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알아두면 쓸데 있는 신기한 각국의 설날 문화

by 10기이소영기자 posted Feb 19, 2019 Views 1463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c0439436b0fc44ae612e2f9aeabb3dd6.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이소영기자]


한국의 가장 큰 명절인 설날. 보통 3~5일 정도로 지정되어 있는 한국의 설 연휴 동안에는 만나기 힘들었던 친인척 모두가 한데 모여 담소를 나누느라 온 사방에 북적북적함이 가득해진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각국의 여러 사람들은 저마다의 문화로 설날을 지내왔다. 다양한 설 풍습에는 어떤 것이 있을지 알아보자.


1. 한국

한국의 설은 음력 1월 1일로 현재는 설날의 전날과 다음날 총 3일을 연휴로 지정하고 있다. 한국의 고유한 설 문화로는 대표적으로 차례 지내기와 세배드리기가 있다. 감사함과 건강을 빌며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고 어른들께 세배를 드리고 나면 가족이 모여 놀이를 즐기곤 하는데, 이날 즐기는 민속놀이로는 가족 모두가 한마음이 되어 즐기는 윷놀이와 널뛰기, 연날리기 등이 있다. 주로 먹는 음식은 떡국이다. 떡국을 먹는 것을 가리켜 나이를 한 살 더 먹었다고 말하기도 한다.


2. 일본

가깝지만 먼 나라. 일본의 설날은 특이하게도 양력 1월 1일부터 3일까지이다. '간지츠' 혹은 여러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일본의 설날에는 온 가족이 모여 술과 음식을 먹고 새해 인사를 한다고 한다. 일본식 떡국인 '오조니'와 조림 요리인 '오세치'가 설날에 먹는 대표 음식이다.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아이들은 세배를 하고 '오토시다마'라고 하는 세뱃돈을 받는다. 연하장을 보내는 문화가 발달하여 전국으로 연하장이 배달된다고 한다.


3. 중국

'춘절'이라는 이름으로 많이 알려진 중국의 설날은 우리나라와 같은 음력 1월 1일을 설날로 지정한다. 중국에서 춘절, 또는 춘지에라는 명절은 굉장히 큰 명절로 연휴가 일주일가량 지속된다. 가장 널리 하는 놀이는 불꽃놀이와 폭죽 터트리기이다. 그믐날 자정에는 각 집마다 모두 폭죽을 터트리는데, 이 소리에 악귀가 놀라 도망갈 것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한다. 설을 대표하는 음식으로는 '교자'라는 만두가 있는데 이는 '해가 바뀌는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주로 중국의 북방지역에서 교자를 먹는다면 남방지역에서는 '모든 일이 순탄하라'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떡을 먹는다고 한다. 흰 봉투를 주고받는 우리나라와는 다르게 중국은 빨간색 봉투에 세뱃돈을 받기 때문에 이를' 홍빠오'라고 부른다.


4. 프랑스

프랑스에서는 1월 1일 0시가 되면 사람들과 서로 껴안고 자동차 경적을 울리며 요란 벅적하게 새해를 맞이한다. 새해 전날까지 집안에 술이 남아 있으면 안 된다는 미신이 있기 때문에 밤이 새도록 술을 마시는 풍습이 존재한다. 빵안에 작은 도자기를 넣고 구워서 그 빵에 당첨된 사람의 모든 명령을 따라야 하는 재미있는 문화도 있다.


