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첫 '남녀부 분리 운영'의 V-리그, 무엇이 달라졌을까

by 김하은대학생기자 posted Nov 12, 2018 Views 1558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도드람 2018-2019시즌 V-리그 개막해 어느덧 1라운드가 끝났다. 시즌 초반부터 치열한 순위 싸움에 종료 휘슬이 불리기 전까지 긴장을 놓을 수 없는 끈질긴 경기가 계속되고 있다. 한국배구연맹(이하 KOVO)은 지난 116일 도드람 2018-2019시즌 V-리그 1라운드 남녀부의 관중 수 및 TV 시청률을 공개하였다. 결과는 예년에 비해 높아진 배구 인기를 실감할 수 있었다.

 

1라운드 남자부 관중은 총 21경기에 44,120명이 동원되었고, 여자부는 총 15경기에 35,708명이 동원되었다. 언뜻 보기에는 남자부의 관중 수가 훨씬 많아 보이지만, 남자부가 여자부보다 1개 팀이 더 많기 때문에 평균 관중 수를 계산해보면 남자부는 2,101, 여자부는 2,381명으로 여자부가 더 흥행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지난 2017-2018시즌 1라운드 관중 수와 비교하여 격차가 더욱 벌어진 모습이다. 총관중 수 50,163평균 2,389명이었던 남자부는 이번 시즌 약 6,000명이 하락하였다. 반면 총관중 수 29,651평균 1,977명이었던 여자부에서는 6,000명이 상승하였다.


KakaoTalk_20181108_004539265.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김하은기자]


평균 시청률은 남자부의 경우 0.83%로 지난 2017-2018시즌 1라운드와 비교하0.1%가 상승하였다. 여자부의 경우 0.69%로 지난 시즌과 비교하여 0.03% 하락한 모습이다. 하지만 이 집계로 여자부의 인기가 떨어졌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지난 시즌까지 KOVO는 평일 경기 시 여자부는 5, 남자부는 7시에 배정하였다. 다소 이른 시간에 잡힌 경기로 인해 여자부 팬들은 경기 시간 수정을 계속해서 요구해왔고, KOVO는 이번 2018-2019시즌부터 여자부 역시 7시에 배정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남자부는 하루에 한 경기씩 매일 경기가 있는 반면 여자부는 2~3일마다 경기가 있고, 심지어 수요일에는 7시에 2경기를 같이 진행하기도 한다. 이렇게 된다면 당연히 관중과 시청률은 반 토막이 날 수밖에 없다. 우리가 같은 시간 다른 경기장에서 하는 다른 경기를 모두 갈 수는 없지 않은가. 이러한 결과에 김대진 KOVO 마케팅팀장은 선방하고 있는 여자부에게 오히려 “(여자부의 인기를 인정하기에) 아직 시기상조라는 말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8기 김하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1기하예원기자 2018.11.20 00:52

