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제련 기술의 발전, 현재와 미래의 밑거름

by 11기박현준기자 posted Aug 05, 2019 Views 179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기원전 2333년에 세워진 우리 민족의 시작 고조선, 우수한 청동기 기술을 기반으로 성장한 독립국가였지만 위만이라는 인물이 준왕을 몰아내고 새로운 왕이 되었고 이때부터 철기 문화의 시작이었다. 역사를 배운 학생들이라면 맨 처음으로 배웠을 우리 민족 최초의 국가 고조선, 중국 한나라와 진나라 사이에서 중계무역을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준왕 통치 시기까지는 여전히 중국의 다른 국가들과 다르게 청동기 문화에서 벗어나지 못했고 이때, 위만이라는 사람이 1,000명의 사람을 이끌고 준왕을 몰아내고 고조선의 왕이 되었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그런데 위만이라는 사람이 도대체 왜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일까?

   

위만은 한반도에 철기 문화를 보급했다. 단순히 철기 시대로 발전시켰다는 점은 크게 중요한 업적인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 철기는 청동기와 마찬가지로 금속이니 크게 다를 게 없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면 우리 역사에 대해 다시 한 번 배워볼 필요가 있을 정도로 철기의 보급은 우리 문화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를 했다고 믿어 의심치 않다.

 

그래서 철기가 얼마나 중요하길래 앞에서 계속 언급하고 있을까? 고조선에서 철기의 보급이 중국의 국가들에 비해 늦은 이유는 철을 제련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철제 기구를 만들기 위해서는 철광석에서 순수한 철을 추출하여서 녹여야 하는데, 그 당시 고조선의 기술력으로는 철광석에서 철을 뽑아내는 것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불의 온도가 철을 제련하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철을 돌덩이 취급을 했다고 한다. 하지만 위만이 한반도로 내려오면서, 사람들뿐만 아니라 철의 제련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불의 온도를 유지하는 기술과 방법을 함께 가져왔기 때문에 역사책에서도 그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 

 

 거푸집확대2.jpg 

 [이미지 제공=문화재청,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그리고 그 덕분에 고조선 농경의 발전과 더불어 현재 5G 시대에까지 이바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위만이 가져온 철기 기술, 그 기술이 현재를 만들었듯이, 현재의 우리가 한 작은 발견이 미래의 밑거름이 될 수도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1기 박현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9062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1770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18579
자동차의 미래, 전기자동차! 3 file 2017.04.03 권하민 15448
자동차가 혼자 움직여?…좋은걸까 나쁜걸까? file 2017.03.25 이효건 15129
자동차 에어백으로 옷을 만들다 file 2021.09.28 류태영 10284
자도 자도 피곤한 당신, 수면 주기를 확인하라? file 2019.10.25 이선우 18445
자기가 파일 암호화를 해놓고 돈 주면 해독키를 준다고? 기가 막힌 '랜섬웨어' 2 file 2017.05.18 김재윤 34479
자극적인 콘텐츠 속 블루오션, '무자극 컨텐츠 연구소' file 2017.08.01 김재윤 45339
자국보다 전범국에 더 헌신적인 나라 file 2016.07.23 이유수 15722
자격증 정보 플랫폼 자격증넷, 대한민국 교육박람회 자격증 특별관 운영 file 2022.12.26 이지원 9215
자가격리, 어떻게 하는 걸까? file 2021.11.26 정서진 11861
잊혀져 가는 과거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다 file 2019.01.31 양윤서 15710
잊지못할 추억을 선사한 하프마라톤대회 file 2015.05.25 구민지 29225
잊지 못할 또 하나의 아픈 우리 역사, 제주 4.3 사건 1 file 2018.02.27 강진현 16234
잊지 말아야 할 우리의 가슴아픈 역사 , 위안부 4 file 2017.10.02 강승연 16787
잊지 말아야 할 삼일절, 더는 보기 힘든 태극기 file 2017.02.24 박예림 13207
잊지 말아야 할 그날, 3월 26일 3 file 2017.05.04 민정연 14647
잊어서는 안 될 기억, 서대문형무소 file 2019.11.18 서지수 17800
잊고 있었던, 하지만 계속 되는 것 _ 4.16세월호 참사 3 file 2016.08.17 김미래 13853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를 소개합니다. file 2016.10.25 이진호 19991
입소문 탄 '경이로운 소문' 4회만에 OCN 역대 최고 시청률 2위 1 file 2020.12.11 홍재원 15970
임진왜란 3대첩지 ‘행주산성’ file 2017.05.17 허선주 16948
임산부 뺏지를 아시나요 2 file 2016.04.28 이서연 17128
임산부 배려석을 지키는 곰돌이를 보셨나요? 1 file 2017.05.25 강지현 14808
임기자의 매3문: NCT DREAM 의 마지막 첫사랑 뮤직비디오 논란 4 file 2017.02.26 임정연 16585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화, 아르바이트도 무조건 줘야... 위반 시 과태료 file 2021.11.22 조민채 10981
잃어버린 파란 하늘 1 file 2017.03.31 한정원 15762
읽고, 보고, 들으면 내 방이 여행지로 바뀌는 여행 콘텐츠들 3 file 2022.03.08 오은진 10012
일하는 청년통장, 한 달에 10만 원을 모아 3년 안에 1000만 원으로! 1 file 2017.11.28 오경서 19903
일코노미의 경제적 파급력 file 2018.01.19 배정은 15991
일주일의 하이라이트, 주말보호! 1 file 2017.08.25 유소연 14092
일제의 탄압을 이겨낸 민족의 목소리 file 2016.06.12 전지우 16174
일제강점기의 역사를 찾아서,서대문형무소 1 file 2016.08.25 이다혜 20022
일제강점기 시절 파괴된 광화문 앞 경복궁 월대 복원돼 file 2023.11.27 이유찬 5673
일자리와 복지를 한번에! 고용복지플러스 센터 5 file 2017.02.14 서혜준 15352
일자리 구하기 힘든 청년들, 사회적 문제 예방 위해 프랜차이즈산업박람회 개최하다 file 2017.11.06 조윤서 14750
일상의 과학을 만나러, ‘두뇌 스타트! 과학 놀이터’ 1 file 2018.02.12 우소영 17578
일상을 스마트하게 만드는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 file 2017.08.29 신수빈 16683
일상생활에 활용되는 과학 원리, 내부 저항값 측정으로 확인하는 배터리의 상태 2020.11.02 신찬우 21627
일상 속의 숨쉬는 역사, 김해 율하유적공원을 찾아가다. file 2017.12.18 최희수 18641
일상 속의 생생한 과학을 찾아봐! file 2017.10.27 공지윤 15490
일상 속에 녹아있는 '약자 혐오', 우리들의 '인식'을 위하여 2 file 2017.04.16 이서현 16304
일산에서 제 6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가 열리다 file 2014.10.24 양세정 21081
일부 한국인 관광객들의 잘못된 윤리의식,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7.06.23 김다정 16954
일본인이 기억하는 시인 윤동주 2 file 2020.12.09 유승호 16100
일본인 원장에 맺힌 한, 소록도 병원 file 2020.05.18 홍세은 16391
일본의 한 시골 마을 5 file 2017.03.22 최유정 15356
일본의 음식 여행 4 file 2019.07.08 이지수 22843
일본의 숨겨진 작은 제주도 1 file 2017.09.21 김하은 17885
일본의 반성 없는 역사 왜곡의 순환으로 몸살 앓고 있는 '평화의 소녀상' 4 file 2020.10.23 김태환 194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