이밖에도 '북극곰 수영축제'가 열리는 미국과 노르웨이. 우리나라의 설빔과 비슷한 풍습을 가진 이란 등 수 많은 나라에는 더욱 수많은 설 풍습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 모든 문화에 공통점이 있다면 그것은 함께 음식을 먹으며 새해를 맞은 기쁨을 나눌 수 있는 사람들이다. 이번 기회에 더 많은 세계의 명절에 대해 알아봄과 동시에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하는 우리 민족 고유 명절인 설날의 소중함을 되새겨 보도록 하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0기 이소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0기윤예진기자 2019.02.19 21:49
    다른 건 몰라도 북극곰 수영축제를 새해축제로 하다니! 한겨울이라 너무 추워서 힘들지 않을까요? ㅎㅎㅎ
  • ?
    10기김동민기자 2019.02.20 22:09
    일본은 만화의 영향인가? 왠지 친숙하네요ㅎㅎ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82559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9690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05907
경험을 통한 학습의 필요성 file 2016.05.29 김지원 16777
순항하지 못한 벤투호, 아시안 컵 8강 탈락 file 2019.01.31 김유미 16777
미로탈출의 끝-<메이즈러너: 데스큐어> 5 file 2018.02.06 김나림 16782
평창동계올림픽 G-1, K-드라마 페스타 in 평창 행사 개최 1 file 2017.02.20 고주연 16787
"22년에도 흥행 이어간다!"... 넷플릭스 2022년 신작 라인업 공개 file 2022.01.24 손동빈 16787
청소년도 함께하는 제 19대 대통령 선거 1 file 2017.05.08 이윤영 16788
여가부 산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언제든 1388 캠페인’ 실시 file 2018.08.06 디지털이슈팀 16788
서울환경영화제, 광화문을 초록색 물결로 물들이다 1 file 2016.05.28 오지은 16789
유럽여행 이젠 더 이상 꿈이 아닌 현실 file 2016.08.25 김규리 16790
젊은 에이스에게 거는 기대, 무거워진 박세웅의 어깨 file 2018.09.21 이수민 16792
새로운 시장의 형태, 신자유주의 1 2016.08.25 유승균 16793
영그림틴을 통해 돌아본 재능기부의 의미 1 file 2019.01.23 양윤서 16793
시민들의 웃음이 피어나는 곳, 순천시평생학습문화센터를 취재하다. file 2016.11.20 유성훈 16798
치킨값=목숨값? 스웨덴은 법만 지키면 운전하다가도 떡이 생긴다 4 2020.09.29 문청현 16798
원주 노숙인 센터, 사람들과 정을 나누다 file 2016.05.19 김가흔 16799
겨울 필수품, 핫팩 완전정복 1 2018.01.29 박채리 16799
부산 사하구, 국제 교류의 장을 열다 1 file 2017.08.18 박수연 16800
청주 체육관을 찾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영웅들 2 file 2018.03.22 허기범 16800
새 학년 새 학기 3월! 어떻게 보냈어? file 2016.03.24 오지은 16801
플랩 운동복-함께 숨쉬는 살아있는 옷 1 file 2017.05.28 조영서 16801
방탄소년단, 특별한 졸업식에 참여하다 4 file 2020.05.12 김도연 16802
제28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file 2019.01.22 이주희 16805
스승의 날의 의미, 잊어버리진 않았나요? 1 file 2016.05.18 박하은 16807
강릉에서 느끼는 조선시대 전통문화 file 2018.03.09 마하경 16808
'책 읽는 충주' 홍보 플래시몹 지난 2일 개최 file 2018.09.14 이정주 16812
강릉 경포 벚꽃축제 12일 폐막 file 2017.04.15 김동근 16813
중국의 문화 동북공정, 이제는 하다 하다 김치를? file 2021.02.25 김민성 16815
당신의 양심은 아직 세모 모양입니까? file 2017.03.25 박유은 16819
유명 브랜드 신발이 하롱 야시장에서는 만원? 1 file 2020.02.10 홍세은 16828
가지고만 있어도 부자가 된다는 꽃이 한가득 …. file 2017.03.24 원채윤 16829
제2회 운암골 융합(STEAM) 과학·소프트웨어 축전 file 2018.06.04 오경찬 16829
청소년·청년들의 미얀마 비전트립:고아원 봉사 6 file 2017.08.10 최지수 16831
청소년들의 색다른 경험-보라매청소년수련관 동아리인준식과 발대식 file 2016.03.21 김민지 16832
외국인 연수자들에게 뜻 깊은 시간을 선사하자 KOICA 학생도우미 봉사단 file 2016.05.22 최윤철 16832
현대자동차, 그랜저 시트주름 문제에 이어서 이번엔 차량 전소까지.. 2 file 2017.03.22 김홍렬 16838
어두운 횡단보도야 잘가~ 2 file 2017.11.15 정환길 16841
일본어 초보자도 쉽게 갈 수 있는 오사카 여행 - 1 3 file 2017.03.14 정진 16843
방학? 그게 뭐야? 먹는 거야? 25 file 2017.01.26 김수민 16844
'인생꿀로윈 디저트 페스티벌' 즐기러 송도 가자 1 file 2017.10.17 김민 16847
약학의 눈부신 발전 file 2017.06.28 신온유 16856
문재인 대통령 휴가철 추천도서 ‘명견만리’ 시리즈, 베스트셀러 1~3위 석권 file 2017.08.17 디지털이슈팀 16858
영주시, 고교생과 함께 관사골 활성화를 위한 새뜰마을 사업 추진해 5 file 2017.02.21 박한나 16859
힐링이 필요해 2017.11.28 이지혜 16861
해를 가린 달: 개기일식 2017.09.07 조은아 16864
잠은 보약이다 file 2016.08.25 목예랑 16868
효율적인 공부를 위한 준비물부터 유용한 활용법까지! 4 file 2020.03.17 김윤채 16869
세계 3대 디자이너를 만날 수 있는 기회, 카림 라시드전 1 file 2017.10.09 석채아 16873
대한민국 헌법의 탄생일, 제헌절 2018.07.31 오예은 168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