    평소 배구를 즐겨보는 배구팬으로서 기사를 정말 날카롭고 정확하게 잘 쓰셨다고 생각해요. 잘 봤습니다 !!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8578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0648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10442
2022 부산국제광고제, ‘청소년 크리에이티브 공모전’ 개최 file 2022.07.06 이지원 9283
2022 서울시청소년어울림마당 4회차, 7월 9일 서울어린이대공원서 개최 file 2022.07.08 이지원 8153
2022 출판도시 인문학당 '하반기 책방거리 프로그램' 진행 file 2022.09.16 이지원 7967
2022 충청북도 청소년정책제안 토론회 실시간 온라인 개최 file 2022.11.09 이지원 7735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혼성계주' 정식종목 채택 file 2018.08.03 정재근 22203
202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8개 나라의 특색 모아 2023.05.24 박상연 6777
2023 해운대 모래축제 개최...전국 유일 모래 소재 전시회 file 2023.05.30 진혜원 7976
2030년의 경제 주역들, Youth Change Makers file 2017.09.18 김예원 22684
2030세대의 마음을 울리다, ‘MBN Y FORUM 2019’ 오는 27일 개최 2019.02.13 이승하 15271
20세기 거장들의 작품을 한 자리에서 만나다 file 2023.06.22 박진하 7178
21세기 가장 성공한 밴드의 역사, 책 한 권에 담아내다 file 2019.05.23 오동택 21004
23여 년 만에 재출시한 '포켓몬빵', 선풍적인 인기를 끌다 1 file 2022.03.24 최은혁 27608
27일, 서울시 어린이 청소년 참여위원회 오리엔테이션 열려 5 file 2016.02.27 황지연 18897
2년 만에 개최된 서울모빌리티쇼...관람객 '북적북적' file 2023.04.18 박서율 8801
2월 14일 날은? 4 file 2017.02.21 김소은 13508
2월 14일 안중근 의사를 기억하자 9 file 2017.02.14 김민주 14929
2월 20일, 무명의 기념일에서 유명의 기념일로 4 file 2017.02.20 조수민 15054
2월14일 발렌타인데이보다는 안중근의사를 기억하자!! 15 file 2017.02.14 주건 17636
2월의 소형 SUV 판매량 순위를 알아보자! file 2018.03.08 정진화 20929
3.1운동 100주년! 새로운 100년을 여는 천인평화원탁회의 file 2019.03.07 김아랑 13868
3.1운동 100주년, 경상남도 시민과 함께하는 기념식과 만세운동 개최 1 file 2019.03.19 이지현 17888
3.1운동 100주년, 나라사랑 걷기대회 file 2019.03.22 김기혁 18318
3.1운동 100주년, 해외의 항일 독립운동의 흔적을 쫓아서 '이준 열사 기념관' file 2019.03.12 장선우 15349
3.1일 민족의 고귀한 숨결 5 file 2017.02.21 김윤서 12698
3.1절은 어떤 날인가? 1 file 2022.02.28 이유진 11005
300달러 미만 5G 폰 美 출시, 삼성의 전환점이 될 것인가? file 2021.04.26 양연우 11985
30초 만에 만드는 나만의 체크카드, 카카오뱅크 'mini' 2 file 2020.11.02 이채림 20884
3D 펜을 체험해보다 2 file 2018.11.12 손준서 20650
3·1절 맞아 대형태극기 게양... 대한독립만세 외치자! 12 file 2017.03.01 조묘희 16892
3·1절 및 임시정부 100주년 기념사업이 있다? file 2019.05.31 엄태강 20734
3·1절을 맞은 온양온천전통시장의 풍경 2 file 2016.03.02 이지영 21769
3년 만에 개최된 대저토마토축제 file 2023.06.12 김보민 6814
3년 만에 열린 평창송어축제...오는 29일 폐막한다 file 2023.01.25 디지털이슈팀 6904
3년 만에 찾아온 개기 월식 4 file 2018.01.26 최윤정 21763
3월 21일, 국제 인종 차별 철폐의 날 file 2017.04.30 이슬기 17558
3월 25일, 전등을 끄고 생명의 빛을 켜다. file 2017.03.25 김량원 16232
3월 넷째 금요일은 '서해 수호의 날' 8 file 2017.03.24 최서진 13160
3월 서울코믹스와 다가오는 5월 부산,서울 코믹스 file 2017.04.16 조민재 16245
3월, 새로운 시작의 달, 학생들을 위한 선물 4 file 2016.03.13 최서영 16226
3월을 준비하는 학생들 8 file 2016.02.21 김민지 16613
3월의 끝, 유관순과 함께 3 file 2020.03.30 박병성 14810
3차흡연, 과연 안전할까? 2017.08.31 최세린 15012
3회 연속 아시안게임 동메달을 차지한 대한민국 여자축구국가대표팀 귀국 file 2018.09.03 허기범 14234
400년이 지나도 변함없는 '그'의 도발 file 2016.04.02 명은율 16389
400만을 사로잡은 디즈니 매직 3 file 2017.04.16 김다빈 15601
48인의 독립운동가 file 2021.07.26 노윤서 13489
4D 영화, 과연 좋은 영화 관람인가? file 2016.07.30 황지혜 17972
4•19혁명과 시인 김수영 file 2021.04.26 박혜진 127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