 각 지자체에서도 지자체의 특징을 담은 혜택이나 디자인이 담긴 경기지역화폐카드들을 제공 중이고 더 많은 지역 주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 이우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재난지원금을 통해 최대 11조가량의 소비증진이 이루어졌으며 1차 재난지원금 한계소비성향이 65.4~78.2%라고 밝혔다. 2차 재난지원금이 제공 중인 현재 1차 재난지원금만큼의 경기 부양 효과가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2기 대학생기자 김수태]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7기김성규기자 2021.02.20 02:03
    국민들의 피와 같은 세금을 좀 더 효율성 있게 사용하였으면 좋겠고, 국민들이 경각심을 가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707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500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9315
고 김용균, 비정규직의 안타까운 죽음을 애도하다 file 2019.01.28 최경서 9822
계속해서 늘어나는 청소년 흡연 문제 2014.07.30 이수연 21566
계속되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부동산 가격 떨어지나 2021.12.28 유지훈 7350
계속되는 폭염,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2 2018.07.25 김성백 11051
계속되는 제주 난민수용 갈등, 어느것이 옳은 선택? 2018.07.26 고유진 10123
계속되는 엔화 환율 하락… 이유는? file 2018.01.03 유진주 14026
계속되는 소녀상 수난, 대책 서둘어야... 3 file 2017.03.13 박현규 11128
계속되는 남성 성추행 논란, 이유는? 4 file 2017.02.15 정주연 16098
계속되는 계란의 수난, 이제는 찬밥 신세 file 2017.08.27 한채은 10679
계속되는 경기 불황에도 '인형 뽑기'를 그만둘 수 없는 이유 2 file 2017.02.19 이혜진 19767
계속되는 '욱일기' 논란... 욱일기는 무엇인가? file 2017.03.18 허재영 13933
계속되는 'ME TOO' 운동, 이대로 괜찮을까? 1 2018.04.20 윤예진 12324
계속 더워지는 지구... 최근 5년이 가장 더웠다 file 2019.12.31 유승연 9530
경찰, 경희대 국제캠 총학생회 '업무상 배임 혐의' 내사 착수 file 2023.05.16 디지털이슈팀 6854
경찰 머리채 논란 과연 과잉대응이었을까? 1 file 2018.09.03 지윤솔 11394
경제효과 5조 원, ‘방탄이코노미’ 1 file 2019.12.11 백지민 11411
경제학이多 - 후생경제학 1 file 2018.10.25 김민우 16365
경제학이多 - 행동경제학 file 2018.10.19 김민우 16411
경제학이多 - 정보경제학 file 2018.11.01 김민우 16135
경제학이多 - 미시경제학과 거시 경제학 file 2018.10.15 김민우 22385
경제학이多 - 마르크스 경제학 file 2018.11.05 김민우 15941
경제학이多 - 국제경제학 file 2018.11.12 김민우 15672
경제학이多 - 경제학의 흐름 2 file 2018.11.23 김민우 19054
경제를 움직이는 빨대효과 file 2019.02.19 김해인 12121
경제가 시사하는게 ISSUE - 통일과 합리적 선택 file 2018.10.01 김민우 16585
경제가 시사하는 게 ISSUE - 터키 리라화 급락과 환율 시장 file 2018.08.22 김민우 14620
경제가 시사하는 게 ISSUE - 최저임금 제도와 정부의 개입 1 file 2018.08.20 김민우 14171
경제가 시사하는 게 ISSUE - 공급과 공급의 탄력성 file 2018.08.27 김민우 17459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 중국이 쥔 양날의 검 3 file 2018.05.11 김명진 11873
경상북도 안동에서의 위안부 소녀상 건립, 그 미래는? 1 2017.07.01 윤나민 11960
경남 거제시 호우 경보, 학교의 늦장대응에 갈팡질팡하는 학생들 2 file 2017.10.02 조가온 10957
경기도지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20대 대통령 후보로 확정 file 2021.10.15 고대현 7363
경기도 야간자율학습 폐지 찬반논란 1 file 2016.10.23 박채운 18332
경기도 6개 시 vs 정부, 치열한 공방전 file 2016.05.24 김지율 14603
경기도 2차 재난지원금 지급 시작, 경기지역화폐카드 사용 시 혜택 1 file 2021.02.17 김수태 9491
격화되는 G2 무역전쟁, 그 위기 속 해결방안은... file 2018.11.20 이유성 15040
격해지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유승민 전 의원의 표절 공방 file 2021.09.27 송운학 10514
겨울철 끊이지 않는 레저스포츠사고,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8.03.01 강민지 11181
게임을 죽이는 게임산업진흥법은 語不成說, 게이머들 "이제는 바뀌어야 된다" 2019.03.25 정민우 10842
게놈, 코로나19를 종식시킬 수 있는 키 file 2020.09.07 김정원 7953
검찰 개혁,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 2017.05.19 한훤 9449
건국대, 학과 통폐합 강행에...문과대학 학생들 '반발' file 2024.05.06 김태홍 6558
거리로 나온 청소년들과 선거연령 인하 4 file 2016.11.25 김혜빈 16133
거듭된 욱일기 사용 논란, 우리가 예민한 걸까? file 2018.09.27 서호진 14916
거대정당 독식하는 선거제도 개혁해야... file 2018.11.22 박상준 11478
개학이 두려운 학생들-'새 학기 증후군' 13 file 2016.02.25 김지율 16824
개인투자자 급증,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20.04.06 이민기 10372
개인의 문제가 아닌 모두의 문제 2 file 2018.02.21 신화정 112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